Action disabled: source

이 문서의 주된 내용은 적절한 허가조건 (예: C.C.) 에 의해 타 사이트나 게시판에서 발췌한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이 이곳에 게시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원글의 저작자가 있다면, 본 누리집에 내용을 알려주기 바란다.

일본식 한자어

日本式 漢字語. 일본제 한자어(日本製漢字語), 일제 한자어(日製 漢字語)라고도 한다.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한자 어휘를 말하며 특히 근대 이후 서양어(주로 영어 및 독일어)를 대량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한자어를 주로 가리키는데, 특히 이들 번역어휘들은 신한어(新漢語)라는 용어를 써서 메이지 시대 이전의 일본식 한자어와 구별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和製漢語(わせいかんご)라고 부른다.1)

특히 이들 일본식 한자어는 해방된 뒤에도 국어사전 편찬 과정에서 편찬자들이 일본 사전의 어휘 풀이를 그대로 따라하여 일본식 한자어라는 의식 없이 전통 한자어의 일부로 알고 쓰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순수한 의미에서 일본식 한자어라고도 할 수 없는, 표기만 한자로 하고 읽기는 일본 고유어로 읽는 훈독 일본어도 일본식 한자어로 둔갑하여 사용되고 있다.

수속: 手続き 수당: 手当て 수취: 受け取り|

그런데 한국은 서양근대사상을 거의 모조리 일본을 경유하여 받아들였기 때문에 빼도박도 못하게 된 용어들이 매우 많다. 과학, 철학 등의 이름도 일본에서 번역한 말이며, 과학·철학·경제학·법학 등의 서양근대학문의 기본 용어들의 상당수가 일본에서 번역한 말들이다. '화장(化粧←丹粧)' 등의 말도 되돌리기 힘든 상황. 이미 한국어로 정착된 것이 많으므로 일본식 한자어는 순화하지 않는 게 좋을 것이다. 반면 결혼(結婚)과 약속(約束)처럼 조선왕조실록에도 나오는 단어가 일본어 잔재론처럼 무분별하게 알려지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식 한자어가 많은 건 중국어도 다르지 않다. 예시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공화국은 일본에서 번역되어 널리 퍼진 일본식 한자어다. 다만 흔히 있는 오해와는 달리 인민은 조선왕조실록에서도 확인되는 꽤 유서깊은 단어이다.

몇몇 사람들은 일본식 한자어를 비슷한 뜻의 전통 한자어나 고유어로 바꿔 쓰는 운동을 전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본식 한자어의 정착과정은 일본뿐만이 아니라 중국과의 상호작용 및 상호차용에 의한 것, 전통한자어에 새 의미를 부여한 것 등 그 성립과정이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정확한 연구 없이 감정적인 캠페인에 그치거나 부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애매하다는 것이다. 괜히 자주 쓰이지도 않는 순우리말로 순화하면 그게 더 어렵다. 또한 언어의 경제성 원리에 의해 더 짧은 용어가 더 많이 쓰인다.

근래에는 번역 과정에서 갈음할 수 있는 전통 한자어나 고유어가 있는데도 일제 한자어를 그대로 써서 이러한 일본식 한자어가 퍼지기도 한다.

군대나 관료조직에도 일반 사회에서 잘 쓰이지 않는 일본식 한자어가 많이 있다. 잘 알려진 것으로는 군대에서 총기를 정비할 때 수입(手入れ)2)이라고 부르는 경우. 현재는 '손질'로 순화되었다.

사례

일본식 한자어들을 어느 선까지 허용하고 다듬어야 하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다른 한자어와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어렵다면 국립국어원의 –숙청– 다듬기의 대상이 된다.

일본에서 번역된 서양어휘

서양 근대학문(의학, 경제, 사회, 사조 등의 다양한 분야)의 개념어를 지칭하는 어휘 중에 일본식 한자어가 상당하므로 전부 열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어원에 대한 혼동이 있거나, 과거에 이미 쓰던 한자어를 일본식 한자어가 대체하면서 의미가 변한 경우처럼 설명할 필요가 있는 어휘 위주로 항목을 작성할 것.

  • 공화국 - 사실 '공화(共和)'라는 말 자체는 나라 때부터 쓰였던 표현이다. 주나라의 제10대 천자인 여왕(厲王)이 실정으로 인해 축출된 뒤부터 그의 아들인 선왕(宣王)이 즉위하기 전까지의 14년 동안, 共伯 和가 천자의 업무를 대행하던 것에서 유래한다. 그런데, 우리가 알고 있는 '공화국'이란 개념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게 맞다. 조어 방식은 '共和→ 군주가 없음→ 공공(公共)의 나라→ Res Publica('공공의 것'이라는 뜻의 라틴어)→ 따라서 Republic ≒ 공화국'.

일본 메이지 유신 당시 일본인 학자들은 일본어로 적절하게 번역할 수 없는 학술 용어를 현지화 할 때, 단순히 한자의 의미에 맞추어 새로 용어를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유사한 의미나 유래가 있는 중국 고전의 개념에 원어의 뜻을 옮겨 심으려 했다. 둘 다 일본식(式)이긴 하지만, 고전을 차용하는 방식은 학자에 따라 별도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공화국'이 여기에 해당한다.

  • 국민학교(國民學校) - 황국신민학교의 준말, 즉 일본에서 만든 단어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독일어 폴크스슐레(Volksschule)의 직역명이다. 나치 하의 독일에서 제창된 용어가 일본에서 번역된 뒤 일제 시대 국민학교령에 의해 한국에서도 사용하게 된 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국민학교 항목 참고.
  • 낭만(浪漫) - 원래 '제멋대로 하다'라는 뜻의 한자어 였으나3)) 이것이 한국과 중국에 퍼졌다. 중국에서도 ‘뤄만디커(羅曼?克·라만체극)’라는 음차어를 따로 만들었지만 낭만이 더 널리 쓰인다고 한다. 참고로 일본 위키피디아에는 나쓰메 소세키가 로맨티시즘의 한자 차자 표현으로 浪漫을 처음 고안해서 썼다고 서술하고 있다.
  • 인민 - 과거 중국의 사기에도 '천하인민'이라는 단어가 나오며, 한국과 일본의 과거 사료에서도 발견되는 오래된 표현이었다. 4)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정치학이나 사회학에서 쓰는 개념의 인민(영어의 people이나 독일어의 volks, 이탈리아어의 popolo에 해당)은 메이지 시기 일본에서 서양 어휘를 번역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인위적으로 부여한 것이다. 그러면서, '인민'에는 지금 우리가 더 친근하게 받아들이는 근대적 의미가 착색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인민과 현대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쓰는 인민의 뜻이 달라진 것이다. 근대 이전의 인민이 신분 위계질서를 고려한 백성과 비슷한 단어라면, 현대의 인민은 서로 간에 위계가 존재하지 않는 보통 사람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 말은, 일본이, 경제(經世濟民)처럼 어휘로 쓰이지는 않았던 것을 아예 한문고전에서 글을 따와 만들었거나, 사회(제의祭儀를 위한 특수한 모임)처럼 그 간에 잘 쓰이지 않던 말을 다른 의미를 덧씌워 최초로 유행시킨 것과는 다른 경우이므로 구분하여야 한다. '인민'은 그간에 잘 쓰이던 말이었는데, 새로운 개념이 기존의 개념을 잠식한 경우이다. 5) 근대를 거치면서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에 대한 개념 자체가 달라졌고, 이에 인민도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이다. 물론 그 속에서 다스림을 받는 사람들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충전한 것은 서양의 정치 사회학을 흡수한 일본이다. 인민의 개념 변화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공산권에서 인민이 널리 사용되면서 남한에서는 국민으로 대체했는데, 국민은 일본 전체주의 영향이 강한 단어임을 생각하면 흠좀무. 인민과 국민은 정치철학용어로 쓰일경우 각기 지칭 대상이 다른데, 인민 항목의 용례 부분을 참고하자.

일본식 한자어 접두사

일본식 한자어 접두사에는 '가(假)~', '공(空)~6)', '생(生)~' 등이 있다.

  • 가접수(假接受) → 임시 접수
  • 가처분(假處分) → 임시 처분
  • 공상자(空箱子)7) → 빈 상자
  • 정공(正孔) → 물리학 및 전공용어라 영어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제대로 번역한다면 양공. 일본에서 정에 양의 의미도 갖는 걸 억지로 한자음만 가져온 사례라고 한다.

일본식 한자어 접미사

일본식 한자어 접미사에는 '~선(先)8)', '~원(元)9)', '~구(口)', '~고(高)', '~계(屆)10)', ~합(合) 등이 있다.

  • 거래선(去來先) → 거래처
  • 수입선(輸入先) → 수입처
  • 제조원(製造元) → 만든 곳
  • 매표구(賣票口) → 매표소, 표 사는 곳. 다만 현대 일본어에서는 오히려 '킷푸 우리바(切符売り場)'란 표현을 사용한다.
  • 비상구(非常口) → 비상문
  • 물가고(物價高) → 높은 물가
  • 수확고(收穫高) → 수확량
  • 결석계(缺席屆) → 결석 신고서
  • 숙박계(宿泊屆) → 숙박부
  • 시합(試合)
  • 대합실(待合室)11) → 맞이방

순 일본말을 한자화한 단어

  • 견습(見習) - 순 일본어인 見習い(미나라이)에서 い를 빼고 적은 한자이다. 견습생, 견습공 할 때의 그 "견습"이다. 직역하자면 "보고 배우기" 또는 "보면서 배우는 사람" 정도의 뜻이다. 그러니까, "초보자"나 "풋내기" 등의 단어가 이에 상응한다.
  • 견적 - 일본어 見積り(미스모리)에서 한자만 적은 것.
  • 낙서(落書) - 역시나 일본어인 落書き (라쿠가키)에서 온 단어이다.
  • 대출(貸出) - 일본어 貸し出す(카시다스)에서 し와 す를 빼고 한자만 적은 것. 뜻은 '빌려주다', '대출하다'. 반대말은 借り出す(카리다스).
  • 선착장(船着場) - 한자어 같지만, 일본어 원어는 ふなつきば(후나츠키바)로 한자어가 하나도 없는 일본말. 즉, 한자표기 때문에 한자어화한 순일본말이다. 우리말 직역은 배닿는 곳쯤 되는데 원래의 좋은 우리말인 나루, 나루터를 옛말처럼 밀어내고 있다는 게 안타까운 점이다. 행정지침으로 선착장 대신 나루/나루터를 쓰라고 해도 잘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 밖에도 선창(船艙)이란 한자어를 대신 쓰기도 한다.
  • 소포(小包) - 이쪽도 순 일본어인 小包/こづつみ(코즈츠미)를 한자로 적었다. "꾸러미"라는 말로 대체 가능. –언어의 경제성에 따라 소포가 더 짧으므로 당연히 소포가 더 많이 쓰인다.–
  • 수입(手入) - 주로 군대에서 '총기수입'이라고 하면 총을 손질하는 것을 말하는데, 어원이 Sweep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일본말 手入れ(테이레)에서 온 말이다. 일본 군대 용어가 한국 군대 용어로 정착한 경우다.
  • 역할 -항목 참조. 役割り(야쿠와리)를 한자로 적은 것.
  • 전향(前向) - 前向き(마에무키)에서 き를 빼고 한자만 적은 것. 뜻은 '정면을 향하다', '생각이 발전적, 적극적이다' 보통 전향적(前向的)이라고 -적을 붙여서 많이 쓴다. 전향(轉向)과 헷갈리면 곤란.
  • 조립(組立) - 일본어 組み立て(쿠미타테)에서 み와 て를 빼고 한자만 적은 것. 뜻은 한자어 '조립'과 일치한다. 따로 직역하면 '짜맞추어 세우다'. 즉, 조립하여 세워놓는다는 것.
  • 청부(請負) - 일본어 うけおい(우케오이)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하청, 살인청부 등의 단어에 그 잔재가 남아 있다. 우리말로는 도급(都給)에 해당하는데, 청부는 일을 맡는 것이고 도급은 일을 맡기는 것이므로 청부계약 자체는 도급계약으로, 그 외에는 수급으로 순화할 수 있다.
  • 취조(取調) - 순 일본어인 取調べ(토리시라베)에서 べ를 빼고 한자만 적은 것. 의미를 살려 번역하면 '잡아 살피다'정도의 뜻으로, 한자어로서도 어느정도 뜻이 성립하기는 하지만 일본 고유어를 한자로 적고, 그것을 다시 한국에서 한자어로 받아들인 단어. 즉, 원래 일본어다. 옛 한자어로는 문초(問招)가 이뜻이다. '심문'이라고도 한다.
  • 할인(割引) - 순 일본어 割り引き/わりびき(와리비키)를 한자로 적은 것.12)억지로 직역하자면 '(값을)허물어 당기다'라는 뜻이 되는데, 값을 깎는 것과 약간은 비슷하긴 하지만 잘 이해되지 않는 느낌인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매상'이나 '수입'등 많은 한자어휘들이 순 일본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을, 발음을 알아볼 수 있게 붙여둔 히라가나만 떼어내고 그대로 한국식 발음으로 읽어 한자어로 만든 것이다. "에누리"라는 순 우리말로 대체 가능하지만 할인 쪽이 더 많이 쓰이는 추세라서.. 게다가 에누리 역시 왠지 일본어 같은 느낌이 나기 때문에 우리말인지 모르고 일본어라고 생각해 할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 행선지(行先地) - 행선지의 앞쪽 두 글자, 행선은 行き先(ゆきさき)13)라는 순 일본어. 일본어의 さき(사키)는 시작점, 뾰족한 것의 끄트머리, 어떤 것이 끝나는 지점 같은 뜻이지만 한자 先에는 그런 뜻은 없다. 이것도 순 일본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그 뜻까지 한꺼번에 가져온 경우. 굳이 행선지의 뜻을 한자어로 표기하자면 –행첨지(行尖地)–도착지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훈독으로 발음되지만 이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단어들

일본어로는 훈독 쪽으로 발음이 되지만, 일본식 한자어로 취급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대개 원조인 중국 쪽에서도 쓰이는 것들이기 때문. 대부분 낱개 한자의 뜻 조합으로 해석이 되는 경우가 많다.

  • 광장 (廣場/広場) - 히로/바
  • 여신 (女神) - 메/가미
  • 안경 (眼鏡) - 메/가네
  • 입장(中 : 리창) (立場) - 타치/바 14)
  • 시장 (市場) - 이치/바 15))
  • 수하(中 :쇼우샤) (手下) - 테/시타
  • 조합 (組合) - 쿠미/아이
  • 취소 (取消) - 토리/케시16)

오직 일본에서만 쓰이는 어휘

한국에 존재하지 않는 어휘를 직역하면서 오역이 되는 사례. 이 중에는 아예 한국어, 중국어에 해당하는 적당한 단어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다.

  • 배신(配信) → 해당단어 없음17)
  • 환장(換裝) → 장비 교체
  • 잔념(残念) → 유감, 아쉬움, 분함, 억울함
  • 입입금지(立入禁止) → 출입금지
  • 단체(単体) → 순물질, 홑몸
  • 시작(試作) → 시제(試製)
  • 무인(無印) → 처녀작(處女作), 첫 작품18)
  • 육구(肉球) → 발볼록살

대용한자어

일본이 상용한자 1945자19)를 제정하면서 수립한 정책으로 동음이의어가 있는 경우 상용한자로 된 단어를 우선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단어는 뜻이 왜곡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용한자로 바꾸어 쓴다는 내용이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음이 달라지지만 일본어 음독으로는 음이 같다. 일본식 한자어의 한국어 독음을 기준으로 가나다순으로 표기.

  • 관수(関数) ← 함수(函數) - 상자 함(函)이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쓰기 쉬운(?) 빗장 관(関)으로 갈음한 것. 그러나 한국에서는 일찌감치 묻혀진 상태이다. 억지라고 할 수도 있지만, 영어 Function에 가까운 것은 關數보다 函數. 사실 Function의 개념이 '마술 상자'에 가깝다는 점에서는 '함수'가 더 적합한 표현이다.
  • 공역(共役) ← 공액(共軛) - 영어 Conjugate를 번역한 말. 일본에서는 멍에 액(軛)자가 상용한자가 아니므로 같은 발음을 지닌 부릴 역(役)자로 바꾸어 쓴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한때 軛의 입력이 불가능해서 같은 뜻을 지닌 扼으로 바꾸어 공액(共扼)이라고 쓰던 때도 있었다. 요즘은 이것도 어렵다고 이에 대응되는 '켤레'로 바꾸어 쓰는 추세이다. 중국어는 여전히 그대로이다.
  • 굴삭(掘削) ← 굴착(掘鑿) - 뚫을 착(鑿)20)이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쓰기 쉬운 깎을 삭(削)으로 바꾼 것. 한때 모 중공업 회사에서 대놓고 '굴삭기'라고 썼다가 대차게 까인 바 있다. 다만 땅을 '뚫는' 굴착기와 땅을 '깎는' 굴삭기가 동시에 존재해서 약간 논란이 있다.
  • 방기(放棄) ← 포기(抛棄) - 모두 ほうき로 발음이 같다. 던질 포(抛)가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일본어 발음이 같고 뜻이 비슷한 놓을 방(放)으로 갈음한 것. 포물선(抛物線)도 일본어에서는 방물선(放物線)이라고 한다. 한국어에서는 당연히 포기를 쓰고 방기를 쓰는 사람은 없으나, 일본 평화헌법 제9조를 번역할 때 실수가 종종 생긴다.
  • 사체(死体) ← 시체(屍體) - 屍 대신 획수가 적은 死로 바꾼 것이다.21)
  • 선고(選考) ← 전형(銓衡) - 이들은 모두 せんこう로 발음이 같다. 銓衡은 고대 중국에서 생긴 단어인 반면, 選考는 銓衡과 비슷한 뜻을 나타내게끔 일본이 만들어낸 단어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선고'라 하면 판결선고의 宣告부터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아 일찌감치 묻혔다.
  • 선단(先端) ← 첨단(尖端) - 뾰족할 첨(尖)자가 일본에서는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먼저 선(先)으로 대용한 것. 이것 외에도 尖자가 들어가는 단어들은 대부분 先으로 바꿔서 쓰려고 한다. 先자가 들어갔는데 뭔가 어색하다거나, 뾰족하다는 뜻이 들어가 있다면 尖으로 바꿔 보면 대부분 해결된다. 단, 그렇다고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동(尖端洞)을 선단동(先端洞)으로 '강제 개명'하는 병크는 저지르지 않았다.
  • 십분(十分) ← 충분(充分) - 발음이 같고 획수가 적은 한자로 바꾼 것. 앞서 언급된 단어들에 비하면 일본인들도 혼용해서 많이 쓰는 편. 그런데 충전(전기 充電, 빈 곳 메우는 充塡, 교통카드 充錢)은 같은 방식으로 십전으로 바꿔 쓰기는커녕 チャージ라고 쓰기도 하며, 더구나 充塡은 아예 그대로 쓰는 등 일관성이 없다.
  • 장해(障害) ← 장애(障碍) - 비교적 쓰기 쉬운 害자로 바꾼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발음 차이가 별로 없어서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다만 한자 자체가 장애인을 비하한다는 느낌이 있어서인지 종종 '障がい'식으로 가나와 섞인 형태로 표기하는 예도 있다.
  • 추선(抽選) ← 추첨(抽籤) - 모두 ちゅうせん으로 발음이 같다. 제비 첨(籤)22)자가 일본에서는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가릴 선(選)으로 갈음한 것. 한국어에서는 널리 퍼지지는 않았다.

일본식으로 번역된 호칭

  • XY방송협회 → XY방송공사 - 방송 자체부터가 일본말이긴 하나(이에 대해서는 후술) BBC처럼 외국 공영방송 명칭을 번역할때 '방송협회'식으로 번역하는 예가 많은데 과거 NHK와 비슷한 호칭으로 의역하기를 좋아했던 일본의 관례를 한국이 그대로 받아들인 결과이다. KBS의 예를 적용한다면 BBC도 영국방송공사쯤으로 쓸 수 있다.
  • 각종 창작물에서 영어 'Ministry'나 'Department'로 표기되는 관공서등을 번역할때 XX성(省)식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원래 한국에서 이런 것들은 '부(部)'라고 표기해야 옳다. 소설 1984의 초창기 번역본이 대표적인 예.
  • 몇몇 국가들의 최상위 행정구역을 현(縣)으로 번역하는 일이 자주 있는데 도(道)로 번역해야 더 자연스러운 경우도 많다. 특히 이탈리아같은 경우는 행정구역 명칭이 'provincia'인 만큼 도로 쓰는것이 한국 정서에 더 자연스럽다. (예: 볼차노 현 → 볼차노 ) 실제로 중국에서는 영어 'Province'로 번역될 경우 외국 행정구역이라도 모두 성(省)으로 번역한다. 도를 쓰는 게 어렵다면 최소한 주(州)를 사용해야 적절한데, 왜냐면 도는 현재 한국에서 쓰는 행정구역이고, 주(州)는 과거에 쓰이던 행정구역이지만 유럽이나 미국의 행정구역에 대응시키는 용례가 있는데 반해, 현은 현대 한국에서 쓰이지 않는 행정구역 단위인데다가 그 용례도 현대 일본의 현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라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일본 텍스트 막 갖대 베껴대지 말고 생각좀 하고 옮기라고 번역자들–

기타

  • 계주(継走) → 이어달리기
  • 구락부(倶楽部) → 동호회
  • 구좌(口座) → 계좌(計座). 단, 제주도에 있는 구좌읍(舊左邑)을 가르키기 위한 경우는 예외.
  • 노견(路肩, ろかた) → 갓길. 국립국어원에서는 '노견'을 비표준어로 정하고 있다.
  • 대응(対応) → 일본식 용법으로는 특히 전자기기쪽 용어로 '호환'의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는데23), 한국어에서는 호환을 뜻하는 용법으로 대응을 쓰는 건 어색하다.24)
  • 수속(手續)25) → 절차
  • 매상(賣上) → 판매액
  • 방송(放送) - 본래 근대 이전 한국에서는 죄수를 석방한다는 뜻이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무선전대(無線電臺), TV방송국은 전시대(電視臺)라고 부르며 방송 자체를 일컫는 말로 광파(廣播)란 말을 쓴다.
  • 식상(食傷)하다 → 진부하다
  • 원조교제(援助交際, えんじょこうさい)26) → '청소년 성매매'
  • 잔고(殘高, ざんだか) → 잔액(殘額). 잔고(殘庫)도 혼용되는데, 정작 殘庫라는 말은 일본어에도 없다.
  • 절취선(切取線) → 자르는 선. 절취는 切り取り(키리토리)를 가나를 빼버리고 한국식으로 읽은 것. 결국 일본어이다.
  • 주말(朱抹) → 법원 등기소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본식 단어. 그런데 주말(週末)과 혼동하기 쉬워 '붉은 줄을 그어 지운다'로 풀어쓰거나 '말소'를 쓴다.
  • 천정(天井)27)) → 천장

일본식 한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것

  • 감식(鑑識)
  • 모포 - 보통은 '담요'라고 많이 부른다.
  • 심심(甚深)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원문 기준으로 딱 한번 올라와 있는데 순종황제 때 덴노 순종황제에게 직접 보낸 전보에 나온 것이다. 결국엔 조선왕조실록에 올라온 그것도 일본식 한자어.
  • 지병(持病)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분명히 숙질宿疾이나 노병老病이라고 써져있는 것들이 번역본에서는 전부 지병이라 번역했다.
  • 호우(豪雨) 豪雨는 순종실록부록에 딱 한번 나오는게 다고 순종 이전의 기록에는 大雨가 123번 나온다. 괜히 호우의 우리말이 큰비라고 말하는 게 아니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폭설도 간혹 '호설(豪雪)'이라고 부른다. 일본 주부지역 북부(호쿠리쿠 지방)와 니가타처럼 눈이 많이 오는 지역들을 '호설지대'라고 부르는 것이 그 예이다.
  • 귀하(貴下) 국립국어원에서도 어원, 출처가 어디인지 알 수 없다고 답변했다.

기타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명예교수인 이한섭 교수에 의해 이란 사전이 나왔다. 대부분 일본어잔재론에서 잘 언급되지 않거나 살짝 간만 보고 어물쩍(…)넘어가는 것과 다르게 개념어 중심의 일제 한자어를 본격적으로 다루며 용례와 어원,출처까지 밝힌 최초의 사전. 중국어,일본어는 물론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고전번역 DB와 교차대조한 결과물이라 한다.

  • 출처: 엔하위키미러- 일본식 한자어(CC BY-NC-SA 2.0)
1)
다만 한국에서는 和자를 일본이라는 뜻으로 쓰지 않기 때문에 화제 한어라고 직역해서 쓰면 오역이 된다. 나아가 일본식 한자어의 유형 중 순 일본말인데 한자화한 것은 和製漢語에는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뜻도 약간 다르다.
2)
실제 일본어에서는 높임말 'お'를 붙여서 말하는 경우가 더 많다.
3)
漢字, 세상을 말하다 浪漫 [http://china.joins.com/portal/article.do?method=detail&total_id=15806577 중앙일보 기사]] Romanticism을 일본에서 '낭만주의(浪漫主義)'로 음역하였고[* '낭만'을 읽을때는 장음이 들어가긴 하지만 일본어에서 외래어는 필요에 따라 장음이 생략되거나 반대로 첨가되는 경우도 많다(예: Door → ドア
4)
인민 항목과 함께 다음의 자료도 참고할 것. 20 세기 일본의 「인민」개념의 획득과 상실 위 출처에서 일부 인용. 어원에 배려한 『 일본 국어 대 사전 』(쇼가쿠칸, 1974년)에는 "국가를 구성하는 사회를 조직하는 사람들. 보통, 통치자에 대한 피지배자, 벼슬 없는 일반 사람들을 두고 하는 말"로서 『 사기 』의 "천하 인민"에서 『 속 일본기 』의 "인민 풍락"등을 거쳐 『 지방의 입지 편 』의 나카무라 타다시 직역에 이르는 계보가 적혀 있다. 이 것은 "인민"이 한서를 내고 메이 지기에 번역어로서 정착해 온 것임을 시사한다. 語源に目配りした『日本国語大辞典』(小学館、1974年)には、「国家を構成し、社会を組織している人々。ふつう、支配者に対する被支配者、官位のない一般の人々をさしていう」として、『史記』の「天下人民」から『続日本紀』の「人民豊落」などを経て『西国立志編』の中村正直訳にいたる系譜が書かれている。このことは、「人民」が漢籍に発するにせよ、明治期に翻訳語として定着してきたものであることを示唆する。
5)
예컨대, 지금 '정치'라고 말할 때의 개념은 조선시대 정사의 개념이 아니라, politic에 훨씬 가깝고, 이 어휘의 이러한 개념 변화를 주도한 것은 일본의 서구 정치사상에 대한 번역 작업이지만, 이 말 자체를 일본이 만들었거나, 최초로 유행시켰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새로운 어휘가 도입된 것이 아니라,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대한 개념 자체가 달라진 것이다.'공화국'이라는 말이 플라톤의 politeia를 어원으로 하는 전례가 없던 서구 정치구조에 대한 번역어로서 급작스럽게 도입된 것과는 다르다.
6)
일본어 '카라'는 비었다는 뜻 외에 '가짜'나 '임시'란 뜻이 있다. 가라오케란 표현을 예로 들 수 있다.
7)
정작 일본어로 상자는 箱하나만 쓴다. 이경우는 일본식과 한국식이 섞인 사례.
8)
한국식 한자어 '처(處)'에 해당. 그런데 이것을 선(線)으로 아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
9)
'~곳'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원(院)으로 아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원(院)은 한국어에도 원래부터 있던 표현이라는 게 함정.
10)
공문서를 말하는 표현이다.
11)
한국어에는 '대합(待合)하다'는 말은 없다.
12)
보통은 높임법 접두사를 붙여서 '고와리비키'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13)
이키사키(いきさき)라고 쓰기도 하나 대개는 유키사키라고 쓴다
14)
일각에선 "처지"로 대체해야한다고 하나, '처지'에는 '입장'에 있는 '어떤 관점의 바탕을 이루는 기본 테두리의 생각'이라는 뜻이 없어서 그냥 이것으로 치환하면 어색한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이런 뜻을 나타내려면 태도로 옮기기도 한다). 또한 이 단어 역시 중국어에 엄연히 존재하는 단어이다.
15)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은 훈독으로 읽지만 경제학 용어로 쓸때는 음독으로 읽는다.(예: 시장경제 - 시죠오케이자이
16)
그런데 막상 일본에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등에서 보이는 취소버튼을 영어에서 빌려온 'キャンセル'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17)
상황이나 문맥에 따라 '전달', '판매', '전송'등 각기 다른 단어로 의역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音楽配信'은 '음악 디지털 판매'라고 번역해야 한다. '動画配信'은 '동영상 스트리밍'정도가 된다.
18)
시리즈물인 경우, 첫번째 작품에 아무런 수식어가 붙지 않기 때문.
19)
1945년 제정된 당용한자 1850자를 바탕으로 1981년에 95자를 추가하였다.
20)
상용한자 정도가 아니라 일본어에서 완전히 퇴출된 한자이다. 현지 일본인들은 이 한자를 한국과 중국에서만 쓰는 한자라고 알고 있는 실정.
21)
尸도 ‘주검 시’이긴 하지만 쓰임이 다르고, 상용한자도 아니므로 여기에 갖다 붙이면 안 된다. 쓰임이 다르다는 걸 모르겠으면 스스로의 한자 실력이 부족한 것이다. 예를 들어 蛇도 巳도 모두 ‘뱀 사’이지만 이들은 쓰임이 전혀 다르며, ‘독사’ 등의 단어에서 일반적인 동물로서의 뱀을 일컬을 때는 당연히 蛇만을 쓰고 巳는 쓰지 않는데, 비슷한 이치이다.
22)
본래 '쿠지'로 훈독했지만(예: 오미쿠지 - 御神籤) 이것조차 현대에는 히라가나 'くじ'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사라진 한자라고 보면 된다.
23)
ex. USB 3.0 대응, 비트콘 대응 등
24)
단 일본어에서도 호환(互換)이란 한자를 안 쓰는건 아니다. 예를 들어서 과거 IBM PC 호환기종(DOS/V)을 부르던 정식 명칭을 'PC/AT互換'이라고 하지 'PC/AT対応'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25)
이것보다는 수순(手順)이 많이 지적당한다. 바둑 용어여서인지 쉽게 대체되지 못하는 듯하다. 정작 '수속'은 항공업계 아니면 잘 안 쓰이는 추세.
26)
본래 1990년대 갸루족들의 성매매 풍조와 관련된 단어였다. 자세한 건 갸루 패션 항목 참조
27)
단, 대한민국에서 이걸 일본식 발음 그대로 읽은 '덴조'는 오히려 천장 안쪽에 있는 빈 공간을 가리킨다. 일본식 한자어로는 텐조우라(天井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