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의사 [2016/05/15 15:07] – V_L | 의사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의사 ====== | ====== 의사 ====== | ||
고도의 의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인체의 질병을 예방, | 고도의 의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인체의 질병을 예방, | ||
줄 31: | 줄 32: |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인턴을 수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
+ | |||
+ | 인턴을 수료하고 | ||
+ |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
줄 65: | 줄 70: | ||
+ | =====같이보기===== | ||
- | + | | |
- | | + | |
* [[http:// | * [[http://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