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의사 [2015/05/28 16:07] – 문서가 wiki:의사에서 의사(으)로 옮겨졌습니다 V_L의사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의사 직업 소개 고용노동부}}
 ====== 의사 ====== ====== 의사 ======
 +고도의 의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인체의 질병을 예방,진단, 치료하는데 관련된 업무를 수행합니다. 대개 전문분야에 따라 내과 , 신경과 , 전신과 ,일반외과 , 정형외과, 신경외과,흉곽외과 , 성형외과, 마취과, 소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 진단방사선과 , 치료방사선과, 해부병리과 ,임상병리과 , 결핵과 , 재활의학과 , 예방의학과 및 가정의학과로 구분됩니다.    
  
 +{{:의사_0516000646.png}}
 +{{:의사_0516000731.png}}
 =====핵심능력===== =====핵심능력=====
  
줄 10: 줄 14: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시험 및 진단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치료의 종류와 순서를 결정한다.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시험 및 진단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치료의 종류와 순서를 결정한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줄 18: 줄 25: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위급한 환자에 대한 빠른 판단력과 치료 결과를 의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력이 요구된다.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위급한 환자에 대한 빠른 판단력과 치료 결과를 의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력이 요구된다.
 +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줄 24: 줄 32: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인턴을 수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 
 +인턴을 수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클리닉센터 등에 취업한다. 이외에도 대학 및 각종 연구소, 언론업체나 제약회사, 보험사 등에 진출이 가능하다.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클리닉센터 등에 취업한다. 이외에도 대학 및 각종 연구소, 언론업체나 제약회사, 보험사 등에 진출이 가능하다.
  
 =====고용현황===== =====고용현황=====
-- 전문의사의 종사자수는 86,281명이다(자료: 건강보험통계, 2012.2분기).  +  - 전문의사의 종사자수는 86,281명이다(자료: 건강보험통계, 2012.2분기).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평균 연령은 41.7세이다. 전체적으로 평균 17.4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7.1년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평균 연령은 41.7세이다. 전체적으로 평균 17.4년의 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계속 근로연수는 7.1년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임금수준===== =====임금수준=====
-- 전문의사의 월평균 수입은 597만원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 전문의사의 월평균 수입은 597만원이다(자료: 2011-2012 Job Map).
 =====준비방법===== =====준비방법=====
  
 ====정규 교육과정==== ====정규 교육과정====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의예과(2년), 의학과(4년)를 졸업하면 의사 국가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의사면허증이 나오고 의사가 된다.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의예과(2년), 의학과(4년)를 졸업하면 의사 국가고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의사면허증이 나오고 의사가 된다. 
 +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사회봉사 실적 및 면접 등의 다양한 평가를 거쳐 합격해야한다. 대학에서 이과 및 공학계열을 전공하면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시 좀 더 유리하다.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사회봉사 실적 및 면접 등의 다양한 평가를 거쳐 합격해야한다. 대학에서 이과 및 공학계열을 전공하면 의학전문대학원 입학 시 좀 더 유리하다.
 ====관련 자격증==== ====관련 자격증====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결핵과, 예방의학과는 3년) 과정을 거쳐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될 수 있다.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결핵과, 예방의학과는 3년) 과정을 거쳐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될 수 있다.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줄 54: 줄 70:
  
  
 +=====같이보기=====
  
- +  * [[http://www.career.go.kr/cnet/front/base/job/jobView.do?SEQ=1440#tab3|한국직업능력개발원]]
-  * [[http://www.careernet.re.kr/|한국직업능력개발원]]+
   * [[http://text2mindmap.com/acCP88|http://text2mindmap.com/PdWK7q]]   * [[http://text2mindmap.com/acCP88|http://text2mindmap.com/PdWK7q]]
  
-{{tag>의사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