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의사 [2015/05/28 16:07] – 문서가 wiki:의사에서 의사(으)로 옮겨졌습니다 V_L | 의사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의사 ====== | ====== 의사 ====== | ||
+ | 고도의 의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인체의 질병을 예방, | ||
+ | {{: | ||
+ | {{: | ||
=====핵심능력===== | =====핵심능력===== | ||
줄 10: | 줄 14: | ||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 ||
+ | |||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 ||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 ||
+ | |||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 ||
+ | |||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 ||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 ||
줄 18: | 줄 25: | ||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 ||
+ | |||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 ||
줄 24: | 줄 32: |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인턴을 수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
+ | |||
+ | 인턴을 수료하고 | ||
+ |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
=====고용현황===== | =====고용현황===== | ||
- | - 전문의사의 종사자수는 86, | + | |
- |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 + |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
=====임금수준===== | =====임금수준===== | ||
- | - 전문의사의 월평균 수입은 597만원이다(자료: | + | |
=====준비방법===== | =====준비방법===== | ||
====정규 교육과정==== | ====정규 교육과정==== | ||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 ||
+ | |||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 ||
====관련 자격증==== | ====관련 자격증==== | ||
- |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 + |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
+ | |||
+ |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 ||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 ||
줄 54: | 줄 70: | ||
+ | =====같이보기===== | ||
- | + | | |
- | | + | |
* [[http:// | * [[http://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