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의사 [2015/05/28 16:07] – 문서가 wiki:의사에서 의사(으)로 옮겨졌습니다 V_L | 의사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 의사 ====== | ====== 의사 ====== | ||
| + | 고도의 의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인체의 질병을 예방, | ||
| + | {{: | ||
| + | {{: | ||
| =====핵심능력===== | =====핵심능력===== | ||
| 줄 10: | 줄 14: | ||
|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 전문의사는 환자가 가진 병의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하고 예방하는 일과 손상된 신체를 복구하고 재활시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 ||
| + | |||
|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 환자의 질병, 장애에 대한 처방, 치료의 범위 및 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의료검사, | ||
|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내외과적 기구 및 장비를 사용하고 처방된 치료와 건강상의 유의점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 ||
| + | |||
|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 의학실험과 수술을 수행하고 특수기술 및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하기도 한다. | ||
| + | |||
|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 투약을 비롯한 각종 치료행위를 처방 지시하고 환자들에게 식사, 질병예방 등에 관해 조언한다. | ||
|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 전공에 따라 총 26과의 전문 분야로 나뉜다. | ||
| 줄 18: | 줄 25: | ||
|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 전문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한 논리적 분석 능력이 필요하며, | ||
| + | |||
|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 투철한 사명감과 성실함이 필요하며 환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일의 특성상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책임감이 필요하다. | ||
| 줄 24: | 줄 32: | ||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의대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여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될 수 있다.  | ||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인턴을 수료하고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 그러나 의사자격을 획득하고 1년 간 대학병원의 모든 과를 돌며 자신의 전공 분야를 선택하는 시기를 갖는다.  | 
| + | |||
| + | 인턴을 수료하고  | ||
| + | 자신이 원하는 전공(분야)에서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가 된다. 약 4년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로 지낸다. 전공의 수련의(레지던트)를 수료한 후, 시험을 쳐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 ||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전문 의사 면허 취득 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의원을 개원할 수 있으며, 종합·대학병원, | ||
| =====고용현황===== | =====고용현황===== | ||
| - | - 전문의사의 종사자수는 86, | + |    | 
| - |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 + |   - 전문의사의 성비는 남자 80.0%, 여자 20.0%이며, | 
| =====임금수준===== | =====임금수준===== | ||
| - | - 전문의사의 월평균 수입은 597만원이다(자료: | + |    | 
| =====준비방법===== | =====준비방법===== | ||
| ====정규 교육과정==== | ====정규 교육과정==== | ||
|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 대학의 의예과에 입학하여, | ||
| + | |||
|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 일반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여야 한다.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의학교육입문검사(MEET)에 응시해야 하며, 이외에 각 대학원별로 일부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거나 평점, 외국어능력, | ||
| ====관련 자격증==== | ====관련 자격증==== | ||
| - |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 + | 의사가 되려면 의학과를 전공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의사 국가면허시험에 합격 한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의사 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 
| + | |||
| + | 의사 면허 취득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가정의학과, | ||
|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 한편,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MEET(Medical Education Eligibilty Test) : 의학교육입문검사시험을 쳐야 한다. | ||
| 줄 54: | 줄 70: | ||
| + | =====같이보기===== | ||
| - | + |    | |
| - |    | + | |
|   * [[http:// |   * [[http:// | ||
| - | {{tag> | ||
![[H] 오픈위키](/_media/logo.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