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순대 [2014/07/26 14:54] – [병천순대] _sx.twitter.52329089 | 순대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 순대 ====== | ====== 순대 ====== | ||
| + | 고구려시대에 몽골인들 한테서 유래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 ||
| + | 기본적으로 순대는 돼지창자로 만들어 | ||
| + | 그 창자속에 찹쌀, 당면, 야채, 고기 등등을 넣어서 만든다. | ||
| + | |||
| + | |||
| + | * [출처] [[http:// | ||
| - | |||
| ====찹쌀순대==== | ====찹쌀순대==== | ||
| 줄 8: | 줄 14: | ||
| {{http:// | {{http:// | ||
| - | 다들 많이 먹어봤을테고 분식집가서 떡볶이 시키면 항상 같이 시키는 찹쌀순대다 | + | 다들 많이 먹어봤을테고 분식집가서 떡볶이 시키면 항상 같이 시키는 찹쌀순대다. |
| 난 개인적으로 떡볶이 양념에 찍어먹는 찹쌀순대가 가장 좋더라 | 난 개인적으로 떡볶이 양념에 찍어먹는 찹쌀순대가 가장 좋더라 | ||
| 그런데 분식집마다, | 그런데 분식집마다, | ||
| - | |||
| - | |||
| - | |||
| ====아바이순대==== | ====아바이순대==== | ||
| - | |||
| {{http:// | {{http:// | ||
| - | 아바이가 함경도 사투리인데 아버지라는 뜻으로 | + | 아바이가 함경도 사투리인데 아버지라는 뜻으로 |
| 아바이순대는 함경도식 순대이다. 다른 순대가 작은창자를 쓰는데 반해 | 아바이순대는 함경도식 순대이다. 다른 순대가 작은창자를 쓰는데 반해 | ||
| - | 아바이순대는 큰창자를 쓴다. | + | 아바이순대는 큰창자를 쓴다. |
| - | 오징어를 사용한 순대를 아바이순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 | 오징어를 사용한 순대를 아바이순대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 - | |||
| - | |||
| ==== 제주순대==== | ==== 제주순대==== | ||
| 줄 38: | 줄 37: | ||
| 크기가 다른 순대보다 크고, 보리, 메밀, 부추가 주재료로 들어간다. 그리고 순대를 초장에 찍어먹는다. | 크기가 다른 순대보다 크고, 보리, 메밀, 부추가 주재료로 들어간다. 그리고 순대를 초장에 찍어먹는다. | ||
| - | 사진에 보이는 순대 색깔은 돼지선지를 사용해서 다른 순대랑은 많이 차이난다. | + | 사진에 보이는 순대 색깔은 돼지선지를 사용해서 다른 순대랑은 많이 차이난다. |
| - | |||
| - | |||
| ====병천순대==== | ====병천순대==== | ||
| 줄 48: | 줄 45: | ||
| 일반 순대를 제외하고 가장 유며한 순대가 이 병천순대이다. | 일반 순대를 제외하고 가장 유며한 순대가 이 병천순대이다. | ||
| - | 다른 순대보다 야채가 많이 들어있다. | + | 다른 순대보다 야채가 많이 들어있다. |
| 일단 이 순대를 씹으면 푸석거리는 느낌이나 그러다가 그런 푸석거리는 느낌이 채 없어지기도 전에 | 일단 이 순대를 씹으면 푸석거리는 느낌이나 그러다가 그런 푸석거리는 느낌이 채 없어지기도 전에 | ||
| 순대가 입안에 녹아있어 그리고 새우젓과 곁들어먹는 데 그 맛은 정말 환상적으로 좋다. | 순대가 입안에 녹아있어 그리고 새우젓과 곁들어먹는 데 그 맛은 정말 환상적으로 좋다. | ||
| 줄 55: | 줄 52: | ||
| 순대국밥을 해서 먹어도 병천순대는 최고. | 순대국밥을 해서 먹어도 병천순대는 최고. | ||
| + | ====암뽕순대==== | ||
| - | ====암뽕순대==== | ||
| - | |||
| | | ||
| - | |||
| 이 순대는 이름부터가 뭔가 고상하다. 암뽕은 암퇘지의 자궁을 말하며, 그래서 암퇘지 창자를 이용한 순대이다. | 이 순대는 이름부터가 뭔가 고상하다. 암뽕은 암퇘지의 자궁을 말하며, 그래서 암퇘지 창자를 이용한 순대이다. | ||
| 이 암뽕순대에도 돼지선지가 들어가 주 재료는 생강, 마늘, 대파. 생강이 돼지창자의 비린내를 확 잡아줘서 좋고, | 이 암뽕순대에도 돼지선지가 들어가 주 재료는 생강, 마늘, 대파. 생강이 돼지창자의 비린내를 확 잡아줘서 좋고, | ||
| 따로 장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이 잘돼있다. | 따로 장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이 잘돼있다. | ||
| - | + | ||
| ====백암순대==== | ====백암순대==== | ||
| - | + | ||
| {{http:// | {{http:// | ||
| - | |||
| 백암순대는 용인근처 백암에서 유래되어온 순대. | 백암순대는 용인근처 백암에서 유래되어온 순대. | ||
| 천안에 병천순대가 있듯이 용인에 백암순대. | 천안에 병천순대가 있듯이 용인에 백암순대. | ||
| - | 들어가 재료다양성은 백암순대가 가장 높고 영양가 또한 높다. | + | 들어가 재료다양성은 백암순대가 가장 높고 영양가 또한 높다. |
| - | + | ||
| - | + | ||
| ====카레순대(번외)==== | ====카레순대(번외)==== | ||
| {{http:// | {{http:// | ||
| - | 순대 속재료를 만들때 카레가루를 같이 넣어서 | + | 순대 속재료를 만들때 카레가루를 같이 넣어서 |
| - | 버무린다음에 창자에 넣어 만드는 순대이다. 주로 순대 체인점같은 곳에 있다. | + | 버무린다음에 창자에 넣어 만드는 순대이다. 주로 순대 체인점같은 곳에 있다. |
| * [출처] [[http:// | * [출처] [[http:// | ||
| - | |||
| - | {{tag> | ||
![[H] 오픈위키](/_media/logo.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