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on disabled: source

Mmpi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심리학자인 S. 헤터웨이가 이끄는 미네소타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다면적 인성검사법이다. 대학생들의 성격검사와 기업체에서의 인사관리 등에 쓰여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임상심리학회가 우리의 실정에 맞게 22종의 세분화된 표준집단을 통해 제작했다.

1. 객관적 성격검사의 발달

최초의 객관적 성격검사는 세계 1차 대전 당시 군지원자들에 대한 대규모의 진단평가를 위해 제작된 Woodworth Personal Data Sheet(1920)로서 임상면담용, 지단용 검사로서 유용하였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 이후에도 검사문항이 검사제작자의 이성적 근거에 따라 구성된 검사들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검사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이나 속성을 실제로 측정한다는 경험적인 지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다른 검사제작방법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검사제작방법은 경험적 준거방식 the empirical criterion keying approach이었다.

경험적 검사제작방식으로 제작된 가장 대표적인 검사가 바로 Hathaway와 Mckinley에 의해 완성된 다면적 인성검사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MMPI 1943)이다. 경험적 방식은 집단을 구별해주는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하게 된다. 즉, 문항선택의 기준이 경험적 근거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방식의 검사는 경험적 근거에 따라 검사가 제작되었다는 장점 외에도 개인이 기준집단에 속하는지를 평가해주는 실용봉막� 인해 실제 장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객관적 성격검사의 분류

객관적 성격검사가 제작된 이론적 배경에 따라 성격검사를 구별해 보면, 특성론적 입장의 성격검사와 유형론적 성격검사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게 된다.

유형론은 사람들을 구별하는 불연속적 범주들의 한 집합이라고 간주된다. 예를 들면, 성격이 세 가지 유형인 내향성, 외향성, 양향성으로 구별되는데, 이 세 유형들은 불연속적인 성질을 띄고 있어서 한 개인은 특정한 한 성격유형으로만 분류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특성론에 따르면 성격은 연속적인 차원에 따라 기술된다. 예를 들면 한 개인이 공격성의 특성을 어느 정도로 소유하고 있는지가 관심의 초점이 된다.

3. 다면적 인성검사 MMPI

1) MMPI란

MMPI(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객관적 성격검사이다. 오늘날까지 MMPI에 관해서는 45개 나라에서 115종류 이상의 번역판이 출판되어 있고 12,000가지 이상의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발표되어 있다. 566문항,383문항의 두 종류의 검사지가 있으며 수기용이나 컴퓨터용으로 채점할 수 있다.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임상척도와 그 사람의 검사태도를 측정하는 4가지 타당도척도에 따라 해석되어진다.

2) MMPI의 목적

원래 MMPI는 1940년대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심리학자인 Stark Hathaway 와 정신과 의사인 Jovian Mckinley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MMPI(The Minnesota Muliphasic Personality Inbentory)의 일차적인 목적은 정신과적 진단분류를 위한 측정으로, 일반적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병리적 분류의 개념이 정상인의 행동과 비교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정상인의 행동설명 및 일반적 성격특성에 관한 유추도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하기 위함은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으로 진전될 가능성을 미리 찾아내어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하기 위한 검사이다.

3) MMPI 검사의 특징

  1. MMPI는 질문지형 성격검사인데도 상당히 투사법적 함축(projective implication)을 띤550개의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 16문항이 중복되어 총 56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사자가 각 문항에 대하여 "그렇다" 혹은 "아니다"의 두 가지 답변 중 하나를 택하여 반응하게 되어 있다.
  2. MMPI는 주요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임상척도와 그 사람의 검사태도를 측정하는 4가지 타당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타당도 척도는 피검자가 얼마나 정확하게 검사를 실시했었는지에 대한 검사태도를 평가할 수 있다.
  3. MMPI는 문항선정과 척도구성은 철저한 경험적 접근을 통하여 만들어졌다. 이것을 국내의 상황에 맞게 다시 재표준화를 하였다.
  4. MMPI는 피검자의 심리적 상태 및 정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매우 신뢰롭고 타당하게 반영해 준다.
  5.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병원중심의 임상척도 뿐 아니라 일반인의 적응이나 성격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특수내용 척도가 있어 정상인의 적응과 성격을 예측, 이해하는데 효율성이 높다.

4. MMPI의 제작

1) MMPI의 제작

MMPI 척도는 경험적 접근방식에 따라 문항이 분석되고 구성되었다. 즉 검사제작자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문항이 선택된 것이 아니고 정신장애군과 정상성인군을 변별해주는 문항들의 통계적 결과에 따라 선택된 것이다. 즉 두 집단을 변별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문항들이 통계적 검증을 거쳐서 각 척도의 문항으로 선정된 것이다. 이와같이 MMPI의 임상 척도들은 피검자들이 지니고 있는 우울증, 심기증, 반사회성, 정신분열증, 조증과 같은 임상적인 증후군을 평가해주고 1940년대 당시의 진단범주에 따라 임상진단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방식에 따라 검사가 제작되기는 하였으나 검사의 전체적인 제작과정이 경험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원문항들이 정신의학적 진단과 관련되는 기존의 내용영역과 주제를 고려하여 선택되었기 때문이다.

‘집단간 비교방식’으로 8개의 임상척도가 구성되었는데 이들 척도들은

  • Hs(건강염려증),
  • D(우울증),
  • Hy(히스테리),
  • Pd(반사회성),
  • Pa(편집증),
  • Pt(강박증),
  • Sc(정신분열증),
  • Ma(경조증) 이였다.

또한 그 당시의 다른 검사와는 달리 타당성 척도도 포함이 됐는데, Mf(남성특성/여성특성)와 Si(내향성)이 그 것이다.

이렇게 MMPI는 임상진단용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MMPI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MMPI의 단일 척도상승이 특정한 정신장애를 직접적으로 나타내 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예를 들면 우울증환자는 우울증척도에서만 높은 점수를 보이고 정신분열증 척도에서는 그렇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 것이다.) 그러나 MMPI가 정신장애 진단을 구별해주는데 좋은 도구가 아니다는 것이 밝혀졌다. 왜냐하면 하나의 척도에서 점수가 높은 환자들이 다른 척도에서도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있었고, 어떤 환자는 기대되는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지 않았으며, 정상인도 하나 이상의 척도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날 때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와같이 MMPI의 각 척도들은 정신병리를 진단해주는 측정도구로 간주될 수 없다

그래서 현재 MMPI는 원래 의도된 목적과는 다르게 쓰여지고 있다. 어떤 피검자가 특정한 척도에서 일정한 점수를 얻게되면 임상가는 사전 연구와 임상경험을 통하여 그 척도에서 유사한 점수를 얻었던 다른 사람들에게서 밝혀졌던 특성과 행동을 그 피검자에게도 적용하고자 한다. MMPI 활용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행동적 기술접근방식이 MMPI의 임상적 장면에서의 효용성을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각 프로파일에서 진술되는 행동기술적 내용들이 그러한 프로파일을 보이는 모든 피검자에게 해당되는 것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대체로 전형적인 환자의 경우 그러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란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2) MMPI-2 제작

Butcher와 Owen(1978)은 MMPI가 지니고 있는 많은 문제점과 이에 대한 비판점을 지적했고 이에 따라 MMPI의 개정과 재표준화가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이렇게 해서 MMPI에, 당시 사용되고 있는 타당도, 임상척도, 특수척도를 유지하면서, 시대에 어울리지 않거나 부자연스런, 그리고 남녀차별적인 문항들을 적절하게 개정했다. 또한 새로운 내용을 추가시키기도 했고 새로운 규준을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성인형과 청소년형으로 구분해서 만들고 청소년형은 이 연령층에 맞는 문항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MMPI-2는 MMPI보다 유용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는데 특히 MMPI의 해석은 새로운 MMPI-2내용척도의 개발로 확장되고, 개선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척도들은 개별 척도들의 동질성을 향상시키고 척도간 상관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통계적인 문항 선택기법을 사용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다단계적이고 다방법적으로 개발되었다. MMPI-2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분석을 통하여 진단이나 치료, 그리고 연구영역에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참고) MMPI 168 적응진단검사

적응진단검사는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566문항을 168문항으로 줄인 단축형 다면적 인성검사이다. 다면적 인성검사의 문항 수가 너무 많아 검사 시행에 너무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데, 이 문제는 다면적 인성검사가 발표된 직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문제였다. 적응진단검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면적 인성검사가 제공하는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168개의 문항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단축형에 대해서 150여 개 이상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를 전체적으로 개관한 여러 연구자들은 적응진단검사가 채택한 방법이 가장 훌륭한 단축형 다면적 인성검사라는 것에 대하여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3) MMPI 검사시행 및 행동관찰

- MMPI 실시단계

MMPI는 임상가에 따라서 다른 검사보다 먼저 실시되거나 다른 검사를 마친 다음에 실시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지간에 MMPI를 검사자가 피검사자에게 건네주는 순간부터 MMPI 검사과정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MMPI를 주고 받으면서 검사자와 피검자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는 MMPI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역으로 이러한 관계에서 관찰되는 행동은 해석의 자료를 제공해준다.

- MMPI를 완성한 후

내담자나 환자가 검사응답지를 제출하는 경우 역시 검사자는 신중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 먼저 검사지가 적절하게 응답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응답지에 잘못한 것이 없는지 보아야 한다. 이러한 검토는 검사의 타당성 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내담자나 환자의 행동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또한 피검자가 너무 길게 시간을 끌거나 곧바로 검사를 끝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매우 간단한 검사수행 과정에서 관찰되는 피검자의 행동이 의외로 많은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으므로 검사수행 과정에서 면밀한 행동관찰을 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행동관찰은 내담자나 환자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검사자가 좋은 치료자가 될 수 있도록 훈련받는 수단으로도 필요하다.

4) MMPI 해석방식

- 형태 해석 Configurational Interpretation

임상척도간 상관관계나 임상증후간 중복 때문에 피검자의 MMPI 결과는 몇 개의 척도가 동시에 하나의 형태를 이루면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형태분석은 T 점수가 70점 이상으로 상승된 임상척도들을 하나의 프로파일로 간주하여 해석하는 2-코드, 3-코드 방식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임상척도 가운데 척도 2와 척도 7이 T 점수 70점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으면 2-7코드형이 된다. 또한 타당도 척도와 임상척도 가운데 의미있게 점수가 상승하는 척도들을 묶어서 전체 형태로 보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전체 임상척도의 프로파일에 대한 형태적 분석방식도 있다. 이러한 각 형태분석 방식은 서로 배타적이라기보다 보완적이며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해석할 수 있다.

- 내용에 근거한 해석 Content-based Interpretation

MMPI에 대한 연구개발과 임상 적용을 프로파일들의 경험적 연구와 이를 근거로 한 내용적 해석을 강조한 것이다. 내용해석은 피검자가 검사 문항에 응답하는 과정에서 문항의 의미와 내용에 솔직하고 직접적으로 반응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요인분석적 접근

MMPI 전체 문항들이나 특정척도에서 요인을 밝혀내는 접근인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불안”, “억압” 척도로서, MMPI의 표준 임상척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요인척도 “A"(불안)와 ”R"(억압)이 개발된 것이다.

내용해석에 대한 논리적 접근

논리적 분석에 따라 내용척도를 개발하려는 시도로 이루어졌다. 상승된 척도의 내용차원의 “의미”를 검토함으로써 척도에 대한 논리적이거나 직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내용해석에 대한 ‘결정문항’ 접근

이 접근은 피검자들이 문항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통해서 개인적인 문제를 드러낼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어떤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보다 더 중요하게 문제영역을 결정적으로 반영한다고 간주된다. 이 방식은 단일 문항들의 낮은 신뢰도가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지만 내용에 근거한 해석과정으로서 경험적인 해석방법에 추가되고 있다.

- 특수척도의 해석 Special scale interpretation

현재 MMPI에 대한 연구와 실시는 주로 타당도 척도, 임상척도, 내용척도, 그리고 다른 특정한 또는 실험적인 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MMPI의 경우 지배성이나 편견과 같은 성격특성 혹은 행동특성을 측정하거나 약물남용이나 만성적 질병과 같은 다양한 증후군을 예측하려는 목적에 따라 부가적인 척도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부가척도중 소수의 특정 척도는 널리 연구되고 임상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자아강도척도, 일반적 부작용, 불안측정 요인척도, 알콜남용척도 등이 있다.

Ⅱ. MMPI의 해석전략

MMPI가 객관적인 검사로서 비록 손쉽게 사용될 수 있어도 해석과정에서는 임상가가 해석 내용을 신중하고 깊게 다루어야 한다. 즉 MMPI 자료를 그거로 하여 임상진단이나 성격특성, 행동특징에 대한 해석을 내릴 때 개인에게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로 받아들여져야 하고 이차적으로 다른 검사 자료나 검사외적인 다른 자료와 비교하여 MMPI 해석의 타당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 가설설정 단계의 2가지 간접적 추론

  1. 특정한 환경에 있는 개인간 차이에 관한 가설 제공
  2. 특정한 상황에 있는 많은 개인들의 공통점에 관한 가설 제공

▶ 이차적 추론과정

  1. 피검자의 검사수행 태도는 어떠한가?
  2. 피검자의 일반적인 적응수준은 어떠한가?
  3. 어떤 심리적 특징이 피검자에 대해서 추론될수 있는가?
  4. 피검자에게 가정 적절한 임상진단은 무엇인가?
  5. 피검자의 행동 저변에 어떤 정신역동이 존재하고 있는가?
  6. 피검자의 치료에 관한 제언은 무엇인가?

1. 검사수행 태도

피검자의 검사 수행태도는 질적 측면과 양적 측면으로 나뉜다. 질적측면의 검사완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검사를 시행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근거로 판단한다. 검사수행의 태도는 일차적으로 MMPI의 타당도 척도 L, F, K 점수를 기초로 하여 검토된다.

  • 타당도 척도: 피검자가 응답하지 않는 문항수에 따라 점수가 계산됨.
  • L척도: 피검자가 자신을 지나치게 바람직하고 모범적인 모습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 사소한 결점을 나타내는 문항 15개로 구성되어있다.
  • F척도: 검사문항에 대해 정상인들이 응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는 경향성을 발견하고자 하는 64개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이 MMPI 해석의 첫 단계에서는 피검자의 검사수행 태도에 관해 판단해야 한다. 만약 피검자가 솔직하지 못한 태도를 취함으로써 타당도 프로파일에서 극단적인 신뢰성 결여를 나타낸다면 임상척도들에 대한 해석은 보류되어야 한다.

2. 적응수준

  • F척도: 정신병리의 지표로서 간접적으로 피검자의 적응수준을 알려준다. F척도의 상승은 정서적인 혼란과 피검자의 기능의 손상을 나타낸다.
  • 임상척도: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통하여 적응수준을 추정한다. 임상척도들이 정적기울기(왼편에 위치한 신경증적 척도를 점수가 낮고 오른편에 위치한 정신증적 척도들의 점수가 높은)를 보이면 심각한 정신병리와 신경증적 상태를 시사한다.
  • 부적기울기(왼편의 신경즉적 척도 점수가 높고 오른편의 정신증적 척도 점수가 낮은)는 신경증적 상태에 있거나 내적으로 갈등을 겪고 있지만 심리적 기능수준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 단일한 임상척도: 척도2(우울증척도)와 척도 7(강박증척도)이 적응수준과 관련된 간접적 지표이다. 척도 2가 높은 경우 피검자의 불만족 정도를 나타내며, 척도7이 높을 경우는 불안, 초조감, 두려움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두척도에서 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적응수준이 낮다.

3. 성격적, 행동적 특성

이 단계에서는 피검자를 보다 전체적으로 이해하 수 있도록 심리적 특성, 행동, 태도, 방어기제, 증상등을 기술하게 되고 다음의 다양한 성격과 행동특징은 타당척도, 각 심상척도, 전체척도형태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추론된다.

  1. 주요한 욕구(의존, 성취, 자율성등) : major needs
  2. 환경지각, 특히 주요한 주변 인물에 대한 지각: person perception
  3.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대응전략, 방어기제) : stress reaction
  4. 자아개념: self-concept
  5. 정신성적 동일시: sexual identification
  6. 정서적 통제: emotional control
  7. 대인관계: interpersonal relationship
  8. 심리적 자원: psychological resources
  9. 증상: symptoms

4. 역동적 진단

역동적 평가는 MMPI해석 통하여 직접적으로 추출되지 않고 피검자의 심리적 특징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추론되어야 한다. 이 평가는 일차적으로 성격과 행동, 정신병리에 관한 임상가의 이론적 지식과 정신병리에 대한 임상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나아가서는 다른 심리평가 자료와의 관련성을 기초로 이루어질 것이다.

5. 임상적 진단

실제 임상장면에서 임상적 진단은 치료 방향과 목표설정, 치료결과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근거가 되기 때문에 MMPI에 의한 임상진단 제시, 감별진단 제시는 유용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상진단은 선행연구들에서 각 정신장애집단별 프로파일을 검토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능한 임상진단들이 제시되고 있다.

6. 치료적 제언

심리평가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치료목표나 방향설정인 만큼 MMPI 해석과정에서 치료적 제언은 유용한 정보이다. 이러한 치료적 제언은 개별적인 타당도 척도, 임상척도, 각 프로파일 유형을 기초로 한 해석에서 추론된다.

Ⅲ. MMPI의 타당도의 개념과 척도의 종류

- 타당도 : 검사가 측정하려고 목적하는 것을 실제로 측정하는 정도 - MMPI 타당도 척도의 개념 : 환자의 검사 태도. 실제로는 '신뢰도', 더 정확히는 '내적일치도'(어떤 사람이 한 검사나 척도에 일관된 모양으로 반응하는 정도)를 의미.

1. 타당도 척도 = ?, L , F, K

검사가 측정하려고 하는 바를 실제로 측정하고 있느냐는 문제를 다룬 것이다.

① ?(알수 없다 척도)

?척도는 피검사가 응답하지 않은 문항과 "그렇다"와 "아니다"에 모두 답한 문항들의 총합이다. -30개 이상 : 검사 해석 상에 문제. 먼저 피검사자에게 무응답을 응답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가 있다. -7~30개 : 빠진 문항이 주로 속해 있는 척도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함.

< ? 척도(알수 없다 척도)의 해석표 >

원점수 T 점수 해 석

0 44 이하 모든 문항에 응답한 경우

1~6 45~59

보통범위에 속하나, 빠뜨린 문항들이 무작위한 것인지 아니면 어떤 패턴을 이루고 있는지를 점검함. 전자의 경우는 프로파일 왜곡의 가능성이 없으나, 후자일 때는 특별한 의미가 있을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의 확인 요망됨

7~30 60~69

많은 문항이 빠진 경우에는 특히 어떤 척도에서 빠뜨린 게 많은지 검토해봄. 30문항이 육박할수록 프로파일의 형태 또는 상승척도에서 왜곡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프로파일의 타당도도 의심됨.

31이상 70이상

  1. 프로파일이 무효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
  2. 문항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
  3. 검사자에 대한 불신감
  4. 자신에 대한 정보는 절대 누설하지 않으려는 조심성
  5. 어떻게 답하는 것이 가장 좋게 보일 수 잇는지를 모를때
  6. 지나친 강박성으로 인해 문항에 대한 `바른‘ 반응을 결정하지 못할때
  7. 검사 및 검사자에 대한 반항적이고 비협조적인 태도
  8. 정신적으로 혼란으로 인하여 문항을 빠뜨린 사실조차 알지 못할때
  9. 심한 우울증으로 인하여 문항에 대한 어떤 결정도 내릴수 없을때

② L척도 (Lie)

15개의 문항들로 구성. 피검사자가 검사자에게 자신을 좋은 모양으로 나타내 보이려는 다소 고의적이고도 부정직하며 세련되지 못한 시도를 측정하려는 척도이다.

MMPI의 모든 척도가 경험적으로 선정된 문항들인 반면에 L척도만은 논리적으로 만든 15개의 명백한 문항이다. 사회적으로 칭송할 만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지극히 양심적인 소수의 사람에게서만 보일 수 있는 지나친 태도나 행동들이 이 척도에 있다. 사소한 부정직이나 결점들까지도 자신은 그렇지 않다고 고의로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특징이 있다.

높은 점수

  • 지나치게 관습적이며, 사회에 순응적이고, 생각에 독창성이 없다.
  • 문제해결방식에 융통성 부족. 스트레스나 압력에 대한 인내력 부족.
  • 완고하고, 도덕적임. '심리적 세련성' 부족.
  • 자신에 대하여 과대평가

L척도의 문항은 명백한 문항이므로 어떤 반응이 비정상적 반응인지 쉽게 가릴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으로 세련된 사람은 L척도로 탐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L척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심리적으로 세련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또한, L척도점수는 교육수준, 지능 및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L척도점수가 낮게 나온다. 교육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감안한 상태에서 L점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다른 모든 MMPI문항에 대해 솔직하지 않게 방어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런 방어적 왜곡에 의해 대부분 임상 척도에서도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는 사람인 것처럼 점수가 낮아졌을 가능성이 있다.

▶ 낮은 점수

  • MMPI문항에 솔직하게 답한 사람.
  • 자신의 사소한 결점이나 문제점들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자기자신에 대하여 충분한 자신감을 가진 사람
  • 지각력도 우수하고 독립적이고 자기신뢰감도 높다.
  • 때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냉소적인 인상을 주기도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타인에게 표현할 수 있다.

< L척도의 해석표 >

원점수 T점수 해 석

0 ~2 44이하

  1. 모든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경우
  2. 인간의 일반적인 약점(도덕적 혹은 사회적)을 인정한 경우
  3. 비교적 독립적이며 자기 신뢰감이 높을때
  4. 대체로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임
  5. 환자일 경우 자신을 극히 병적으로 보이려는 태도를 반영한 것임

3~5 45~59

  1. 사소한 사회적 약점을 적절히 부인 또는 인정하는 경우
  2. 호감을 주는 자아상을 만들어 보려는 세련된 환자

6~7 60~69

  1. 보통보다 더 사회적으로 순응적인 사람 또는 도덕적으로 조심성이 많은 정상인
  2. 부인방어를 잘 쓰는 환자인 경우

8~15 70이상

  1. 매우 순박하고 경직된 경우
  2. 수치심 또는 도덕적 판단에 대한 공포가 있음
  3.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을 억압하고 부인함.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면서도 도덕적 정당성을 과장함. 가장 보편적인 인간의 약점도 부인하려 함.
  4. 자기 행동에 대한 통찰력이 결여되어 있고 자기통제가 강함.
  5. 심리적으로 세련되지 못한 사람임
  6. 인사선발에서 좋은 인상을 주려고 애쓰는 지원자
  7. 지능이 낮은 사람, 노인,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
  8. 시골사람,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 소수민족에 속하는 사람
  9. 엄격한 도덕률을 고집하는 성직자
  10. 임상척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해석에 유의할 것
  11. L척도가 높고 동시에 임상척도도 높으면 방어기제로도 문제를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임

③ F척도 (Infrequence)

검사문항에 대해 비전형적인 방법으로 응답하는 사람들을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대중의 생각이나 경험과 다른 정도를 측정한다. F점수가 높을수록 그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그가 가지고 있는 문제영역이 많고 문제의 정도가 심함을 나타낸다. 이상 반응의 경향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 . 정신병리의 지표, 점수가 높을수록 심한 정신병리를 시사하며, 일반적인 적응행동에 대한 추론을 가능케 함.

▶ 높은 점수

평범한 정상인들의 반응이 아닌, 문제영역도 많고 문제의 정도가 심함. (단 창조적 활동을 하는 사람이나 신념이 투철한 종교인 또는 정치인들인 경우는 어느 정도 일반인의 생각과 다를 수 있으나, 그래도 T점수가 65에서 75사이를 맴도는 게 특징).

▶ F척도상승을 해석할 때 주의할 점- 개인의 심리적 고통의 심한 정도를 대략 알려주는 지표이지만 F척도문항의 내용들은 알기 쉬운 것이므로 수검자의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점수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 F척도의 해석표 >

원점수 T점수 해 석

0~2 44이하

  1. 비교적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정상인: 관습적, 겸손한, 솔직한, 신뢰할 만한 , 단순한, 진실한, 안정된 사람
  2. 사회적 순응도가 높음
  3. 심한 정신병리를 부인하려는 경우

3~7 45~59 흔히 있을 수 있는 이상한 경험을 인정하는 정상인

8~15 60~69

  1. 가령 가정, 종교, 건강 등의 영역에 관심이 많을때
  2. 70T 이상의 임상척도가 함께 있으면 그 임상척도가 대변하는 분제 적응되어 별로 걱정하지 않은 상태
  3. 완고하고, 성급하고, 자기방식대로 사는 사람
  4. 일반 사람들과는 다르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사람이나 대학생
  5. 강박적으로 솔직한 사람
  6. 겉으로는 구분이 잘 안 되는 정신병환자

16~22 70~89

  1. 보통사람과 매우 다른 사고장식으로 사는 대학생 같은 사람들
  2. 극도로 불안하고 도움을 원하는 경우
  3. 자아정체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
  4. 문항해석이나 해독의 곤란이 있는 사람
  5. 종교 혹은 정치운동에 가담하거나, 사회적 항거에 참여하고 잇는 사람
  6. 심한 정신적 장애 및 행동장애 심한 신경증
  7. 현실검증능력의 장애가 있을때

23이상 90이상

  1. 무효 프로파일임:고의성, 문맹, 비협조성
  2. 심하게 혼란 된 정신병적 환자 혹은 대뇌 손상환자
  3. 모두 ‘그렇다’에 응답한 경우
  4. 자아정체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
  5. 개인의 정신병리의 심각도를 반영한 것임. 사고장애, 파단력장애, 사회적 회피 및 언어감소 등
  6. 고의적으로 병을 가장하는 ‘꾀병’일 때 보통사람과 다르게 보이고 싶어하는 청소년인 경우

④ K척도 (Defensiveness)

L척도보다 더 은밀하고 세련된 사람들을 측정. K척도는 현저한 정신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상적인 프로파일을 보이는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경험적으로 선택된 30개의 문항들로 구성. 방어성과 경계심을 측정. L척도와 중복되는 면이 있으나, L척도보다는 매우 은밀하게 그리고 세련된 사람들에게서 측정하는 경향이 있다.

▶ 낮은 점수

환자의 문제가 더욱 심하고 만성적

▶ K척도의 상승 - 정서적 친밀성의 회피가 나타나고 억압과 합리화의 기제를 주로 사용.

< K척도 해석표 >

원점수 T점수 해석

0~9 45이하

  1. 스스로 자기문제를 감찰할 능력이 부족함을 인정하고 있는 상태, 정신병리 유무 감별 필요
  2. 환경이 불우하여 남들보다 여러가지로 불리한 여건에서 살아온 사람
  3. 스트레스를 겪고 잇는 대학생

10~16 46~56

  1. 자기노출과 보호간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거나 교육 정도가 낮은 사람
  2.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사람이라면 스트레스를 겪고 있고, 자기수준이 다른 사람들처럼 생활이 행복하지 않음

17~20 56~69

  1. 중상류 및 상하류 집단과 대학생에 전형적임
  2. 정신건강이 양호함. 잘 적응하고, 통찰력이 있고, 독립적이며, 일상적인 문제를 잘 처리할 수 잇는 능력 있음. 사고가 명료하고, 합리적임.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문제해결을 위하여 타인의 도움을 청하려 하지 않음
  3.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이면 다소 방어적,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인상을 주려는 태도가 있음
  4. 좋은 인상을 보이려는 직업응모자, 입학지원자

21이상 70이상

  1. 방어적 성질을 띤 적절성 혹은 적응력의 외형 강조
  2. 타인들과의 깊은 정서적 친근성을 두려워하며, 감정표현을 잘 못하고, 수줍어함.유연성이 부족하고 경직되어 있으며, 타인의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서도 용인하려 하지 않음
  3. 검사이유나 목적 혹은 비밀보장에 관한 설명이 부족한 검사지시상황에서 자기 노출에 다소 조심성이 많은 방어적인 대학생
  4.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 자신을 더 엄격하게 심판하므로 방어적 태도보다는 효율성의 반영일수 있음

2. MMPI의 임상척도

일반적으로 임상척도는 T점수 70이상의 높은 점수에 주의. 그러나 몇 개의 임상척도-3(Hy), 4(Pd), 5 (Mf), 6(Pa) 및 9(Ma)에서의 낮은 점수는 프로파일의 전반적인 상승이나 높은 점수쌍과 관계없이 주의 깊은 관심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임상가들은 MMPI에서 높은 점수쌍(T점수가 70이상으로 상승하는 두개의 가장 높은 임상척도)의 해석을 강조한다.

MMPI가 대학생 및 일반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정상인의 해석은 각 차원별로 긍정적인 면을 살펴보도록 한다.

① 척도 1 : 건강염려증 (Hypochondriasis, Hs)

개인이 호소하는 신체적 증상과 이러한 증상들이 다른 사람을 조정하는데 사용되고 있지 않은가의 여부를 측정하는 33개 문항으로 구성. 신체기능에 대한 과도한 집착 및 이와 관련되는 질환(특히 위장계통)이나 비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불안의 정도를 말한다.

▶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 책임이나 심리적인 문제를 직접 처리하기를 회피 . 주변 사람들을 조정하기 위해서 실제 혹은 상상적인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로서, 그 중에서도 특히 위장계통의 장애가 보편적. (의존 욕구가 신체적 증상으로 전치 된 것으로,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으로 사용) . 이들의 일반적인 성격특징은 자기중심적, 이기적이고 자기도취적.

이들은 외부세계를 비관적이고 냉소적인 태도로 본다. 불안을 크게 나타내지도 않으며 현저한 신체적 기능장애도 보이지 않으나, 기능의 효율성은 매우 낮다.

*70이상 -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 외부세계를 비관적이고 냉소적인 태도로 보며, 스스로도 불만스럽고 불행하다고 느낌. 의존적이며, 적개심을 간접적으로 표현함.

< Hs척도의 해석표 > T점수 해 석

44이하

1.모호한 신체적 증상이나 건강에 대한 걱정을 부인하는 사람 2.보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건강염려증환자 가족, 병을 나약함과 동일시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 3.기민하고 낙천적이면, 통찰력 있고, 효율적임

45~55 보통범위에 속하는 신체적 증상을 호소함

56~65

1.실제로 신체적 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 미성숙하고, 고집세고, 의욕이 약함 2.자신 및 타인의 신체적 건강에 대하여 건설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상인. 조심성, 사려깊고, 진실하며, 양심적임

65이상

1.자신에게 어떤 신체적 병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그 같은 병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을 조종하고 지배하려함 2.모호한 신체적 증상에 과도하게 집착, 불평 많고, 냉소적, 요구 사항 많고, 부정적, 비관적 3.심리적 및 신체적 치료에 대한 예후가 불량함. 여하한 해결책에 대해서도 거부적임

② 척도 2 : 우울증 (Depression, D) 척도2의 60개의 문항들은 MMPI 시행당시에 그 사람이 느끼는 비관 및 슬픔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분(Mood)의 척도이다. 또한 척도2는 자신에 대한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 만족 및 안정감, 희망의 상실, 회복할 수 없는 손실에 대한 공포나 희망의 공포, 전형적인 방어기제의 붕괴정도 등을 측정한다. 주요영역으로는 활동에 대한 흥미의 결여, 수면장애나 위장계통의 고통을 포함한 신체적인 증상 및 과도한 민감성과 사교성의 결여이다. 척도2는 신경증적 혹은 내인성 우울증보다는 반응성 혹은 외인성 우울증을 측정하므로 그 점수는 환자의 기분이 변함에 따라 하루하루 변할 수가 있다.

▶ 척도가 높아질수록 . 우울증적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 우울하고 불안해 하고 위축. . 자신의 불만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 주관적으로 느끼는 고통의 지표가 됨 . 그의 태도는 슬픔에서 침울로, 다음에는 자신 및 세상에 대한 염세주의로 변함. . 자신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생각, 자기비하적이고, 문제해결을 할 능력이 없다고 느낌. . 행동상으로는 말하기 거북해 하고, 동작이 느리고 초조해 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회피하고 흥미를 잃는다.

▶ 척도가 낮은 사람 . 능동적이고 기민하며 낙관적인 사람. . 대체로 자신감이 있고 정서적으로 안정. . 때로는 허세를 부리고 자기 과시적이어서, 다른 사람들에게서 적대감을 불러 일으키고 대인관계를 해치는 경우도 있다

< D척도의 해석표 > T점수 해 석

40이하

1.사교적, 낙관적, 기민한 사람, 사고나 행동이 자유로움 2.이런 행동들이 그 사람의 환경과 상황에 적절한 것 (특히 근래에 사고가 있었을때)

41~59 정력과 열의가 균형을 이룬 생활태도나 행동

60~69

1.자신이나 어떤 일에 대하여 불만이 있으나 이같은 상태를 우울한 것이라고 느끼지 않으며, 오히려 상황에 적절할 수도 있음 2.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에 적절한 걱정을 나타내지 않거나, 만성적인 우울한 생활에 적응된 상태 3.정상인일 경우 현실적, 객관적, 사려 깊고, 생각을 좋아함 -스트레스하에서 자신의 행동에 과도하게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고, 죄책감에 잘 빠지며, 걱정과 불안을 나타냄 -옳고 그런 것, 선과 악을 잘 따지고, 인성이나 그 의미에 대한 실존적인 의문을 잘 가짐 4.대학의 상담 의뢰자에서 가장 흔하며, 만성적 우울증이라기보다는 현실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문제 대한 반응 5.소척도 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해석을 시도할 것

70이상

1.인생이나 자신에 관하여 비관과 우울한 기분을 보이는 환자. 자기 비하적, 현실 회피적, 죄의식, 우유부단적, 걱정 많음. 점수가 높아질수록 운동지체, 극단적 무망감, 부적절감, 자기비하 등이 확산되고, 망상적이 됨 2.다른 임상척도를 검사하거나 환자 면담을 통하여 우울감의 원인을 파악하도록 함

③ 척도 3 : 히스테리 (Hysteria, Hy) 현실적 어려움이나 갈등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부인기제를 사용하는 경향 및 정도를 측정하는 6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척도는 두 가지 다른 유형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특정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는 문항들이며, 다른 하나는 자신은 사회적으로 잘 적응하고 있고 아무런 심리적, 정서적 장대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항들이다. 이 두 영역은 정상인에 있어서는 서로 관계가 없으나, 성격이 히스테리적 역동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들에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신체적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인정하나 그것 때문에 걱정된다는 것은 부인이다.

▶ 이 척도가 현저하게 높은 사람은 . 부인(denial)과 피암시성이 강하고, 대개 신체적 증상을 나타냄으로써 스트레스에 대처하거나 책임을 회피. . 보통 때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고, 스트레스가 지나면 증상 (주로 두통, 발작, 급성불안, 심박항진(tachycardia)등)도 갑자기 없어짐.

▶ 낮은 점수를 보이는 사람들은 . 대체로 일상생활에 순응적이고 현실적이며 논리적이다. . 흥미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또한 자신을 보호할 방어기제가 부족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하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 Hy척도의 해석표 > T점수 해석

40이하

1.냉소적, 불신, 사회적을 고립되어 있는 환자 2.세상에 냉혹하게 대처하며, 흥미범위가 좁고, 방어기제가 약함

41~59

1.히스테리한 역동의 태도나 행동을 전형적으로 가지고 있는 환자 2.대부분의 정상인, 해석 불요

60~69

1.과다 노출적, 외향적, 피상적인 환자, 순박하고 자기중심적이며, 여하한 문제도 부인함 2.인생의 긍정적인 측면만 보려하고, 불유쾌한 일들은 외면하려함 3.대인관계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함 4. 정서적임, 긍정적인 감정을 잘 나타냄

70이상

1.60-69의 1항이 더욱 심함. 피암시적임 2.스트레스하에서는 특수한 신체적 장애가 나타남 3.미성숙하고, 요구가 많고, 억압이 강함 4.단순하고 구체적인 문제해결책을 요구하고, 자기검토를 불원 5.첫인상은 좋으나 심리치료는 어려움

④ 척도4 : 반사회성 (Psychopathic Deviate, Pd) 가정이나 권위적 대상 일반에 대한 불만, 자신 및 사회와의 괴리 권태 등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다양성 있는 50개 문항으로 측정. '외향화, 과격행동, 합리화, 지능화' 등의 방어기제를 빈번하게 사용한다. ▶ 높은 점수 . 분노감, 충동성, 정서적 피상성 및 예측 불허성. . 사회적으로 비순응적이고, 거짓말을 잘하며 일반적으로 사회적 규범에 대해 거부적이며 권위적 대상에 대해 적개심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 낮은 점수 . 매우 통솔적이고 순응적이며 권위에 대해 수용적이며 복종적. . 욕망의 수준이 낮은 것이 특징적으로 경쟁심이 강하지 못함. . 흥미범위는 좁고, 독창적이지 못한 경향이 두드러짐.

정상적인 사람으로서 이 척도가 경미하게 높을 경우가 있는 데 이럴 경우에는 자기주장적이고 솔직하며 모험적이고 진취적이다. 이들이 좌절을 경험하게 되면 이러한 장점들이 공격적이고 부적응적인 사회적 행동으로 변모한다.

< Pd척도의 해석표 > T점수 해 석

40이하

1.경직되고 매우 통속적인 환자. 매우 지루하고 권태로운 생활도 잘 견딜 수 있음 2.남자들은 성에 대한 흥미가 적고, 특히 이 척도가 가장 낮을 때 그러함 3.공격적이거나 자기주장적인 성향을 강하게 억압하고 있으며, 특히 척도 3이 높을 때 그러함

41~55

1.권위, 소외감 및 권태에 대하여 정상범위에 속한 불평을 하는 환자 2.권위적 대상에 대한 불만을 잘 나타내지 않고 사회현실을 그런 대로 받아들임

56~64

1.사회적 문제나 현안에 대하여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환자. 환경적 갈등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거나, 혹은 관습적인 대인관계 및 사회적 갈등에 적응되어 있는 상태 2.갈등의 원인이 환경적인 것이라면 갈등이 해소된 후에는 점수가 정상범위로 돌아와야 함 3.자기주장을 잘 하고 신체적 원기와 욕구를 잘 표현하는 정상인.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하고, 선도적이며, 정력적, 활동적임. 모험적이며 솔직하며, 진취적이나 욕구가 좌절되면 공격적이고, 사회적 부적응행동을 보일 수 있음 65이상

1.화가 나 있고, 싸우고 있는 사람임. 주로 권위적 대상과 갈등을 겪고 있는 환자이며, 이 갈등은 행동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적대감이나 반항심으로 나타나고 있음 2.신뢰성 결여, 자기중심적, 무책임함. 경험에서 배울 줄 모르며, 계획성이 없고, 충동적,좌절 인내력이 낮음 3.사회적으로 호감을 주고, 첫인상이 좋으나 오래 사귀거나 스트레스를 당하면 반사회적 특성이 나타남

⑤ 척도 5 : 남성특성-여성특성 (Masculinity- Feminity ; Mf) 남성특성과 여성 특성을 측정, 진단. 직업 및 취미에 대한 관심, 심미적 및 종교적인 취향, 능동성-수동성, 대인감수성이 주요 내용으로 60개 문항으로 구성.

▶ 높은 점수 ⊙ 남자 . 정형화된 남성적 흥미가 부족하고,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관심이 높다. . 성적 자아정체에 갈등.(자신의 남성적 역할에 대하여 불안정하며 여성적 역할을 동일시하는 경향이 많음). . 지능이 높고 인지적 추구를 높이 평가. 경쟁적이고 논리적이며 우수한 판단력과 상식을 가지고 있다. . 호기심이 많고 공상력이 풍부하고 예민하며 사교적. . 대인관계에 있어서는 매우 수동적이며 의존적.

이 척도는 지능, 교육 및 사회경제적 수준과 관계가 있어 지능이 높고 교육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 여자 .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을 거부. . 공격적, 경쟁적, 자유분방, 자신만만, 자발적.

▶ 낮은 점수 ⊙ 남자 . 거의 강박적으로 남성적 특성을 과시하려는 사람 . 공격적이고 모험적이며 거칠고 부주의하며 남성적 흥미를 강조. (자신의 남성적 특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심을 은폐하려는 시도일 수도 있음) ⊙ 여자 . 수동적, 복종적, 전통적인 여성역할과 강하게 동일시. . 극단적으로 낮은 점수의 경우 - 매우 위축되고 자기연민에 빠져 있으며 자기 비하적이며 가까운 사람들에게 극히 의존적이다.

< Mf척도의 해석표-남자용 > T점수 해 석

40이하

1.전통적인 남성 역활과 매우 강하게 동일시하는 남자. 남성 특성에 대하여 강박적이며 경직되어 있음 2.공격적 충동을 적절히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41~59

1.전통적인 남성적 흥미와 활동에 관심이 많음 2.공학이나 농학과 같은 비교적 남성 취향적 분야에서 대학교육을 받은 사람들

60~69

1.대학교육을 받은 남자들의 전형적인 범위임 2.예술, 음악, 문학과 같은 심미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음 3.역활유연성의 척도임. 다양하고, 통찰력 있고, 참을성 있음 4.비교적 수동적이며, 은밀하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함

70이상

1.전통적인 남성 역활과 동일시하지 않음 2.수동적이고, 내면지향적이며, 심미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음 3.스스로 동성연애자임을 인정하는 사람임. 이 점수만으로 동성연애자로 진단하는 일은 매우 조심해야 함 4.관계 형성에 대하여 너무 관심이 많음

< Mf척도의 해석표-여자용 > T점수 해석

43이하

1.전형적인 여성 역할과 과도하게 동일시하며, 때로는 거 허상에 가까운 여자 2.수동적이고 수줍어하며, 양보심 많고, 스스로 무력하다고 생각함 3.관계를 너무 염려한 나머지 대인관계에서 자기주장을 못함

35~44

1.전통적인 여성적 취미나 활동에 관심이 많은 전형적인 여자 2.가정 밖에서의 활동에도 흥미가 많으나 다소 수동적임

45~59

1.운동 및 기타 옥외활동을 좋아함 2.남성적인 취미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않을 수도 있으나 여성적으로 보이느 것에는 트게 흥미가 없음

60이상

1.이 범위에 속하는 여자는 흔치 않으므로 채점이나 환산과정에서의 오류를 확인할 것 2.전통적인 여성역할에 합당한 행동이나 외모에는 분명히 흥미가 없음. 그것을 강요하면 불안해지거나 공격적이 됨 3.동성애적 행동은 나타나지 않음 4.공격적인 충동을 적절히 해소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⑥ 척도 6 : 편집증 (Paranoia, Pa) 주로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 의심성, 집착증, 피해의식, 자기정당성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40개 문항. 조금 높을 때 (T점수 60에서 70)는 대인관계의 민감성을 나타내나, T점수 70이상으로 높을 때는 이러한 예민성에 의심성이 첨가된다.

▶ 높은 점수 . 의심이 많고, 적대적, 경계심이 많고, 지나치게 민감. 논쟁을 좋아하며, 남을 탓하기를 잘함. . 자기 중심적 자기 정당화가 행동 전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남 - 자기는 항상 충분한 대우를 받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며 타인이 자기에게 악의를 가지고 자기에게 해를 끼치려 한다는 망상적 피해의식으로 타인에 대한 분노와 비난이 강함.

▶ 낮은 점수 . 대체로 고집이 세고, 회피적. 지나치게 조심스러움. . 자기중심적.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관계된 일이 아니면 관심을 갖지 않고, 문제해결의 유연성이 부족.

  • T점수가 35점 이하로 내려갈수록 편집증적 증상이 심할 수도 있음.

T점수 해 석

44이하

1.흥미의 범위가 좁고, 고집 세고, 회피적이며, 경계심이 많고, 불만이 많음 2.문제해결방식이 경직되어 있고, 의심이 많으며, 망상을 갖고 있을 수 있음 T점수가 낮을수록 편집증적 증상이나 진단을 보임

44~59

1.과민하고 의심이 많으나 명백문항을 피할 줄 아는 환자 2.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는 않으나, 편집증적 양상을 가지며, 타인의 생각에 예민하소 동기의식 분노가 많음

60~69 1. 대인관계에 민감하며, 타인의 의견에 과도하게 반응하며, 경계심과 의심이 많고, 잘못된 일은 타인의 탓으로 돌림. 편집증적 성향을 띤 행동이나 특성을 다양하게 나타냄 2. 비판에 과도하게 민감하고 타인의 행동을 자신과 연관시킴 3. 여성들은 슬프고 불안하며, 현실 도피적인 경향이 있고, 감정변화가 많음

70이상

1.의심 많고, 적대적이며, 과도하게 민감한 환자. 점수가 높을수록 그것을 말로표현하고, 논쟁을 벌임 2.사고장애가 있을 수 있고,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을 보이며, 정신분열증이자 편집형 장애로 진단될 수 있음 3.투사와 외향방어를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함

⑦ 척도 7 : 강박증 (Psychasthenia, Pt) 48개 문항. 주로 오랜 동안 지속되어 온 만성적 불안을 측정한다. 때로는 스트레스 상황(상태불안)에 의하여 이 척도가 상승할때도 있지만, 원칙적으로는 걱정을 많이 하는 성격형(특성불안)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 높은 점수 . 불안하고 긴장, 매우 사소한 일에도 걱정이 많다. . 내성적이고 강박적 사고. 이런 사고는 불안정감이나 열등감으로 발전하기도. . 단정하고 꼼꼼하며 신뢰성은 있으나 문제해결에 있어 창의력이 부족.

정상인으로서 이 척도가 높은 남자의 경우에는 책임감있고 양심적이며 이상주의적이나, 여자의 경우는 걱정이 많고 감정적이며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낮은 점수 . 잘 적응, 공포나 불안이 있지 않고 자신만만. . 일반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꾸준하고 성공 지향적이다.

*70이상 - 심한 불안상태를 보이며, 걱정이 많고, 우유부단, 초조, 주의집중 곤란을 보임.

< Pt척도의 해석법 > T점수 해 석

40이하 1.불안이나 공포를 느끼지 않으며, 안정되어 있고, 자신에 만족하고 있는 사람 2.성공 지향적이고, 유능하며 걱정이 없음 3.과거 척도7이 높았던 사람으로서, 과잉 보상한 상태

41~59

비정상적인 불안이나 걱정 없이 자기업무나 책임을 잘 수행하는 사람

60~69

1.자신의 책임을 정확하게 수행하며 그렇지 못할 때에는 걱정이 많아짐 2.다소 강박적인 성격의 소유자이며, 쉬이 걱정하고, 불안해지거나 우울해질 수 있음 3.지적 이론을 방어기제로 사용하는 사람

70이상

1.자타가 인정하는 심한 불안상태를 보이며, 걱정이 많고, 긴장되고, 우유부단함. 초조하고 주의집중이 안됨 2.극단적으로 높을 때는 강박적인 사고와 초조가 너무 심하여 불안을 통제할 수 없음 3.매우 심한 죄책감과 더불어 우울증이 있을 수 있음 4.심리치료를 시행하기 전에 약물요법이 필요함

⑧ 척도 8 :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Sc) 정신적 혼란을 측정하는 척도로써 기괴한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지닌 사람을 판별해 준다.

▶ 높은 점수 . 냉담, 무 감동적 사고와 의사소통에 곤란. 정신병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 실제적인 대인관계보다 백일몽이나 환상을 더 즐김. . 열등감 및 심한 자기불만. . 사회적 접촉을 회피하고 혼자 있기를 좋아함. . 스트레스에 대한 전형적인 반응은 공상이나 환상에로 도피. 현실과 환성 구별 못함.

▶ 낮은 점수 : 순응적, 복종적. 창조적이며 상상력이 풍부.

< Sc척도의 해석표 > T점수 해 석

40이하

1.관습적, 현실적, 이론적 철학적 문제에 흥미가 없는 환자 2.상상력이 부족하고, 비창조적이며, 세상을 자기와 다르게 지각하는 사람을 이해할 수 없음

41-59

1.정신병적 과정에 적응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2.정상인

60-69

1.보통사람들과 생각하는 바가 좀 다른 사람들. 창조적, 전위적, 혹은 분열성과 유사한 과정의 환자 2.환상이나 공상을 통하여 현실을 회피하려 함 3.내적 갈등이 많은 대학생, 학업성적이 불량한 청소년 4.함께 상승한 다른 임상척도를 검토할 것

70-89

1.환경으로부터의 소외감과 유리감을 느끼는 환자. 대개는 정신분열증이나 때로는 환경적 혹은 심리적 스트레스에 기인할 수도 있음 2.점수가 높이질수록 비논리적이며, 주의집중과 판단력의 장애 및 사고장애를 보임 3.때로는 항정신 냑약물을 필요로 함

90이상

1.급성적이며 심한 환경적 스트레스에 처해 있는 불안이 심한 환자 2.장아정체 위기를 맞고 있는 사람 3.대개 정신분열증환자는 아님

⑨ 척도 9 : 경조증 (Hypomania, Ma) 정신적 에너지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46개의 문항으로 구성. 40점 이하의 경우 우울증, 특히 내인성 우울증을 고려해야 한다. 인지영역에서는 사고의 다양성, 비약 및 과정성을 보이고, 행동영역에서는 불안정성, 흥분성, 민감성 및 기분의 고양을 나타낸다.

▶ 높은 점수 . 정력적이고 그 정력으로 무엇인가를 하지 않고는 못 견딤. . 과잉활동성, 정서적 흥분성 및 사고의 비약. . 충동적, 경쟁적, 자기 도취적, 사회적 관계에서 피상적. . 행동통제에 문제. . 대체로 기분이 좋으나 때로 화를 잘 냄.

정상인에게 있어서의 경미한 상승은 열성적이고 적극적이며, 자신뿐 아니라 타인도 적극적이게 만들기도 하고 다재 다능하다. 그러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피상적이며 신뢰성이 결여되어 일을 끝맺지 못한다.

< Ma척도의 해석법 > T점수 해석

40이하

1.활력 및 활동수준이 낮은 환자. 그 원인은 우울증일 수도 있고, 혹은 피로나 일시적인 병에 기인할 수도 있음 2.극단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척도2의 상승에 관계 없이 우울증을 의미함 3.나이 많은 정상인

41~59

1.정상적인 활동수준을 보이는 환자 2.정상적인 대학생 및 청소년

60~69

1.활동적이고 외향적이며, 정력적인 환자, 활동성에 대한 외적 제약을 받으면 안절부절하고, 겉으로 불만감을 표현함 2.대학생, 특히 대학원생에서는 자기 계획을 수행할 수 있는 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현상임

70이상

1.과잉활동, 정서적 불안정성, 사고비약을 보이는 환자 2.대체적으로 기분이 앙양되어 있으나, 폭발적인 분노표현이 있음 3.충동적이며, 만족의 지연이 곤란함 . 자기도취적, 과대망상증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광적임 4.계획은 많으나 완성되는 일은 적으며, 환상적임. 바쁘게 움직이지 못하면 우울해짐

⑩ 척도 0 : 내향성(Social Introversion, Si)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는가를 측정하는 척도. 70개 문항들은 사회적 장면에서의 불편함, 고립 및 일반적인 부적응, 자기비하 등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피검사자의 내향성과 외향성을 측정하는 척도인데, 흔히 외향성은 좋고 내향성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내향성이든 외향성이든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있는 것이며 어느 쪽이 좋다고 일반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 높은 점수 . 사회적으로 내향적이고 수줍어하며 현실 회피적. . 혼자 있거나 몇몇 가까운 친구하고 있을 때만 편하게 느끼고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싫어함. . 극단적으로 높으면 타인과의 관계형성이 부적절하고 냉담하며 자기 비하적.

< Si의 해석표 > T점수 해석

40이하

1.외향적이며,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고, 그것이 편한 환자 2.극단적으로 낮을 경우 대인관계가 피상적이고, 참된 깊이가 없슴 3.청소년 및 대학생들은 이 범위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정상임 4.혼자 있는 것이 어려움

41~59 외향적 행동이나 태도와 내향적 성향간에 균형을 이루고 있는 환자

60~69

1.혼자 있거나 소수의 가까운 사람들하고만 있는 것을 더 좋아하는 환자 2.대인관계 형성능력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안 하는 것을 더 좋아함 3.자율성, 독립성 및 자기실현이 가능한 정상인

70이상

1.내향적이며, 수줍어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정해지는 환자, 과민하며, 때로는 의심성이 있음 2.도움을 줄 수 있는 친근한 사람들을 회피하고, 사회적 접촉을 기피함으로써 그들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수 있음 3.감정발산의 가능성은 적은 반면에 명상이 많음

3. 특수 척도

① A : 불안 척도(Anxiety) MMPI 요인 분석의 요인 부하가 가장 큰 첫 번째 요인. 일반적인 부적응, 정서적 혼란을 측정. ▶ 높은 점수 불안과 긴장, 효율성의 저하, 다양한 심리적 문제가 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태도와 관련 있다

② R : 억제 척도(Repression) 부정과 억제를 사용하는 성향을 반영. ▶ 높은 점수 통찰력이 없고 지나치게 통제적이고 억제적인 행동을 나타냄. 이러한 개인들은 문제를 회피하며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보임

③ Es : 자아 강도(Ego Strength) 정신치료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고안.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수준과 상관이 있다고 함. ▶ 높은 점수 효율적인 기능과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을 반영. 이러한 개인들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심리적 자원(psychological resources)을 지니고 있다

④ MCA : 알코올 남용(MacAndrew Addiction) 이 척도는 정신과 환자들 가운데 알코올 남용자와 비남용자를 구별하려는 목적으로 고안됨. ▶ 약물남용이나 병적인 노름과 같은 다른 남용과 상관 있음. 이 척도는 남용에 빠지기 쉬운 경향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Ⅳ. 2개 척도 상승 형태분석

다음은 임상적으로나 선행연구 결과 빈번하게 발견되는 2척도 상승 형태 분석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해 보기로 한다.

[1-2/2-1] *증상: 신체적 불편감과 통증, 건강에 대한 집착, 신체적 고통에 대한 호소 현기증, 불면증, 허약증, 피로감 동반 -정서: 불안, 긴장, 초조감, 걱정 불행감, 기쁨의 상실, 의욕상실 호소 *성격특징: 내향적, 위축, 은둔적 성향 *대인관계: 수동-의존적, 타인에 대한 의심, 적개심 *임상진단: 불안장애, 우울장애, 신체형장애, 정신분열증장애 *치료변화: 지나친 억압과 신체화방어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정신치료에 대한 변화는 기대하 기 어려우나, 단기적인 증상 변화는 가능하다.

[1-3/3-1] *증상: 고전적인 전환증상, 긴장감 호소 -신체증상: 두통, 흉통, 요통, 사지떨림, 사지마비 신경성 식욕부전증, 메스꺼움, 구토, 섭식장애(비만증), 허약감, 현기증, 수면장애 호소 *방어기제: 부정, 투사, 합리화 방어기제(타인 비난=자신의 정당화) *성격특징: 미성숙, 자기중심적, 관심과 애정에 대해 강한 욕구를 가짐(=의존적) *대인관계: 외향적, 친밀하지만 감정의 깊이 결여, 진정한 인간적 교류 부족, 이성에 대한 관심 결여 *임상진단: 신체형장애

*치료변화: 피암시성이 높아서 치료자가 암시하는 행동을 따르려고 시도⇒치료전략 ★ 2개 척도 분석의 예

(1) MMPI 검사 보고서

① 심리 검사 결과

  • MMPI

L F K Hs D Hy Pd Mf Pa Pt Sc Ma Si 48 41 58 55 47 56 30 45 43 27 31 27 42 a. LFK (타당도 척도) —> 일반적인 분포를 보임 b. Hs - Si (임상도 척도) –> 1- 3 형태를 보임 c. Pt 와 Ma 의 T점수가 각각 27점으로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임

② MMPI 검사 결과 해석 MMPI 검사 결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LFK (타당도 척도)

L 척도는 50점 이하로서 자기의 약점을 노출하는 것에 솔직하다고 불 수 있는 점수가 나왔는데, 점수가 크게 낮은 것은 아니며 평범한 수준인 50~ 60에 근접하므로 역시 정상적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F척도와 K척도는 정상적인 분포에 속하며 마음 속에 별다른 문제의식이나 위기의식이 없고 자존감도 확실하다는 점수로 나타났다.

B. Hs - Si (임상도 척도)

◎ Hs(건강 염려 척도)에서는 55점으로 실제 질병이 있거나 건강에 관심이 큰 사람의 특성이 나타나는 바 나 자신의 건강에는 많이 집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D(우울 척도)에서는 47로서 보통이며 균형있는 정서를 지니고 있다고 나왔다.

◎ Hy(히스테리 척도)에서는 56점으로 역시 보통 수준으로 갈등과 회피 등의 극단적인 정서반응이 없고 남의 주의를 끄는 일도 없는 정상적인 성격임을 보였다.

◎ Pd(반사회 척도)에서는 점수가 30점인데 정상분포는 41~55에서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격적이거나 자기 자신을 억압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사회적인 성격은 아니나 자기 자신이 무슨 일을 저지르지 않도록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 Mf(남성향-여성향)에서는 45점으로 남성적인 성향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 Pa(편집증 척도)는 43점으로 남을 의심하거나 경계하고 비난, 비판하는 것에 민감하지 않다고 나왔다.

◎ Pt(강박증 척도) 신경쇠약이나 불안함을 재는 이 척도에서는 27점이라는 낮은 점수가 나왔는데 이는 성격이 오히려 매우 이완되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Sc(정신분열 척도)에서는 31점으로 정신분열과는 거리가 머나 관습적이고 지나치게 현실적이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또한 상상력도 부족하고 한마디로 스테레오 타입으로 굳어진 생각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Ma(경조증 척도)의 점수는 27점으로 노인처럼 우울한 일면을 보였다. 아마도 오랜 독신 생활에서 오는 무력감이나 미래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 Si(사회적 내향성 척도)에서 42점으로 나타났고 그다지 내향적이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C. 1-3 척도 형태

이 형태를 보이고 있으나 점수가 높은 것은 아니며 따라서 정확하게 이러한 성향을 지녔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정도가 심하지 않은 수준에서 이 형태의 특징을 참고할 수 있다. 갈등상황에서 회피를 하거나 억압적 방어를 하려는 경향은 인정 할 만하다. 또 외현적으로는 사교적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함은 사실로 보인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통찰력이 부족하거나 남에 대해 동정을 호소하는 등의 욕구는 강하지 않으며 신체증상에 대해서도 그다지 염려하는 편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③ 결론과 제언

건실한 인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자기 자신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심리검사는 자기 성격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검사의 분석결과 검사자는 자존심이 강하고 자기 자신을 내보이는데 비교적 솔직하며 내면적으로 문제의식은 없으나, 어떤 위기 상황에서 자기 자신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으며 다소 수동 공격적인 면이 있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것은 실제로 감정이 안 좋은 사람에게 남을 위해주는 것 같지만 오히려 잘 대해주지 않는 측면이 있음을 의미한다. 뚜렷한 남성지향적인 성격이며 편집증이나 강박증, 등의 성격장애 현상은 없으며 정신분열과도 관계는 없어 보인다. 다만, 경조증에서 낮은 점수가 나온 것은 검사자의 독신생활에서 비롯된 영향이라고 보며 지금의 정신상태에서 결코 우울증으로 발전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사회적으로 내향적인 성격은 아니라고 나왔지만 이것은 필요성에서 나온 행동과 의식이며 오히려 내면세계는 남에게 솔직한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자기 주변을 항상 예전 그대로 하려는 보수적인 경향과 남에게 침해받는 것을 피하려는 측면에서는 검사결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는 없다.

[1-8/8-1] *증상: 신체장애에 대한 집착(두통, 불면 포함), -정서: 불행감, 우울감, 빈곤 -사고: 혼란, 산만 *대인관계: 사회관계에서의 부적절감, 타인데 대한 신뢰감 결여, 경계, 이에 따른 소외감 성적 정체감에 대해서 불확실과 부적절감 *임상진단: 정신분열증장애, 불안장애, 정신분열성 인격장애 *치료변화: 정신치료적 예후가 밝지 않다

[1-9/9-1] *증상: 위장계를 포함한 신체적 증상에 대한 호소, 두통, 피로감 심한 불안, 긴장, 초조감 동반, 의욕 저하 *성격특징-표면적: 외향적, 공격적, 호전적, 언어적 표현 -실제:수동-의존적 *치료변화: 뇌손상 환자들에게서 간혹 나타나기도 하며 예후가 좋다고 보기 어렵다

[2-3/3-2] *주요증상: 피로감, 허약감, 저하된 활동력, 신체적 증상 -정서: 불행감, 우울, 긴장, 불안, 초조 등의 우울과 불안의 정서 동반 *성격특징: 유순, 수동적, 순응적, 의존적 전형적으로 미성숙, 부적절, 삶에서의 무능력에 대한 회의 감정통제 엄격, 부정방어가 실패되면 불안과 죄의식 사회적 개입 회피, 성적 부적응, 성기능 장애(성불감증, 성적 무력증) -표면적: 성취와 명예, 권력에 관심이 높고 경쟁적 -실제: 책임에 뒤따르는 스트레스와 실패에 대한 두려움⇒경쟁적 상황에 직면하지 않음 *진단: 우울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치료변화: 예후가 밝지 못하다

[2-4/4-2] *증상: 충동적인 행동화로서 법률적인 문제를 일으켜 치료상황에 노출 (알콜 흡수와 연관되어 발생⇒직업 상실, 가족불화, 체포) 우울, 불안, 무가치감의 감정-진지함 결여 음주, 약물남용⇒자책감, 후외감(반복) *성격특징: 사회적 가치와 갈등관계, 성취부족으로 인한 좌절, 타인에 의한 과제에 대한 분노감 -표면적: 정열적, 사교적, 안정된 인상 -실제: 내향적, 자의식 강, 수동-의존적, 자기 불만감, 자아 부적절감 *방어기제: 지식화 방어 *진단: 반사회적 인격장애, 약물남용, 범죄행위 동반, 우울장애 동반 *치료변화: 변화에 대한 동기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통찰적 정신 치료에 대한 예후가 밝지 않다.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면 치료는 곧 중단된다.

[2-7.7-2] *증상: 불안, 긴장, 과민성 등 정서적 불안, 우울정서, 신체적 증상 체중감소, 지연된 사고, 정신성적 운동지연 등 임상적인 우울증상 -신체적 증상: 불면증, 식욕부전증, 흉통, 피로감 *성격특징: 비관적인 세계관 성취 욕구가 강하고 목표설정이 너무 높아서 달성하지 못했을 때 심한 죄의식 우유부단, 부적절감, 열등감, 불안정감, 자기처벌적, 완벽주의적, 융통성 결여 *대인관계: 유순, 수동-의존적 *진단: 불안장애, 우울장애, 강박장애 *치료변화: 심한 고통으로 인하여 정신치료에 대한 동기가 높으며 정신치료를 오래 받는 경 향이 있고,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진전을 보인다

[2-8/8-2] *증상: 불안, 초조, 긴장, 신경질적 반응 혼란된 사고, 집중력 장애, 기억력 장애 (지각적, 인지적 장애) 불면증, 현기증, 구토, 메스꺼움 (신체화 장애) *성격특징: 의존적, 무기력, 감정 표출 시 일어나는 해리 현상을 부정⇒죄의식과 우울을 경험 타인의 반응에 매우 과민, 타인의 동기에 대해 의심 타인과 정서적 거리감⇒실망감과 무가치감을 고조 비사교적, 지나친 과민성, 의심, 집중력과 사고장애 현실철수, 저하된 언어적 표현, 느린 사고활동, 두려움, 자살에 대한 집착 *진단: 척도 2와 8의 점수상승이 매우 높으면 심각한 정신병리, 척도 2가 더 높으면 우울증, 척도 8이 더 높으면 정신분열증적 양상 양극성장애, 우울장애, 정신분열증정서형장애 *치료변화: 자살계획에 대한 자세한 평가와 주의 깊은 고려 요구 만성적인 경계성 수준의 적응능력을 보이지만 치료에 대한 예후는 밝지 못하다.

[2-9/9-2] *증상: 긴장과 불안, 신체적 호소, 우울장애, 우울감을 방어하려는 과잉활동이 번갈아 나타남 *성격특징: 우울기간과 경조증기간이 번갈아 나타나며 지나친 활동과 피로감이 교차 -표면적: 자아도취적, 자신을 과대평가 -실제: 자아부적절감, 무가치감을 부정 *진단: 양극성장애, 간혹 뇌손상 후 정서통제력을 상실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남 *치료효과: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이 가장 양호, 정신치료적 효과는 우울증적 상태에서만 일시적으로 효과

[3-4/4-3] *증상: 만성적인 강한 분노감,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충동,그러나 적절히 표현은 못함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범죄행위, 신체화장애에 대한 호소 동반 *성격특징: 척도 3이 척도 4보다 높으면 분노가 수동적으로 간접적으로 표현 척도 4가 척도 3보다 높으면 지나친 통제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분노감 폭발 가족원에 대한 만성적인 깊은 적개심, 거부당하는데 민감 성적으로 문제, 가족불화 성적 무절제 문제, 자살의욕, 자살시도가 특징적 -표면적: 사교적, 순응적 - *치료변화: 정신치료는 거의 무익하다. 변화에 대한 동기 약하고 진지하지 못함

[3-6/6-3] *증상: 긴장, 불안, 두통과 내장계 증상을 포함하는 신체화장애 (만성적) *성격특징: 가족관계에서 만성적 분노감이 주요 요인 반항적, 비협조적, 타인에 대해 의심과 적개심, 자기중심적, 자아도취적인 경향성 지나치게 낙천적인 태도 *진단: 척도 6이 척도 3보다 T점수가 5점이상 높으면 편집증, 정신증적 상태 고려 *치료변화: 예후가 전혀 밝지 못하다.

[3-8/8-3] *증상: 심리적 혼란과 불안, 긴장, 공포장애, 우울과 무기력감 동반, 신체화 증상 (위장계, 근육 골격계 증상, 현기증, 흉통, 성기통증, 두통, 불면증 등) 사고장애, 집중력 장애, 기억력 장애, 비관습적 사고 표현, 연상과정 산만 강박전인 반추, 명백한 망상, 환각 F척도가 75점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지남력 상실, 집중력 장애, 기억착오 동반 *성격특징: 미성숙, 의존적, 애정과 관심에 대한 강한 욕구, 자기처벌적 경향 무감동적, 비관적인 경향, 문제 접근 방식 매우 단순 *진단: 정신분열증장애, 신체형장애 *치료변화: 지지적 정신치료의 효과가 양호

[4-5/5-4] *특징; 대부분의 남성 미성숙하고 자아도취적이며 수동적이며 인지되지 못한 강한 의존적 욕구를 지님 *증상: 사회적 가치관을 내면화하는 행동, 언어, 복장 등을 통한 반사회적 행동 성적 역할이나 성적 정체감에 문제⇒동성애적 경향 , 여성의 요구에 민감 *진단: 수동-공격적 인격장애 *치료변화: 성격 특징이 만성적이기 때문에 예후가 밝지 못하다

[4-6/6-4] *증상: 억제된 분노와 적개심 정서적, 신체적 증상은 모호하게 표현 -정서적: 신경질적 정서 불안정, 우울감 -신체적: 천식, 건초열, 고혈압, 두통, 기절발작, 심장의 고통 *성격특징: 정서적 미성숙, 자아도취적, 자기 탐닉적, 수동-의존적 성향(여성은 남성에게 의 존적) 타인의 동기 의심, 친밀한 정서적 관계 회피, 적의, 불안정, 권위상에 대해 분개, 직업경력과 결혼생활의 문제가 흔함 심리적 문제 부정, 타인을 비난함으로써 합리화, 문제의 책임 전가 *진단: 수동-의존적 인격장애, 정신분열증장애 망상형 *치료변화: 타인의 동기에 대한 불신으로 인하여 건설적인 비판 수용이 불가능 하고 정서적으로 부담이 되는 이야기는 꺼리기 때문에 예후가 밝지 못하다.

[4-7/7-4] *특징: 행동화와 이에 대한 죄의식과 자기 비난의 주기가 반복 행동화⇒자책감, 죄의식⇒ 심한 행동 억제(반복) *증상: 두통과 위장 통증 같은 모호한 신체화 장애, 피로감, 무력감, 긴장감 등 정서불안정 척도 4- 무관심, 무시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척도 척도 7- 자신의 행동에 대해 지나친 관심과 분석을 측정하는 태도 *성격특징: 의존적인 성향-지지적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인정받기를 원함 *진단: 인격장애 *치료변화: 지지적 치료에서 정상적인 수준에서의 변화는 달성

[4-8/8-4] *증상: 충동통제력 상실, 행동화, 정서불안정, 부적절한 행동 *성격특징: 권위상에 적대적, 행동 예견 불가능, 충동통제에 어려움, 사회적 지능 부족 정서적으로 변적스럽고 불안정, 부적절, 반사회적 방식으로 행동화 과도한 음주와 약물 남용(특히 환각제), 공감 및 의사소통능력 제한 교육과 직업에서 수준이하의 성취, 최저한도의 적응, 불규칙적 수행 판단의 부적절, 통찰의 제한, 자살시도 경험 (사회적, 법률적 문제 일으킴) *대인관계: 기본적 사회기술 부족, 사회적으로 고립, 정체감에 대한 심한 열등감 *남성강간범에서 흔한 프로파일-범죄행위는 예측불허의 공격성을 띤다. *진단: 정신분열증장애 망상형, 반사회적, 정신분열성, 망상형 인격장애 *치료변화: 통찰정신치료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4-9/9-4] *증상: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특징(반사회적 행위, 권위상과 문제) *성격특징: 충동적, 무책임, 도덕발달장애, 자기애적, 쾌락주의적, 자기 탐욕적 알콜중독, 부부문제, 성적 행동화, 폭력적 행동화등 다양한 범죄행위 (약물남용이나 알콜남용 환자에게 흔한 프로파일) 판단력 부족, 경험을 통한 학습 불가, 좌절에 대한 지구력 낮음, 정서적으로 불안정, 과잉 활동적, 정서적 자극과 흥분 추구 *대인관계: 피상적, 역할습득능력 결함, 미성숙, 의존적 특징 *진단: 반사회적 인격장애, 양극성 정서장애 *치료변화: 통찰적 정신치료는 물론 전반적인 정신치료적 접근방식이 매우 힘들 것.

[6-8/8-6] *증상: 정신증적 증상(사고연상과정 자폐적, 산만, 우회적, 단편적, 사고내용 기괴) 집중력과 주의력 장애, 기억력 장애, 판단력장애, 피해망상과 과대망상 및 환각 현실감 장애, 정서 둔감화, 현실검증력장애, 편집증적 경향 *성격특징: 심한 열등감, 불안정감, 자신감과 자존감 결여, 실패에 대한 지나친 죄의식, 방어기제 결여, 일상적 상황으로부터 철수, 정서적 둔화, 자살충동 자폐적, 단절적, *대인관계: 타인을 불신하며 깊은 관계 회피, 사회적 기술 부족, 혼자 있을 때 안정감 *진단: 정신분열증장애 망상형, 망상형 인격장애, 정신분열성 인격장애 *치료변화: 주된 치료법-약물 치료법 정신치료는 정신증적 증상이 완화되고 난 다음 지지적 치료로서 장기화 시도

[6-9/9-6] *증상: 사고장애 및 전반적인 정신증적 증상 집중력 장애, 사고, 지연, 반추적이고 강박적이고 사변적인 사고, 망상, 환각, 부적절하거나 앞뒤가 맞지 않는 말, 판단력장애, 현실 검증력장애, 지남력 장애, 착각 *성격특징: 의존적, 애정에 대한 강한 욕구, 긴장, 불안, 두려움, 스트레스에 과잉반응 현실로부터의 도피, 공상으로의 철수, 지나친 정서통제와 과소 통제방식을 번갈아 사용하면서 정서 반응 *진단: 정신분열증장애 망상형, 조증장애, 급성적인 정신병적 에피소드 고려 *치료변화: 약물치료⇒지지적 치료 장기적 시도

[7-8/8-7] *증상: 극심한 정서적 혼란, 우울감 긴장, 정서적 불안정 호소, 극도의 공황상태 *성격특징: 만성적인 불안정감, 열등감, 부적절감, 극도로 우유부단함 사회화 경험 부족, 지나친 성적 공상, 심리적 문제 인정 적절한 방어 능력 결여 *대인관계: 수동-의존적인 성향, 이성애적 관계가 특히 어렵고 전통적 성역할 적응 불가

[8-9/9-8] *증상: 심한 사고장애, 전반적인 정신증적 증상 기괴, 자폐적, 우회적, 비현실적 사고, 집중력 장애, 음성연상, 신어조작증, 반향언어 혼란, 착각, 지남력 장애, 현실검증력장애, 망상, 환각 *성격특징; 자기중심적 성향, 타인에 대해 미성숙한 유아적 기대 인간관계 회피, 사회적으로 철수, 소외, 이성애적 관계 불안, 부적응 과잉활동적, 변동적 정서 *진단: 정신분열증 장애 8-9: 조증장애와 약물로 인한 정신병 의심(약물 남용 청소년에게 빈번한 프로파일) *치료변화: 약물치료가 주된 치료법

Ⅴ. 3개 척도 형태 분석

[1-2-3/2-1-3/2-3-1] *임상진단: 신체형장애, 불안장애, 우울장애 *증상: 신체적 고통이 주된 증상이며 위장계통의 증상이 가장 빈번히 호소됨 수면장애, 혼돈감, 의기소침, 절망감 호소 *특징: 의존성과 자기주장 사이에서 갈등, 타인과의 거리감 낮은 에너지, 낮은 성적 욕구 직업과 결혼에 있어서 적응이 뛰어남

[1-3-2/3-1-2] *전환증 V프로파일 *임상진단: 전환장애, 신체화장애 *증상: 전형적인 전환 증상 *특징: 스트레스 자극이 신체증상으로 전환, 강한 부정과 억압 방어기제 사용 심리적 원인에 대한 통찰력 결여, 사교적, 수동-의존적 사회적 규범에 순응

[1-3-8] *임상진단: 정신불열증장애 망상형, 망상형 인격장애 SPAN style="FONT-FAMILY: Gulim,굴림; FONT-SIZE: 10pt">*증상: 기괴한 신체증상 호소 우울증 에피소드, 자살과 성적, 종교적 집착, 사고장애 *특징: 초조하고 흥분하기 쉽고 성질이 급하다. 과도한 음주 경력, 권태감, 친밀한 인간관계에 대한 양가적 감정 타인을 의심하고 질투하는 경향

[1-3-9] *임상진단: 신체형장애, 기질성장애 *특징: 공격행동이나 분노폭발이 예상치 않게 일어남

[2-4-7/2-7-4/4-7-2] *임상진단: 수동-공격적 인격장애 *증상: 우울, 불안 *특징: 약물남용이나 알콜남용환자에게 흔한 프로파일 스트레스에 과잉반응, 충동통제력이 낮다 의존욕구, 성에 대한 갈등, 반추적인 경향, 사변적인 사고, 분노 폭발에 관한 죄의식 *치료: 지시적이거나 목표지시적인 치료에 적합

[2-7-8/7-2-8] *증상: 심한 정서적 혼란과 정신분열성 생활방식이 혼합된 특징 단기적이고 급성적인 정신증적 반응, 긴장, 신경질적, 공포감, 집중과 주의장애 *특징: 우울, 의기소침, 절망적, 자살 집착, 정서 무감동 혹은 부적절 대인관계에서 기본적 기숙 부족, 위축, 내향적 , 사회적 고립, 부적절감, 열등감

[6-8-7/8-6-7] *정신증 V형: 심한 정신병리 암시 *임상진단: 정신분열증 망상형 *증상: 환각, 망상, 심한 의심, 정서 둔화 *특징: 내향적, 사회적 위축, 기억 집중과 관련된 문제 술을 마시면 심하게 공격적 *치료: 입원치료와 약물치료 요구

[참고문헌] 『심리평가의 실제』이놈들 『임상심리학 입문』, 이영호 역, 학지사, 2001 『다면적 인성검사』, 김중술 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MMPI 해석』 전용신 편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1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