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joule_thief [2021/12/31 01:11] – V_L | tech:joule_thief [2022/01/09 13:55] (현재) – 192.168.0.1 | ||
|---|---|---|---|
| 줄 2: | 줄 2: | ||
| ====== | ====== | ||
| - | Joule Thief 는 말그대로 에너지 도둑놈이라는 뜻으로,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배터리를 거의 마지막 전력까지 쪽쪽 빨아 | + | Joule Thief 는 말그대로 |
| + | |||
| + | {{: | ||
| - | {{: | ||
| =====작동===== | =====작동===== | ||
| 줄 30: | 줄 31: | ||
| 11. 내장된 전기는 트랜지스터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부하(대개 [[tech: | 11. 내장된 전기는 트랜지스터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부하(대개 [[tech: | ||
| - | 12. 축적된 에너지가 하중을 통과하면서 큰 스파이크가 나타난다. 에너지가 소산 되면 회로가 효과적으로 리셋 되고 전체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인 JouleThief회로에서 이 과정은 초당 50,000회 발생함 | + | 12. 축적된 에너지가 하중을 통과하면서 큰 스파이크가 나타난다. 에너지가 소산 되면 회로가 효과적으로 리셋 되고 전체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인 JouleThief회로에서 이 과정은 초당 50,000회 발생함 |
| + | |||
| + | (([[http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