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tech:cmaxim401 [2011/11/16 01:51] – [명모호치(明眸皓齒)] vaslortech:cmaxim401 [2016/07/12 00:56]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고사성어 중국}}
 +
 +
 +중국고사성어
 +
 +====== 명모호치(明眸皓齒)======
 +
 + 明:밝을 명.眸:눈동자 모. 皓:하얄 호. 齒:이 치
 +
 + 밝은 눈동자와 하얀 이. 곧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키는 말
 +
 + 당나라 현종은 말년에 이르러 양귀비에게 넋을 빼앗겨 국정은 완전히 뒷전이었다. 이때 안록산은 755년에 20만 대군을 휘몰아 장안성으로 몰아쳐 이후 9년간 천하를 소동시켰다. 두보(杜甫)는 안록산이 난을 일으킨 그 해에 44세였다. 현종이 있는 곳으로 가다 반군에게 체포되어 장안으로 끌려갔다. 이때 그의 나이 45세였다. 두보는 하급 관리였기 때문에 곧 풀려났다.
 +
 + 그는 도성이 반군에게 유린당하자 장안의 동쪽 곡강을 찾아갔다. 이곳은 왕후(王后)나 장상(將相)의 귀부인들이 평소 유람을 즐기던 명승지였다. 그러다 보니 현종과 양귀비도 이곳 강두(江頭)에서 자연을 희롱하며 즐기곤 했다. 두보는 그것을 슬퍼하며 시를 읊었다.
 +
 + //‥‥장안성 남쪽의 소릉에 사는 나는 난(亂)을 만나 황폐해진 도성의 지난날을 생각하니 슬픔으로 통곡이 복받치는 것을 삼키며 울었다. 도성을 구비구비 돌아 흐르는 곡강(曲江) 언저리를 방황하면서‥‥.
 +
 + 옛날 한나라 소양전 중의 가장 으뜸 가는 조비연에게 비견됐던 양귀비는 천자와 함께 수레를 타고 천자를 따라 함께 모시고 있었다. 그 수레를 호위하며 나아가는 재인(才人) 여관(女官)은 허리에 활을 매었고, 타고 가는 백마의 입에 황금 자갈을 물리었다. 그 재인이 몸을 돌려 하늘을 향하여 구름 사이로 활을 쏘면, 한 개의 화살에 쌍으로 날던 새가 맞아 떨어졌다. 그런데 지금, 고운 눈과 흰 이(明眸皓齒)의 양귀비는 어디 있는가‥‥//
 +
 + 위의 《哀江頭》는 나중에 백낙천이 쓴 《長恨歌》와 함께 양귀비의 애환을 절절히 읊었다.
 +
 + [출전]두보의 시《哀江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