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med:toxicology087 [2016/07/10 09:50] – 만듦 - 바깥 편집 127.0.0.1med:toxicology087 [2025/08/18 00:06] (현재) V_L
줄 1: 줄 1:
 {{tag>독극물 독성학}} {{tag>독극물 독성학}}
 {{entry>1;의학/독극물}} {{entry>1;의학/독극물}}
- 
- 
- 
- 
- 
  
 ======키타진====== ======키타진======
- 
- 
- 
- 
- 
- 
- 
- 
- 
- 
- 
- 
- 
- 
- 
- 
- 
  
  4087  408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카타진 카타진
줄 73: 줄 11:
  
   * 유효성분 : IBP(유제 - 48%, 입제17%)   * 유효성분 : IBP(유제 - 48%, 입제17%)
- 
- 
  
 =====상 품 명===== =====상 품 명=====
줄 97: 줄 33:
  
 살충제가 동물의 신경계에 장해를 초래하는데 비해서 살균제는 균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과 그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ATP의 생성을 방해하는 세포호흡 저해제로서 작용한다. 같은 유기염소계라도 살충제는 신경계에 작용하는 데 비해서 살균제는 효소의 SH기에 대한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유기인계 살균제는 세포막 성분인 레시틴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멜라닌합성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살충제가 동물의 신경계에 장해를 초래하는데 비해서 살균제는 균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과 그 합성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ATP의 생성을 방해하는 세포호흡 저해제로서 작용한다. 같은 유기염소계라도 살충제는 신경계에 작용하는 데 비해서 살균제는 효소의 SH기에 대한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유기인계 살균제는 세포막 성분인 레시틴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멜라닌합성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 
- 
  
 =====중독의증상 및 징후===== =====중독의증상 및 징후=====
줄 113: 줄 47:
  
 발열, 발한, 근육통, 피부염 발열, 발한, 근육통, 피부염
- 
- 
  
 =====중독시의 처치내역===== =====중독시의 처치내역=====
줄 127: 줄 59:
  
 대부분 독성이 낮은 편이며, 급성중독시의 처치는 대증요법이 치료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독성이 낮은 편이며, 급성중독시의 처치는 대증요법이 치료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