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rotaviral_infection [2018/02/05 05:24] – [Rotaviral Infection] V_L | med:rotaviral_infection [2018/02/05 08:17] (현재) – V_L | ||
---|---|---|---|
줄 1: | 줄 1: | ||
{{tag> | {{tag> | ||
{{page>: | {{page>: | ||
- | ====== | + | ======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rotaviral infection)은 로타바이러스 설사증이라고도 불리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되어 중증도의 발열, 구토, 수양성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장관감염증임.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rotaviral infection)은 로타바이러스 설사증이라고도 불리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되어 중증도의 발열, 구토, 수양성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장관감염증임. | ||
줄 25: | 줄 25: |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특이적 항바이러스제가 없기 때문에 대증치료가 주된 치료임.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특이적 항바이러스제가 없기 때문에 대증치료가 주된 치료임. | ||
- | 따라서 예방이 중요한데요. 손 씻기 및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함. 집단 발생에 대해 역학조사를 한 보건복지부 결과에 따르면, 2016년 보고된 총 14건의 로타바이러스 유행 사례 중 11건(79%)이 산후조리원/ | + | 따라서 예방이 중요하다. 손 씻기 및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함. |
+ | |||
+ | 집단 발생에 대해 역학조사를 한 보건복지부 결과에 따르면, 2016년 보고된 총 14건의 로타바이러스 유행 사례 중 11건(79%)이 산후조리원/ | ||
국내에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두 종류의 백신이 도입되어 있으며, 모두 경구용 백신임. 백신의 종류에 따라 2회에서 3회를 접종하게 된다. 두 백신 모두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는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을 70~97% 예방하는 효과를 보임. (*5기 백신의 경우, 생후 2, | 국내에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두 종류의 백신이 도입되어 있으며, 모두 경구용 백신임. 백신의 종류에 따라 2회에서 3회를 접종하게 된다. 두 백신 모두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는 중증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을 70~97% 예방하는 효과를 보임. (*5기 백신의 경우, 생후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