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reye_s_syndrome [2020/01/07 07:35] – [라이 증후군(레예 증후군; Reye's syndrome)] V_L | med:reye_s_syndrome [2020/01/07 08:01] (현재) – V_L | ||
---|---|---|---|
줄 15: | 줄 15: | ||
따라서 열이 나는 소아의 경우 아스피린 계통의 약 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 따라서 열이 나는 소아의 경우 아스피린 계통의 약 보다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 ||
+ | =====예방===== | ||
+ | * 독감이나 수두에 걸려 열이 나는 아기에게 처방 없이 아스피린을 주지 않도록 한다. | ||
+ | * 장기간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소아는 열성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
+ | |||
+ | |||
+ | |||
+ | 소아청소년에게 다음의 성분이 함유된 약을 주지 않도록 한다. | ||
+ | |||
+ | * acetylsalicylic acid | ||
+ | * acetylsalicylate | ||
+ | * salicylic acid | ||
+ | * salicylate | ||
+ | * salicylate salts | ||
=====증상===== | =====증상===== | ||
감염된 어린이는 바이러스성 질환 회복기에 메스꺼움, | 감염된 어린이는 바이러스성 질환 회복기에 메스꺼움, | ||
줄 24: | 줄 37: | ||
=====치료===== | =====치료===== | ||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하지만 증상에 따라 포도당 수액을 공급하거나 뇌압을 측정하여 상승된 뇌압을 낮추어 주는 약을 투여한다. 또한 관장, 항경련제, |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하지만 증상에 따라 포도당 수액을 공급하거나 뇌압을 측정하여 상승된 뇌압을 낮추어 주는 약을 투여한다. 또한 관장, 항경련제, | ||
- | |||
- | =====예방===== | ||
- | * 독감이나 수두에 걸려 열이 나는 아기에게 처방 없이 아스피린을 주지 않도록 한다. | ||
- | * 장기간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소아는 열성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