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preimplantation_genetic_diagnosis [2025/08/16 01:47] – 162.158.114.56 | med:preimplantation_genetic_diagnosis [2025/08/23 01:44] (현재) – [정상 배아 비율] V_L | ||
---|---|---|---|
줄 3: | 줄 3: | ||
====== 착상전 유전자 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 착상전 유전자 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
- | 착상전 유전자 진단은 시험관 아기를 착상전에 유전자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보통 8세포기나 16세포기에 한 세포를 꺼내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 + | 착상전 유전자 진단은 시험관 아기를 착상전에 유전자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보통 8세포기나 16세포기에 한 세포를 꺼내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
+ | 이 검사를 통해 정상 염색체를 가진 배아를 이식하기 때문에, 염색체 문제로 인한 유산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착상확률이 올라간다. 이식할 수 있는 배아는 일명 통배, 즉 PGT 검사에서 정상배아로 판별된 배아뿐만 아니라 배아의 약 15~20%에서 정상 세포와 비정상 세포가 섞여 있는 [[mosaicism|모자이시즘(섞임증)]] 배아도 포함이 된다. | ||
- | PGT 검사를 진행하려면 5일 배아가 나와주어야 하는데, 난소 기능이 저하되어 있거나 고령인 경우에는 배아가 5일까지 살아남기가 쉽지 않다. 임신이 될 수 있었던 3일 배양 배아를 놓칠 수도 있고, 5일 배아를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과배란을 진행하다 | + | {{preimplantation_genetic_diagnosis_2321.png}} |
+ | |||
+ | PGT(PGS) 검사를 하려면 우선 시험관 시술을 통해 채취된 난자와 정자를 미세수정시키고, | ||
+ | |||
+ | PGT 검사를 진행하려면 | ||
+ | |||
+ | =====정상 배아 비율===== | ||
+ | |||
+ | > **PGT 시술 시 정상 배아 비율, 여성의 나이가 가장 큰 변수** | ||
+ | |||
+ | 착상 전 유전 검사(PGT) 시술에서 유전적으로 정상적인 배아의 비율은 여성의 나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 ||
+ | |||
+ | 다양한 연구 및 임상 데이터를 종합해 보면, 연령에 따른 정상 배아(정배수체) 비율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임. | ||
+ | |||
+ | ^ 여성의 나이 ^ 정상 배아 비율 (Euploidy Rate) ^ | ||
+ | | 35세 미만 | 50 - 60% | | ||
+ | | 35 - 37세 | 40 - 50% | | ||
+ | | 38 - 40세 | 20 - 30% | | ||
+ | | 41 - 42세 | 10 - 20% | | ||
+ | | 43세 이상 | 10% 미만 | | ||
+ | 이 수치는 평균적인 값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 난소 기능, 남성의 정자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
+ | |||
+ | 5일 배양(포배기 배양) 자체가 일종의 ' | ||
+ | 5일까지 살아남아 PGT 검사를 받는 배아들은 1차적인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은 배아들이며, | ||
+ | |||
+ | 건강하고 젊은 여성의 난자를 기증받아 진행하는 경우에도 염색체 이상 배아는 상당한 비율로 발견된다. 이는 배아의 염색체 이상이 특정 난임 그룹의 문제라기보다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