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preeclampsia [2016/07/14 03:39] V_Lmed:preeclampsia [2025/09/27 05:19]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198.41.227.200
줄 9: 줄 9:
   * 경산모의 1.4~4% 에서 발생한다. (Roberts, 2011)   * 경산모의 1.4~4% 에서 발생한다. (Roberts, 2011)
  
-정상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 >140 mmHg, 혹은 이완기 혈압 >90 mmHg인 경우에 [[고혈압]]을 진단할 수 있다.+정상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 >140 mmHg, 혹은 이완기 혈압 >90 mmHg인 경우에 [[hypertension]]을 진단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자간전증의 진단은 이러한 고혈압과 함께 [[단백뇨]]나 전신부종이 있을 시 쉽게 내려졌으나 임신 시 부종은 정상적으로도 흔하며, 심지어 얼굴이나 손가락의 부종 또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부종이 자간전증에 필수적인 진단 요건이 되지 못한다.  전통적으로 자간전증의 진단은 이러한 고혈압과 함께 [[단백뇨]]나 전신부종이 있을 시 쉽게 내려졌으나 임신 시 부종은 정상적으로도 흔하며, 심지어 얼굴이나 손가락의 부종 또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부종이 자간전증에 필수적인 진단 요건이 되지 못한다. 
줄 23: 줄 23:
  
  
-산모는 [[고혈압]]과 [[단백뇨]]가 있음을 대개는 모르고 지내다가 두통, 시력장애, 상 복부 통증 등 심각하게 진행되었을 때에야 자각 증상을 보이게 된다.+산모는 [[hypertension]]과 [[단백뇨]]가 있음을 대개는 모르고 지내다가 두통, 시력장애, 상 복부 통증 등 심각하게 진행되었을 때에야 자각 증상을 보이게 된다.
  
 임신 28주까지는 매달, 36주까지는 2주에 1회, 그 후에는 매주 산전 진찰을 통해서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및 징후가 있는지 살펴야 한다. 임신 28주까지는 매달, 36주까지는 2주에 1회, 그 후에는 매주 산전 진찰을 통해서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및 징후가 있는지 살펴야 한다.
줄 55: 줄 55:
  
    
-   * 상기 서술한** [[고혈압|고혈압]]** (수축기 14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90 mmHg 이상)+   * 상기 서술한** [[hypertension|고혈압]]** (수축기 14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90 mmHg 이상)
 **그리고**  **그리고** 
     * **단백뇨**  ≥ 300 mg/24h 혹은 \\  Urine Protein: creatinine ratio ≥ 0.3 (24판 추가) 혹은 \\ 지속적인 Dipstick 1+ (다른 방법이 없을 때)     * **단백뇨**  ≥ 300 mg/24h 혹은 \\  Urine Protein: creatinine ratio ≥ 0.3 (24판 추가) 혹은 \\ 지속적인 Dipstick 1+ (다른 방법이 없을 때)
줄 77: 줄 77:
  
 확장기 혈압 >110 mmHg, 단백뇨가 일정량 이상, 두통, 시력장애, 상부 복통, 소변량 감소(핍뇨), 경련 등이 있으면 중증이며, 즉각적인 분만의 필요성이 증가한다. 이외에도 혈소판 수치 감소, 간 효소 수치 상승, 태아발육지연, 폐부종 등이 동반되어도 중증으로 진단된다 확장기 혈압 >110 mmHg, 단백뇨가 일정량 이상, 두통, 시력장애, 상부 복통, 소변량 감소(핍뇨), 경련 등이 있으면 중증이며, 즉각적인 분만의 필요성이 증가한다. 이외에도 혈소판 수치 감소, 간 효소 수치 상승, 태아발육지연, 폐부종 등이 동반되어도 중증으로 진단된다
 +====중증기준 (Preeclampsia severity)====
 +"mild", "moderate" 라는 것이 있었으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2013 Task Force) ((질환자체가 스펙트럼상에 있는 것이고 명확히 구별되는 것이 아니다. "Mild" 에서 언제든지 "Severe"가 될 수 있다.))
 +지금은 중증 (**Severe**) 인지 아닌지 (**nonsevere**) 로 나눈다.
 + 
 +
 +
 +{{:med:hypertensive_disorder_0518095310.png}}
  
 +최저혈압 뿐만 아니라 최고혈압도 기준에 포함되었고, 단백뇨는 삭제되었다. 태아발육지연은 2013 Task Force에서 삭제하였으나, 24판에 그대로 나옴.
  
 ===== 치료 =====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