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pediatric_obesity [2016/07/10 09:50] – 바깥 편집 127.0.0.1med:pediatric_obesity [2025/09/27 01:15]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V_L
줄 60: 줄 60:
 **당뇨병** **당뇨병**
  
-일반적으로 성인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 불리는 [[당뇨병]]은 [[비만]]과 관계가 깊다. 근래 소아에게 비만이 증가하면서 소아기때 성인 당뇨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단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경향이 있는 소아가 비만이 있을 경우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생하게 된다.+일반적으로 성인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라고 불리는 [[diabetes_mellitus]]은 [[obesity]]과 관계가 깊다. 근래 소아에게 비만이 증가하면서 소아기때 성인 당뇨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일단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경향이 있는 소아가 비만이 있을 경우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생하게 된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며 섭취한 음식물이 혈액으로 영양소로 흡수된 후 혈액 내 증가된 영양소를 조직에서 이용 또는 저장할 수 있게 조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이 없을 경우, 또는 조직에서 작용을 하지 못할 경우 혈액 내 증가된 영양소, 특히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되어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며 섭취한 음식물이 혈액으로 영양소로 흡수된 후 혈액 내 증가된 영양소를 조직에서 이용 또는 저장할 수 있게 조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이 없을 경우, 또는 조직에서 작용을 하지 못할 경우 혈액 내 증가된 영양소, 특히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되어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줄 74: 줄 74:
 **동맥경화** **동맥경화**
  
-고인슐린 혈증 자체가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으로 좁아지며, 또 비만일 경우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성분이 혈액 내 증가하여 혈관 내에 축적하게 되어 더욱 혈관의 내경은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이 발생한다. 비만이 없는 경우에도 동맥경화증은 10대 후반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그러나 비만이 동반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존재할 경우 동맥경화증은 10대 초반부터 또는 심할 경우 10세 이전에도 시작될 수 있다.+고인슐린 혈증 자체가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으로 좁아지며, 또 비만일 경우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성분이 혈액 내 증가하여 혈관 내에 축적하게 되어 더욱 혈관의 내경은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athelosclerosis]]이 발생한다. 비만이 없는 경우에도 동맥경화증은 10대 후반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그러나 비만이 동반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존재할 경우 동맥경화증은 10대 초반부터 또는 심할 경우 10세 이전에도 시작될 수 있다.
  
 동맥경화증은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을 가져오며 뇌동맥, 또는 심장 근육에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이 현상이 발생할 경우 뇌경색 ·심근경색증 등으로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동맥경화증 등으로 인한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동맥경화증은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을 가져오며 뇌동맥, 또는 심장 근육에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이 현상이 발생할 경우 뇌경색 ·심근경색증 등으로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동맥경화증 등으로 인한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페이지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med/pediatric_obesity.146814423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127.0.0.1 · 현재 잠겨진 사용자 172.71.254.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