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ovulation_induction [2025/08/25 07:28] – [착상 보조 약물] V_L | med:ovulation_induction [2025/08/30 02:28] (현재) – 이전 판으로 되돌림 (2025/08/25 07:40) V_L | ||
|---|---|---|---|
| 줄 237: | 줄 237: | ||
| * 혹은 (배란소변 키트 사용이 귀찮으면) 월경 제 10일째 부터 18일째 까지 이틀에 한번씩 부부관계를 갖게 된다. | * 혹은 (배란소변 키트 사용이 귀찮으면) 월경 제 10일째 부터 18일째 까지 이틀에 한번씩 부부관계를 갖게 된다. | ||
| * 클로미펜 투여 후 5일-12일 사이에 배란이 일어나므로 마지막 투여 후 5일 후 부터 2일마다 일주일간 부부관계를 하도록한다. | * 클로미펜 투여 후 5일-12일 사이에 배란이 일어나므로 마지막 투여 후 5일 후 부터 2일마다 일주일간 부부관계를 하도록한다. | ||
| - | * hCG를 추가할 경우 ( 10000IU IM) 시기는 다음과 같고, 투여 **당일**과 **2일 후**에 [[Timed intercourse|잠자리]]를 한다. | + | * hCG를 추가할 경우 ( 10000IU IM) 시기는 다음과 같고, 투여 **당일**과 **2일 후**에 [[Timed intercourse|잠자리]]를 한다. |
| * 마지막 약 복용 후 7일째 혹은 | * 마지막 약 복용 후 7일째 혹은 | ||
| * 초음파에서 최대 난포의 평균직경이 18-20mm 혹은 | * 초음파에서 최대 난포의 평균직경이 18-20mm 혹은 | ||
| 줄 244: | 줄 244: | ||
| 배란 5일전부터 2-3mm/ | 배란 5일전부터 2-3mm/ | ||
| + | 배란전 난포의 최대직경이 약 18-24mm. | ||
| + | =====착상 보조 약물===== | ||
| + | 배란유도(Ovulation Induction, OI) + 계획된 관계(Timed Coitus, TC) 후 | ||
| + | 착상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보조 약물을 쓰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이는 꼭 표준치료라기보다는 환자의 상황(배란 여부, 황체 기능, 과거 유산력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 ||
| - | 배란전 난포의 최대직경이 약 18-24mm | + | 국내외 가이드라인(대한산부인과학회, |
| - | =====착상 | + | * 일반적인 배란유도 + 계획된관계(OI+TC) 에서는 프로게스테론 |
| - | 착상 | + | - 황체기 결함(Luteal Phase Defect, LPD) 의심 시 (배란 후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낮거나 황체기 길이가 10일 미만인 경우) |
| + | - 배란유도제 사용 후 배란은 되었으나 내막이 얇을 때 (특히, 클로미펜은 내막 얇아짐을 유발할 수 있어, | ||
| + | - 과거 반복 유산(Recurrent pregnancy loss)이나 반복 착상 실패 경험이 있는 경우 | ||
| + | - 주사 배란유도(hCG trigger) 후 황체가 불안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 ||
| + | | ||
| ====황체홀몬 ==== | ====황체홀몬 ==== | ||
| 루틴하게 모든 OI+TC 환자에게 주지는 않음. | 루틴하게 모든 OI+TC 환자에게 주지는 않음. | ||
| 황체기 부족, 반복 유산 등 고위험군에서 주로 사용. | 황체기 부족, 반복 유산 등 고위험군에서 주로 사용. | ||
| - | 너무 일찍(배란 전) 시작하면 배란 억제 위험 있으므로 반드시 배란 이후부터 투여. | + | 너무 일찍(배란 전) 시작하면 배란 억제 위험 있으므로 반드시 |
| * 시작: 배란일 + 2일째부터 프로게스테론 투여 시작함. 예) 질 프로게스테론 (예: Utrogestan 200mg 1일 2~3회) | * 시작: 배란일 + 2일째부터 프로게스테론 투여 시작함. 예) 질 프로게스테론 (예: Utrogestan 200mg 1일 2~3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