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neonatal_respiratory_distress_syndrome [2016/09/22 06:38] – [RDS 진단] V_L | med:neonatal_respiratory_distress_syndrome [2019/06/19 04:14] (현재) – [위험요인] V_L | ||
|---|---|---|---|
| 줄 2: | 줄 2: | ||
| {{page>: | {{page>: | ||
|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 ||
| - | {{INLINETOC}} | + | |
| 신생아 호흡기 질환과 신생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신생아 호흡기 질환과 신생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
| - | 주로 미숙아에서의 폐의 발달 미숙으로 인한 | + | 주로 |
| 폐표면활성제(surfactant)의 부족에 의해 | 폐표면활성제(surfactant)의 부족에 의해 | ||
|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생빈도는 임신주수와 출산시 체중에 반비례한다. ((the incidence rate is 80% in infants <28 weeks gestation, 60% at 29 weeks, and 15–30% at 32–34 weeks, but declined with maturity to 5% at 35–36 weeks and is almost 0% by 39 weeks gestation)) |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생빈도는 임신주수와 출산시 체중에 반비례한다. ((the incidence rate is 80% in infants <28 weeks gestation, 60% at 29 weeks, and 15–30% at 32–34 weeks, but declined with maturity to 5% at 35–36 weeks and is almost 0% by 39 weeks gestation)) | ||
| 줄 34: | 줄 34: | ||
| ====만삭 RDS의 요인==== | ====만삭 RDS의 요인==== | ||
| - 폐렴 등의 염증 | - 폐렴 등의 염증 | ||
| - | - 예정된 제왕절개술 | + | - 예정된 |
| - | - 태변흡입증후군, | + | - [[meconium aspiration syndrome|태변흡입증후군]], 신생아가사증후군 |
| - 폐출혈 | - 폐출혈 | ||
| - 기저 유전적질환 | - 기저 유전적질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