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mental_retardation [2013/12/25 02:05] – anon | med:mental_retardation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 ||
+ | |||
+ | 전문가가 실시한 개인지능검사에서 IQ 70 이하의 지능지수를 나타내 의사소통, | ||
+ | |||
+ | |||
+ | 학교생활을 포함해서 일상생활에 적응하기 어렵다. 모든 면에서 다른 아이에 비해 눈에 띄게 발달이 느리며,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고, 따돌림을 당하기 쉽다. 사춘기가 되면 신체적 발달은 정상적이지만 인지 발달이 느려 정서적 충동을 조절하지 못해 비행을 하기도 쉽다. | ||
+ | |||
+ | =====경과===== | ||
+ | |||
+ |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평생 지속되는 장애는 아니다. 가벼운 정도의 정신지체는 적절한 훈련과 기회를 통해 적응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 ||
+ | |||
+ | ====가벼운 정신지체==== | ||
+ | (지능지수50~55에서 70까지: | ||
+ | |||
+ | 정신지체의 약 85%를 차지하며 이 수준의 정신지체아들은 10대 후반까지 교육하면 대략 초등학교 6학년 정도의 학업 능력을 습득할 수 있다. 성인기 동안 자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사회적, 직업적 기술을 성취할 수 있지만 때로는 타인의 감독과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 ||
+ | |||
+ | ====중간 정도의 정신지체==== | ||
+ | (지능지수 35~40에서 50~55까지: | ||
+ | |||
+ | 정신지체아의 약 10%를 차지하며 ' | ||
+ | |||
+ | ====심한 정도의 정신지체==== | ||
+ | (지능지수 20~25에서 35~40까지) | ||
+ | |||
+ | 정신지체의 약 5~6% 정도를 차지한다. 이들은 학령기 동안 말하는 것을 배울 수 있고 기초적인 자기 보살핌 수준의 기술을 훈련받을 수 있다. 대개 타인의 보살핌을 필요로 한다. | ||
+ | |||
+ | =====원인===== | ||
+ | |||
+ | * 감염 또는 중독 -임신 중의 어머니와 태아 또는 유아가 감염성 질환이나 중독증에 걸렸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을 통해서 정신지체아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 ||
+ | * 외상 및 물리적 원인 -임신중 방사선에 의한 저산소증, | ||
+ | * 대사장애나 염색체 이상 - 유전자의 돌연변이,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