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hyperkalemia [2014/03/18 17:37] – 바깥 편집 127.0.0.1 | med:hyperkalemia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Hyperkalemia====== | ======Hyperkalemia====== | ||
+ | |||
+ | 칼륨은 세포 내 가장 많은 전해질이며 약 96%가 세포 내 존재하고 특히 위장관계에 풍부하다. | ||
+ | | ||
+ | (혈청 내 칼륨이 2.5 이하이거나 7.0 이상이면 심장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 ||
+ | 정상인의 1일 칼륨 요구량: 40-60mEq/ | ||
+ | |||
+ | 기능은 | ||
+ | |||
+ | * 세포 내 삼투질 농도 조절 | ||
+ | * 신경 자극의 전도와 골격근, 심장, 평활근의 수축을 도움 | ||
+ | * 세포대사에서 효소활동과 간에 글리코겐의 저장을 도움 | ||
+ | * 수소이온과 세포교환을 통해 산-염기 균형을 유지 (알칼리증-> | ||
+ | * 인슐린은 세포에서 칼륨흡수를 도모함 (따라서 인슐린이 부족한 환자는 종종 고칼륨혈증 발생함) | ||
+ | * 글루카곤은 혈청 칼륨농도를 상승시킴 | ||
+ | * 코티졸, 알도스테론, | ||
+ | |||
+ |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은 | ||
+ | 혈청 내 칼륨이 5.0mEq/ | ||
+ | (고칼륨혈증은 신장기능이 정상인 사람에게는 드물게 나타나고 급성신부전이 있는 사람의 경우 50%이상 발생함) | ||
+ | |||
+ | ===== 원인===== | ||
+ | |||
+ | - 소변 배설량 감소로 체내에 K 정체: 신부전환자, | ||
+ | - 조직손상, | ||
+ | - 칼륨을 포함한 IV용액의 과다투여: | ||
+ | |||
+ | =====병태생리===== | ||
+ | 칼륨이 혈장 내에 많아지면 세포막의 흥분 역치를 상승시켜 세포의 흥분을 감소시킨다. 이로인해 신경과 근육의 과민성이 경감되고, | ||
+ | =====증상===== | ||
+ | | ||
+ | | ||
+ | |||
+ | |||
+ | * 심혈관계: | ||
+ | * 위장관계: | ||
+ | * 신경근육계: | ||
+ | * 신장계: 핍뇨 후기에는 무뇨 | ||
+ | =====진단===== | ||
+ | |||
+ | - 혈청 내 칼륨 k> 5.0mEq/L | ||
+ | - EKG의 변화: T파가 좁아지면서 뾰족해짐, | ||
+ | |||
+ | =====치료===== | ||
+ | |||
+ | - 고칼륨혈증이 경미할 경우엔 IV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칼륨을 내보내는 이뇨제를 투여하여 소변량을 늘려서 치료할 수 있다. | ||
+ | - 고칼륨혈증이 심할 경우엔 치명적인 심장장애가 발생하므로 즉각치료가 중요 | ||
+ | | ||
+ | * calcium gluconate IV(심근에 미치는 칼륨과다의 길항효과를 감소시키기위함 즉 심장의 흥분을 가라앉혀주기 위함) calcium gluconate는 5분 이내로 작용. | ||
+ | * insulin, 포도당, bivon투여(세포에서 칼륨이 흡수되는 것을 도움) | ||
+ | * albuterol 0.5mg IV (30분이내에 혈청 칼륨농도가 감소시킴, | ||
+ | * kalimate enema(장에서 K과 Na이 교환되고 교환된 K은 대변으로 배설됨) | ||
+ | * 신부전이 심한 경우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 | ||
+ | * 식이요법 - 혈청칼륨농도가 5.0-5.5mEq/ | ||
+ | |||
+ | ==== 고칼륨혈증 환자 간호==== | ||
+ | - EKG 지속적 사정. | ||
+ | - 고칼륨혈증이 경미하면 V/S, 장기능, urine output, 폐음, 말초부종을 4-8시간마다 사정. | ||
+ | - K, BUN, Cr 확인 | ||
+ | - 신부전 환자는 hourly urine check | ||
+ | - 만약 환자가 수혈을 받아야 할 경우 2주이상 된 혈액은 고칼륨혈액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금지. | ||
+ | |||
+ | =====참고===== | ||
+ | ====칼륨 고함유 식품==== | ||
+ | |||
+ | - 곡류: 귀리, 기장, 메밀, 수수, 엿기름, 오트밀, 팥, 옥수수, 조, 팝콘, 호밀 감자튀김 | ||
+ | - 과실류: 곶감, 대추, 무화과, 바나나, 참외, 건포도, 살구 자두, 딸기, 오렌지 | ||
+ | - 아채류: 고사리, 마른미역, | ||
+ | - 육류: 소고기, 돼지고기, | ||
+ | - 음료수: 원두커피, | ||
+ | |||
+ | ====칼륨 저함유 식품==== | ||
+ | |||
+ | - 곡류: 국수, 도넛, 밀가루, 식빵, 백미, 쌀밥, 현미밥, 찹쌀, 카스테라, | ||
+ | - 과실류: 귤, 레몬, 배, 사과, 수박, 파인애플, | ||
+ | - 야채류: 옥수수, 무, 숙주, 콩나물, 감자, 고구마 | ||
+ | - 육류: 닭 넓적다리, | ||
+ | - 음료수: 인스턴트커피, | ||
+ | |||
+ | ====가성 고칼륨혈증==== | ||
+ | |||
+ | 용혈된 혈액 검체로 인함. | ||
+ | |||
+ | * 혈액 채취시 지혈대를 너무 꽉 조였을 때 | ||
+ | *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같은부위에 여러번 찔렀을 때 | ||
+ | * 혈액검체를 주사기로 흡인할 때 | ||
+ | * 시험관으로 옮길 때 너무 과한 힘을 가할 때 | ||
+ | |||
+ | |||
+ | |||
What is hyperkalemia? | What is hyperkalemia? | ||
줄 150: | 줄 240: | ||
* 출처: [[http:// | * 출처: [[http://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