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med:hrt [2023/08/24 08:00] – [홀몬요법제] V_Lmed:hrt [2025/10/20 05:11] (현재) – [유방암] V_L
줄 76: 줄 76:
     MWS에 의하면, CEE(conjugated equine estrogens) 혹은 estradiol (E2)에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프로게스테론을 추가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방암 위험이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게스테론의 종류와 무관하였다. 투여경로에 따라 유방암의 위험이 다르다는 증거는 없었다. __티볼론은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의 혼합 HRT제제에 비해서 유방암의 위험은 낮다__. 그러나 __에스트로젠 단독 치료법에 비해서 유방암의 위험도는 더 높다__.     MWS에 의하면, CEE(conjugated equine estrogens) 혹은 estradiol (E2)에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프로게스테론을 추가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방암 위험이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게스테론의 종류와 무관하였다. 투여경로에 따라 유방암의 위험이 다르다는 증거는 없었다. __티볼론은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의 혼합 HRT제제에 비해서 유방암의 위험은 낮다__. 그러나 __에스트로젠 단독 치료법에 비해서 유방암의 위험도는 더 높다__.
     WHI 연구에서는 CEE(conjugated equine estrogens)와 medroxy- progesterone acetate (CEE + MPA) 제제를 사용하였으며, 위약군과 비교시 유방암의 크기가 좀더 크고, 국소적인 임파절 전이가 보다 빈번하였다.      WHI 연구에서는 CEE(conjugated equine estrogens)와 medroxy- progesterone acetate (CEE + MPA) 제제를 사용하였으며, 위약군과 비교시 유방암의 크기가 좀더 크고, 국소적인 임파절 전이가 보다 빈번하였다. 
 +
 +
 +^ 복용 기간            | 유방암 위험 변화 (대략적 경향)   | 근거 요약                                       
 +| **1년 이내**        | 위험 거의 없음             | WHI(여성건강이니셔티브) 연구 등에서 초기 1년 내 변화 없음         |
 +| **3~5년**         | 미미한 증가               | 일부 코호트 연구에서 경미한 위험 증가 신호                    |
 +| **5~10년**        | **유의미한 증가**          | 병용요법 시 5년 이상 복용하면 유방암 발병률 약 **1.2~1.6배 증가** |
 +| **10년 초과**       | **위험 더욱 증가**         | 장기복용자는 **2배 이상 위험 상승** 보고된 연구 있음            |
 +| **복용 중단 후 1~2년** | 위험 점차 감소 시작          | 중단 후 몇 년 내 위험이 빠르게 낮아짐                      |
 +| **중단 후 5년 이상**   | **위험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 | WHI 연구 및 후속 분석 일관된 결과                       |
 +
 ====정맥 혈전색전증==== ====정맥 혈전색전증====
     에스트로젠 혹은 에스트로젠-프로게스테론 HRT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심부정맥혈전 혹은 폐색전과 같은 정맥 혈전색전증 (VTE, venous thromboembolism) 발생 위험과 연관된다. 한 무작위 대조 연구와 역학 연구에서 약물 처방군에서 약물 비처방군과 비교하여 2-3배 더 높은 위험을 발견하였다. 약물을 처방하지 않은 경우 VTE 사례는 5년 기간 동안 50-59세1000명의 여성 환자당 약 3명이 그리고 60-69세 1000명의 여성당 8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5년간 HRT를 받은 건강한 여성들 중에서 5년 동안 VTE 추가 발생 사례 건수는 50-59세 1000명의 여성 당 2-6명(best estimate=4)일 것으로 예상하며 60-69세 1000명의 여성 당 5-15명(best estimate=9)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한 발생은 HRT 시작 첫 해에서 그 이후보다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리비알이 동일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에스트로젠 혹은 에스트로젠-프로게스테론 HRT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심부정맥혈전 혹은 폐색전과 같은 정맥 혈전색전증 (VTE, venous thromboembolism) 발생 위험과 연관된다. 한 무작위 대조 연구와 역학 연구에서 약물 처방군에서 약물 비처방군과 비교하여 2-3배 더 높은 위험을 발견하였다. 약물을 처방하지 않은 경우 VTE 사례는 5년 기간 동안 50-59세1000명의 여성 환자당 약 3명이 그리고 60-69세 1000명의 여성당 8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5년간 HRT를 받은 건강한 여성들 중에서 5년 동안 VTE 추가 발생 사례 건수는 50-59세 1000명의 여성 당 2-6명(best estimate=4)일 것으로 예상하며 60-69세 1000명의 여성 당 5-15명(best estimate=9)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한 발생은 HRT 시작 첫 해에서 그 이후보다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리비알이 동일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