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med:helicobacter_pylori [2019/04/02 06:01] – [위내시경 사진] V_Lmed:helicobacter_pylori [2019/04/02 06:02] (현재) V_L
줄 10: 줄 10:
   * 만성위염: H. pylori는 국내에서 발견되는 위염의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러나 증세나 내시경을 통한 관찰만으로는 위염을 정확히 진단할 수 없고 반드시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를 통해서 진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성위염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소화기계통의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만성위염을 치료한다고 해서 반드시 증세가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 만성위염: H. pylori는 국내에서 발견되는 위염의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러나 증세나 내시경을 통한 관찰만으로는 위염을 정확히 진단할 수 없고 반드시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를 통해서 진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성위염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소화기계통의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만성위염을 치료한다고 해서 반드시 증세가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 소화성궤양: 위궤양환자의 70-80%가 이 세균을 가지고 있으며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 이상이 이 세균을 가지고 있다. 소화성궤양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적어도 균을 없애주지 않으면 나중에 재발하기 쉽다.   * 소화성궤양: 위궤양환자의 70-80%가 이 세균을 가지고 있으며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90% 이상이 이 세균을 가지고 있다. 소화성궤양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적어도 균을 없애주지 않으면 나중에 재발하기 쉽다.
-  * 위암: H. pylori가 많은 나라에서 위암이 많은 것은 사실이고 위암환자에서 이 세균이 흔히 관찰되는 것도 사실이다. H. pylori가 위암의 위험인자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않는다.+  * [[med:stomach_cancer|위암]]: H. pylori가 많은 나라에서 위암이 많은 것은 사실이고 위암환자에서 이 세균이 흔히 관찰되는 것도 사실이다. H. pylori가 위암의 위험인자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되지 않는다.
 =====검사=====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