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med:glomerulonephritis [2013/12/23 15:46] – anon | med:glomerulonephritis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Glomerulonephritis]====== | ||
+ | |||
+ | 신사구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사구체가 손상을 받게되면 혈액으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할수 없게됨. | ||
+ | |||
+ | ===== 개요===== | ||
+ | |||
+ | 사구체란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기본 단위인 모세혈관 덩어리로 이루어진 조직을 이야기 합니다. 사구체 신염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이 사구체에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그에 따른 증상과 징후가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입니다. | ||
+ | |||
+ | ===== 임상양상===== | ||
+ | |||
+ | 사구체 신염의 증상은 개개의 질환들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혈뇨와 단백뇨, 신기능(사구체 여과율) 감소, 부종과 고혈압 등의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소변이 뿌옇게 탁하든지, | ||
+ | |||
+ | 급성 사구체신염 증후군 | ||
+ | |||
+ | 소아나 젊은 성인에서 잘 발병하며 수일에서 수주에 걸쳐 핍뇨, 혈뇨와 단백뇨, 신기능 저하, 부종 및 고혈압이 나타나는 증후군으로서, | ||
+ | |||
+ | 급속 진행형 사구체신염 | ||
+ | |||
+ | 혈뇨와 단백뇨가 나타나며 수주에서 수개월내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사구체 신염으로서 급성 사구체 신염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 이외에 혈관염, 원발성 증식성 사구체 신염, 전신 홍반성 낭창, 한냉단백혈증, | ||
+ | |||
+ | 신증후군 | ||
+ | |||
+ | 하루 3.0-3.5g 이상의 심한 단백뇨와 부종을 보이며 일차적인 원인으로는 미세변화 사구체병증, | ||
+ | |||
+ | 무증상성 요 이상 | ||
+ | |||
+ | 아무런 증상 없이 요 검사상 혈뇨 또는 경한 단백뇨가 발견되는 경우로 우리나라에서는 IgA 사구체 신염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 ||
+ | |||
+ | ===== 원인===== | ||
+ | |||
+ | 사구체 질환들은 주로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일어나며 그밖에 대사장애, | ||
+ | |||
+ | ===== 진단===== | ||
+ | |||
+ | 사구체 신염의 진단은 소변 및 혈액 검사 및 신장 조직검사로 내려집니다. 신장조직 검사는 신장내과 전문의에 의해 적응증과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급성 사구체 신염 증후군, 급속 진행성 사구체 신염 및 사구체 신염이 의심되면서 하루 1 g 이상의 단백뇨가 동반된 경우 신장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 ||
+ | |||
+ | ===== 치료===== | ||
+ | |||
+ | 사구체 신염의 치료는 대부분 면역억제제 투여를 치료의 근간으로 하는 데 원인 질환에 따라 약제의 선정, 치료기간, | ||
+ | |||
+ | 일반적으로 미세변화 신증후군과 낭창성 신염은 스테로이드와 세포독성 약제 등의 면역억제제에 대한 반응이 좋은 편이나 나머지 사구체신염들의 경우에는 면역억제제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입니다. 면역억제 요법은 약제의 부작용, 특히 감염의 위험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사용되어야 합니다. | ||
+ | |||
+ | 또한, 사구체신염들의 치료에서 공통적으로 " | ||
+ | |||
+ | 사구체 신염 시 고혈압이 동반되면 만성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빨라지므로 고혈압을 125/75 mmHg 이하로 철저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항고혈압 약제로는 위에서 언급한 앤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앤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가 일차적으로 추천됩니다. 또한 부종이 동반된 경우에는 적당한 양의 이뇨제를 사용하여 조절합니다. | ||
+ | |||
+ | ===== 합병증 및 예후===== | ||
+ | |||
+ | 사구체 신염들은 각각 그 질병 경과 및 예후가 다르므로, | ||
+ | |||
+ | 사구체 신염들의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만성적으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회복되지 않는 ' | ||
+ | |||
+ | ===== 주의사항===== | ||
+ | |||
+ | 사구체 신염의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정기적 소변 검사와 혈압 측정이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에 의하여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더디게 만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
+ | |||
+ | 진통 소염제나 항생제를 전문의의 처방 없이 복용하거나, | ||
+ | |||
+ | |||
+ | |||
+ | * [[http://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