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fetal_pyelectasis [2022/07/18 03:02] – [초음파소견] V_L | med:fetal_pyelectasis [2024/10/16 02:09] (현재) – [초음파소견] V_L | ||
|---|---|---|---|
| 줄 2: | 줄 2: | ||
| ======태아신우확장증 (Fetal Pyelectasis)====== | ======태아신우확장증 (Fetal Pyelectasis)====== | ||
| - | 임신 중 태아의 신장의 신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 + | 임신 중 태아의 신장의 신우가 부풀어오르는 증상.  | 
| - | + | ||
| 경미한 신우확장증의 경우, 다수에서 요로계 폐색과 관련이 없고 임신 기간 중 또는 출생 후에 자연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 | 경미한 신우확장증의 경우, 다수에서 요로계 폐색과 관련이 없고 임신 기간 중 또는 출생 후에 자연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 | ||
| - | 산전 초음파가 널리 이용되어 태아 신우확장증의 발견이 많아짐에 따라, 부모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저절로 좋아지는 신우확장증과 병적인 신우확장증을 조기에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중기 신우확장증을 신우의 전후경에 따라 경도 및 중등도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10mm이상을 중증 신우확장증이라 한다.  | + | 산전 초음파가 널리 이용되어 태아 신우확장증의 발견이 많아짐에 따라, 부모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저절로 좋아지는 신우확장증과 병적인 신우확장증을 조기에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중기 신우확장증을 신우의 전후경에 따라 경도 및 중등도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10mm이상을 중증 신우확장증이라 한다. | 
| - | + | ||
| - | Fetal pyelectasis can be a relatively common finding in an antenetal ultrasound scan, often detected at the routine 2nd trimester morphology scan. There is a recognised male predilection. The estimated prevalence is at ~ 2% of routine second trimeter scans | + | |
| + | |||
| =====원인===== | =====원인===== | ||
| - | + | 대부분 특별한 원인없이 생기며,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나,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 |
| - | Pyelectasis can result from a number of factors. In the majority of cases, it is physiological and resolves spontateously. However, it may also herald the presence or evolution of renal tract pathology, such as : | + | |
| * fetal PUJ obstruction | * fetal PUJ obstruction | ||
| 줄 33: | 줄 29: | ||
| {{med/ | {{med/ | ||
| + | |||
| + | {{: | ||
| **신우확장증의 기준** | **신우확장증의 기준** | ||
| 줄 48: | 줄 46: | ||
| =====위험성 ===== | =====위험성 ===== | ||
| 임신 2분기에 확인된 경증의 확장증은 | 임신 2분기에 확인된 경증의 확장증은 | ||
| - | 대 다수의 경우 (96%이상)에서 임신3분기나 출생직후에 소실된다.  | + | 대다수의 경우 (96%이상)에서 임신3분기나 출생직후에 소실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