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diverticulum [2015/04/12 15:36] – 바깥 편집 127.0.0.1 | med:diverticulum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대장게실증 ====== | ======대장게실증 ====== | ||
줄 61: | 줄 62: | ||
우측 대장에 호발하는 진성게실의 경우, 대장벽의 특정 부위가 선천적으로 약한 상태에서 대장 내압이 증가하게 되면, 이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나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대장벽이 유약한 부위는 맹장에 흔한데, 이에는 인종적, 유전적 요인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 우측 대장에 호발하는 진성게실의 경우, 대장벽의 특정 부위가 선천적으로 약한 상태에서 대장 내압이 증가하게 되면, 이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나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대장벽이 유약한 부위는 맹장에 흔한데, 이에는 인종적, 유전적 요인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 ||
- | 좌측 대장게실의 경우 식생활, 변비, 대장 내압의 증가, 장 운동의 이상 등 여러 가지 복합적 요인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음식물 중에서도 섬유질이 적은 식사(low [[Dietary Fiber]])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Dietary Fiber이 부족한 식사에 의해 상습적으로 변비가 유발되면 대장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게실증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 + | 좌측 대장게실의 경우 식생활, 변비, 대장 내압의 증가, 장 운동의 이상 등 여러 가지 복합적 요인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음식물 중에서도 섬유질이 적은 식사(low [[식이_섬유]])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Dietary Fiber이 부족한 식사에 의해 상습적으로 변비가 유발되면 대장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게실증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
좌측 대장게실증은 대장의 여러 부위 중에서 에스상 결장 및 하행결장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 좌측 대장게실증은 대장의 여러 부위 중에서 에스상 결장 및 하행결장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 ||
줄 131: | 줄 132: | ||
===== 예방법===== | ===== 예방법===== | ||
- | 고[[Dietary Fiber]]요법이 권장됩니다. | + | 고[[식이_섬유]]요법이 권장됩니다. |
하루 15~20g 정도의 섬유질을 섭취함으로써 대변의 양을 많게 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변비와 불규칙한 장 운동을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장관 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덜 도정된 곡류 등의 밀기울(bran)류가 섬유질 공급원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 하루 15~20g 정도의 섬유질을 섭취함으로써 대변의 양을 많게 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변비와 불규칙한 장 운동을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장관 내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덜 도정된 곡류 등의 밀기울(bran)류가 섬유질 공급원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 ||
줄 149: | 줄 150: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