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med:athelosclerosis [2015/04/12 15:36] – 바깥 편집 127.0.0.1 | med:athelosclerosis [2025/09/27 01:31]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172.70.163.11 | ||
---|---|---|---|
줄 1: | 줄 1: | ||
- | + | {{tag> | |
+ | {{page>: | ||
+ | ======죽상동맥경화증 (athelosclerosis) ====== | ||
- | + | 혈액은 유유히 흐르고 싶으나… | |
- | + | ||
- | + | ||
- | + | ||
- | + | ||
- | ======동맥경화 ====== | + | |
- | + | ||
+ | 혈액은 심장이 밀어내는 힘에 의지해 혈관을 따라 순환한다. 그러나, 동맥벽에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쌓이면, 동맥 내경이 좁아지는 동시에 탄력성이 떨어져서 혈액은 갈 길을 방해받는다. | ||
+ | 이와 같은 질환을 동맥경화라고 부르는데, | ||
+ | =====동맥경화의 3大 주범과 공범 ===== | ||
+ |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위험인자에는 | ||
+ | [[hypertension]], | ||
+ | * 이 중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hypertension]]. 정도가 심하지 않을지라도 여러 해 동안 지속되면, | ||
+ | * 고혈압의 좌청룡 격인 [[hyperlipidemia]]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증상. 혹자에 따라서는 고혈압 대신 고지혈증을 최대 주범으로 지목할 만큼 동맥경화 발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
+ | * [[흡연]]이 고혈압의 우백호 격으로 꼽히는 이유는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가 동맥벽을 손상시키기 때문.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는 남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3∼5배 정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 ||
- | 생활건강정보 | + | =====예방===== |
- | 동맥경화 | + | **동맥경화는 예방이 으뜸!** |
+ | 동맥경화는 뇌졸중이나 관상동맥질환으로 발전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그러므로 위험 인자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사람은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 ||
+ | 최근에는 전자선단층촬영법(EBT)이라는 기술이 도입되어 조기진단의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상태. 그러나, 설혹 운이 좋아서 조기 진단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한 번 망가진 혈관을 원상태로 돌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
- | 혈액은 유유히 흐르고 싶으나… | + | 하지만, 지나치게 실망할 필요는 없는 것이, 위험 인자들을 차단함으로써 동맥경화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방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혈액은 심장이 밀어내는 힘에 의지해 혈관을 따라 순환한다. 그러나, 동맥벽에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 +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야 |
- | 이와 같은 질환을 동맥경화라고 부르는데, | + | 하루라도 |
- | + | ||
- | 동맥경화의 3大 주범과 공범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위험인자에는 | + | |
- | + | ||
- | 고혈압, 고지혈증, | + | |
- | + | ||
- | 이 중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뭐니뭐니 해도 고혈압. 정도가 심하지 않을지라도 여러 해 동안 지속되면, | + | |
- | + | ||
- | 고혈압의 좌청룡 격인 고지혈증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증상. 혹자에 따라서는 고혈압 대신 고지혈증을 최대 주범으로 지목할 만큼 동맥경화 발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 | |
- | + | ||
- | 흡연이 고혈압의 우백호 격으로 꼽히는 이유는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가 동맥벽을 손상시키기 때문. | + | |
- | + | ||
- | 동맥경화는 예방이 으뜸! | + | |
- | + | ||
- | 동맥경화는 뇌졸중이나 관상동맥질환으로 발전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 그러므로 위험 인자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사람은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 + | |
- | + | ||
- | 최근에는 전자선단층촬영법(EBT)이라는 기술이 도입되어 조기진단의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상태. 그러나, 설혹 운이 좋아서 조기 진단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한 번 망가진 혈관을 원상태로 돌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 + | |
- | + | ||
- | 하지만, 지나치게 실망할 필요는 없는 것이, 위험 인자들을 차단함으로써 동맥경화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방까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 ||
- | 고혈압, 고지혈증, | + | |
- | + | ||
- | 하루라도 빨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g>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