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ace_inhibitor [2014/03/18 17:37] – 바깥 편집 127.0.0.1med:ace_inhibitor [2025/09/27 01:32] (현재) V_L
줄 1: 줄 1:
-======ACE 억제제 [Ace Inhibitor]======+{{tag>의학 ace inhibitor}} 
 +======ACE 억제제  ======
  
  
줄 14: 줄 15:
 =====부작용===== =====부작용=====
  
- #  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ACEI) :캡토프릴, 카프릴, 레니텍, 시바센, 모노프릴, 아서틸 등이 있으며, 기침이나 피부발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은 인히베이스이다. 부작용은 마른기침. +  -  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ACEI) :캡토프릴, 카프릴, 레니텍, 시바센, 모노프릴, 아서틸 등이 있으며, 기침이나 피부발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은 인히베이스이다. 부작용은 마른기침.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RB) : 안지오텐신 리셉터를 차단하는 약물이다. 코자,아프로벨,디오반,프리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부작용이 적습니다.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RB) : 안지오텐신 리셉터를 차단하는 약물이다. 코자,아프로벨,디오반,프리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비교적 부작용이 적습니다. 
 ====기침==== ====기침====
  ACEI에 의한 기침은 폐조직에서의 ACE 농도저하로 폐조직에 bradykinin, prostaglandin등이 축적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부분의 ACEI는 ester를 가진 prodrug 제제로 개발되었으며 그 대사체가 훨씬 더 큰 활성을 가진다.  ACEI에 의한 기침은 폐조직에서의 ACE 농도저하로 폐조직에 bradykinin, prostaglandin등이 축적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부분의 ACEI는 ester를 가진 prodrug 제제로 개발되었으며 그 대사체가 훨씬 더 큰 활성을 가진다.
줄 52: 줄 53:
 [[med:fda_pregnancy_classfication#D|FDA D]] [[med:fda_pregnancy_classfication#D|FDA D]]
  
-임신 제2 및 3기에 ACE저해제를 투여할 경우 태아 및 신생아에 저혈압, 신생아 두개형성부전, 무뇨, 고칼륨혈증, 가역성 또는 비가역성 신부전 및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태아의 신기능감소에 의한 양수과소증으로 태아사지경축, 두개안면변형, 폐발육형성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ACE저해제의 투여와의 상관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나 조숙, 자궁내 성장지연,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임신 제1기에 ACE저해제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여를 금한다. +임신 제2 및 3기에 ACE저해제를 투여할 경우 태아 및 신생아에 저혈압, 신생아 두개형성부전, 무뇨, 고칼륨혈증, 가역성 또는 비가역성 신부전 및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태아의 신기능감소에 의한 [[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으로 태아사지경축, 두개안면변형, 폐발육형성부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ACE저해제의 투여와의 상관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나 조숙, 자궁내 성장지연,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임신 제1기에 ACE저해제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투여를 금한다. 
  
 ===논란=== ===논란===
  
- 고혈압치료제의 한 계열인 ACE억제제를 임신 중 복용할 경우, 중반 이후 뿐 아니라 초기에 복용해도 기형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NEJM 2006 에는 2만 9000여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임신초기에 이 약을 복용한 209명의 산모중 7%가 기형아를 출산했다. 하지만 다른 계열의 고혈압약을 먹었거나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는 2%에 불과했다.기형은 대부분 심장과 뇌, 폐에 관한 것들이었다. ACE억제제를 임신 첫 3개월이내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산모의 아이보다 기형발생 위험이 3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고혈압치료제의 한 계열인 ACE억제제를 임신 중 복용할 경우, 중반 이후 뿐 아니라 초기에 복용해도 기형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NEJM 2006 에는 2만 9000여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임신초기에 이 약을 복용한 209명의 산모중 7%가 기형아를 출산했다. 하지만 다른 계열의 고혈압약을 먹었거나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는 2%에 불과했다.기형은 대부분 심장과 뇌, 폐에 관한 것들이었다. ACE억제제를 임신 첫 3개월이내 복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산모의 아이보다 기형발생 위험이 3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 AHRQ 2011 연구 보고에 의하면, 이들 연구진이 카이저 퍼마넨테 북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13년간 출산한 46만5000명의 신생아를 조사한 결과 위에 언급한 ACE 차단 고혈압 치료약물 사용과 기형아 발생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했다.  AHRQ의 새로운 연구 보고에서 ACE 차단 고혈압 치료제 사용과 기형아 출산과는 관계가 없다고 의학 학술지(BMJ, Oct. 18, 2011)에 발표 되었다. +
  
-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25|ACE억제제기에도 기형]]+AHRQ 2011 연구 보고에 의하면이들 연구진이 카이저 퍼마넨테 북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13년간 출산한 46만5000명의 생아를 조사한 결과 위에 언급한 ACE 차단 고혈압 치료약물 사용과 형아 발생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확인했다.  AHRQ의 새로운 연구 보고서 ACE 차단 고혈압 치료제 사용과 기형아 출산과는 관계가 없다고 의학 학술지(BMJ, Oct. 18, 2011)에 표 되었다. 
  
 +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25|ACE억제제, 임신초기에도 기형유발]]
   * [[http://search.medscape.com/reference-search?newSearch=1&queryText=ace inhibitor|Medscape: Ace Inhibitor]]   * [[http://search.medscape.com/reference-search?newSearch=1&queryText=ace inhibitor|Medscape: Ace Inhibitor]]
  
-{{tag>의학 ace inhib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