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6/02/02 00:40] – V_L | 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9/12/26 02:14] (현재) – V_L | ||
---|---|---|---|
줄 1: | 줄 1: | ||
+ | {{tag> | ||
{{page>: | {{page>: | ||
줄 9: | 줄 10: | ||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 ||
- | |||
- | 2016.1.28일 기준 최근 2개월 내 환자 발생국가는 25개국 | ||
* 중남미-가이아나, | * 중남미-가이아나, | ||
줄 17: | 줄 16: | ||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
- |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및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travelinfo.cdc.go.kr) 게시 | + |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병원체 및 감염경로==== | ====병원체 및 감염경로==== | ||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
줄 34: | 줄 33: | ||
====주요 증상 및 합병증==== | ====주요 증상 및 합병증==== | ||
+ | 감염된 지 2~7일, 최대 2주 이내에 37.5도 이상의 열이 나면서 관절통, 근육통, 두통, 눈 충혈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 ||
+ | |||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 ||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
줄 68: | 줄 69: | ||
====진단==== | ====진단==== | ||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
- | -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 | - 국내에서는 |
- | + | ||
+ | |||
+ |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장이 메르스 및 지카바이러스 검사실로 인정한 병원이라면 바로 환자 검체 채취,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인증받지 않은 곳이라면 환자 검체를 채취해 질병관리본부장이 인정한 수탁검사센터에 검사를 의뢰, 진단할 수 있다. | ||
+ | |||
+ | |||
+ | 검사 비용은 비급여로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다만, 임신부가 바이러스 위험에 노출됐다면 지카 검사는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치료==== | ====치료==== | ||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 ||
줄 151: | 줄 163: | ||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 ||
- | 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 + | 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 ||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 ||
- | 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다. | + | 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음. |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 ||
줄 321: | 줄 333: | ||
* [[http:// | * [[http:// | ||
* [[http:// | * [[http:// | ||
+ | * [[http:// | ||
- | {{ta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