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6/02/02 00:38] – [살충제] V_L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9/12/26 02:14] (현재) V_L
줄 1: 줄 1:
 +{{tag>지카바이러스 감염증}}
  
 {{page>:틀#의학}} {{page>:틀#의학}}
줄 9: 줄 10: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동남아, 태평양 섬지역에 발생보고가 2015년의 경우 5월 브라질에서 첫 보고된 이후 점차 유행지역이 확산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동남아, 태평양 섬지역에 발생보고가 2015년의 경우 5월 브라질에서 첫 보고된 이후 점차 유행지역이 확산
- 
-2016.1.28일 기준 최근 2개월 내 환자 발생국가는 25개국 
  
   * 중남미-가이아나, 과들루프,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마르티니크, 멕시코,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세인트마틴섬, 수리남,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22개국)   * 중남미-가이아나, 과들루프,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마르티니크, 멕시코,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세인트마틴섬, 수리남,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22개국)
줄 17: 줄 16: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및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travelinfo.cdc.go.kr) 게시+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D0020&icdgrpCd=04&icdSubgrpCd=|www.cdc.go.kr]]) 및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 travelinfo.cdc.go.kr) 게시
 ====병원체 및 감염경로==== ====병원체 및 감염경로====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 
-{{:med:aedes_mosquito.jpg|}}+
  
  
줄 32: 줄 30:
    
  
-{{:med:zika_.png|}} +{{:med:zika_.png|}} 
-{{:med:zika_virus_infection.jpg|}}+
  
 ====주요 증상 및 합병증==== ====주요 증상 및 합병증====
 +감염된 지 2~7일, 최대 2주 이내에 37.5도 이상의 열이 나면서 관절통, 근육통, 두통, 눈 충혈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일주일 정도 가볍게 앓다가 잘 쉬면 낫는다.  
 +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줄 70: 줄 69:
 ====진단==== ====진단====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 
 +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장이 메르스 및 지카바이러스 검사실로 인정한 병원이라면 바로 환자 검체 채취,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인증받지 않은 곳이라면 환자 검체를 채취해 질병관리본부장이 인정한 수탁검사센터에 검사를 의뢰, 진단할 수 있다. 
 + 
 + 
 +검사 비용은 비급여로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다만, 임신부가 바이러스 위험에 노출됐다면 지카 검사는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 
 + 
 + 
 + 
 ====치료==== ====치료====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줄 125: 줄 135:
 ==== 의심환자 발생시 조사 및 관리==== ==== 의심환자 발생시 조사 및 관리====
  ===신고 및 보고방법===  ===신고 및 보고방법===
-    - 의료기관 신고+  - 의료기관 신고
       의심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법정감염병 신고 서식을 작성한 뒤 지체없이  관할지역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보고 등의 방법으로 신고       의심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법정감염병 신고 서식을 작성한 뒤 지체없이  관할지역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보고 등의 방법으로 신고
      * 기타 법정감염병 신고 양식 및 방법과 동일      * 기타 법정감염병 신고 양식 및 방법과 동일
       임상증상과 역학적 특성이 유사한 뎅기열, 치쿤구니야열도 의심될 경우 기타 항목란에 기술 필요       임상증상과 역학적 특성이 유사한 뎅기열, 치쿤구니야열도 의심될 경우 기타 항목란에 기술 필요
-    * 발생국가를 다녀왔다는 것만으로 진단검사할 필요성은 없음. 의심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검사 진행 필요 +     * 발생국가를 다녀왔다는 것만으로 진단검사할 필요성은 없음. 의심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검사 진행 필요 
-    - 보건소 보고+  - 보건소 보고
       의심환자 신고를 접수받은 보건소는 관련사항을 지체없이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에 동시 보고       의심환자 신고를 접수받은 보건소는 관련사항을 지체없이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에 동시 보고
  ===검사 의뢰===  ===검사 의뢰===
     - 혈청 채취 후 국립보건연구원 신경계바이러스(043-719-8493)에 검체의뢰서(붙임 1)와 함께 의뢰     - 혈청 채취 후 국립보건연구원 신경계바이러스(043-719-8493)에 검체의뢰서(붙임 1)와 함께 의뢰
-     * 병원 자체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체 이송하는 체계가 마련된 경우 바로 이송하며, 이송체계가 없는 경우 보건소에 환자를 신고하면서 검체 의뢰 +       * 병원 자체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체 이송하는 체계가 마련된 경우 바로 이송하며, 이송체계가 없는 경우 보건소에 환자를 신고하면서 검체 의뢰 
  ===환자 역학조사===  ===환자 역학조사===
     - 보건소는 역학조사서(붙임 2)를 활용하여 역학조사 실시하고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 상황실(043-719-7790, [email protected])에 동시 보고     - 보건소는 역학조사서(붙임 2)를 활용하여 역학조사 실시하고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 상황실(043-719-7790, [email protected])에 동시 보고
줄 153: 줄 163: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다. 다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은 경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은 있지만 드물다고 보고 있다.+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다. 다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은 경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은 있지만 드물다.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줄 323: 줄 333:
   * [[http://ecdc.europa.eu/en/healthtopics/zika_virus_infection/|유럽 질병통제센터 ECDC]]   * [[http://ecdc.europa.eu/en/healthtopics/zika_virus_infection/|유럽 질병통제센터 ECDC]]
   * [[http://www.paho.org/hq/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11585&Itemid=41688&lang=en|미주보건기구 PAHO ]]   * [[http://www.paho.org/hq/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11585&Itemid=41688&lang=en|미주보건기구 PAHO ]]
 +  * [[http://www.cdc.go.kr/CDC/cms/content/12/67012_view.html|질병관리본부]]
    
  
  
-{{tag>지카바이러스 감염증}}+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페이지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145437352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