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6/02/02 00:14] V_Lmed:지카바이러스_감염증 [2019/12/26 02:14] (현재) V_L
줄 1: 줄 1:
 +{{tag>지카바이러스 감염증}}
  
 {{page>:틀#의학}} {{page>:틀#의학}}
줄 9: 줄 10: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국내) 국내 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보고 없음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동남아, 태평양 섬지역에 발생보고가 2015년의 경우 5월 브라질에서 첫 보고된 이후 점차 유행지역이 확산   - (해외) 2015년 이전까지는 아프리카, 동남아, 태평양 섬지역에 발생보고가 2015년의 경우 5월 브라질에서 첫 보고된 이후 점차 유행지역이 확산
- 
-2016.1.28일 기준 최근 2개월 내 환자 발생국가는 25개국 
  
   * 중남미-가이아나, 과들루프,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마르티니크, 멕시코,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세인트마틴섬, 수리남,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22개국)   * 중남미-가이아나, 과들루프,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마르티니크, 멕시코,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세인트마틴섬, 수리남,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22개국)
줄 17: 줄 16: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아프리카-카보베르데
  
-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cdc.go.kr) 및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travelinfo.cdc.go.kr) 게시+   * 최신 발생국가 현황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D0020&icdgrpCd=04&icdSubgrpCd=|www.cdc.go.kr]]) 및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 travelinfo.cdc.go.kr) 게시
 ====병원체 및 감염경로==== ====병원체 및 감염경로====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병원체)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 
 +
  
-<지카바이러스 이미지. 출처 CDC> 
   -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   - 감염된 숲모기에 물려 감염
      *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가 주된 매개체 이나 국내 서식(전국분포)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잠재적으로 전파 가능하다고 알려짐      *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가 주된 매개체 이나 국내 서식(전국분포)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잠재적으로 전파 가능하다고 알려짐
줄 29: 줄 29:
   - (잠복기) 2~14일   - (잠복기) 2~14일
    
 +
 +{{:med:zika_.png|}} 
 +
 ====주요 증상 및 합병증==== ====주요 증상 및 합병증====
 +감염된 지 2~7일, 최대 2주 이내에 37.5도 이상의 열이 나면서 관절통, 근육통, 두통, 눈 충혈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일주일 정도 가볍게 앓다가 잘 쉬면 낫는다.  
 +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줄 42: 줄 47:
   *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   *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
 ===살충제=== ===살충제===
-  * 주로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성분1)이 함유된 스프레이 제품을 준비+  * 주로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성분((Pyrethrin : 살충효과를 지닌 6개 성분을 포함한 살충제제로 chrysanthemum (국화과의 꽃)에서 추출하여 제조, 주로 해충의 신경계통의 마비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살충효과를 나타냄. \\ Pyrethroid : pyrethrin의 화학구조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합성한 살충제제로, pyrethrin과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냄(이 계열에 속하는 살충제들로 allethrin stereoisomer, bifenthrin, beta-cyfluthrin, cyfluthrin, cypermethrin, cyphenothrin, deltamethrin, esfenvalerate, fenpropathrin, tau-fluvalinate, lambda-cyhalothrin, gamma cyhalothrin, imiprothrin, 1RS cis-Permethrin, Permethrin, Prallethrin, Resmethrin, Sumithrin, Tefluthrin, Tetramethrin, Tralomethrin, and Zeta-cypermethrin 등이 있음) \\미국 환경부 살충제 관련 사이트 : http://www.epa.gov/oppsrrd1/reevaluation/pyrethroids-pyrethrins.html 참조)) 이 함유된 스프레이 제품을 준비
   * 숙소 내에 모기가 침입하였을 경우 사용하며 모기를 향하여 직접 분사   * 숙소 내에 모기가 침입하였을 경우 사용하며 모기를 향하여 직접 분사
   * 모기가 눈에 잘 띄지 않을 경우 주로 어둡고 구석진 곳을 향하여 분사   * 모기가 눈에 잘 띄지 않을 경우 주로 어둡고 구석진 곳을 향하여 분사
줄 55: 줄 60:
   * 방충망에 살충제(퍼머스린(permethrin), 델타메스린(deltamethrin) 등)를 처리할 경우 효과적   * 방충망에 살충제(퍼머스린(permethrin), 델타메스린(deltamethrin) 등)를 처리할 경우 효과적
   * 창문에 방충망이 있더라도 문을 여닫을 때 모기가 따라 들어오므로 침입한 모기는 에어로졸 살충제를 분무하여 모기를 없애는 것이 필요   * 창문에 방충망이 있더라도 문을 여닫을 때 모기가 따라 들어오므로 침입한 모기는 에어로졸 살충제를 분무하여 모기를 없애는 것이 필요
-  * 모기향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와 목질의 연소물질을 약간의 점착물을 섞어 코일로 만든 훈연제로, 원칙적으로 밀폐가 잘 된 공간일수록 살충력을 최대로 발휘하나 장기간 사용시 사람에게 흡입 가능하므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으며, 특히 6세 미만 영유아에게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2)+  * 모기향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와 목질의 연소물질을 약간의 점착물을 섞어 코일로 만든 훈연제로, 원칙적으로 밀폐가 잘 된 공간일수록 살충력을 최대로 발휘하나 장기간 사용시 사람에게 흡입 가능하므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으며, 특히** 6세 미만 영유아**에게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
 === 모기 기피와 관련된 오해와 진실=== === 모기 기피와 관련된 오해와 진실===
   * 모기향은 개방된 장소에서 피우는 경우에는 살충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WHO에서도 미권고   * 모기향은 개방된 장소에서 피우는 경우에는 살충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WHO에서도 미권고
줄 64: 줄 69:
 ====진단==== ====진단====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혈청에서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
-  -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 
 + 
 +검사는 질병관리본부장이 메르스 및 지카바이러스 검사실로 인정한 병원이라면 바로 환자 검체 채취,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인증받지 않은 곳이라면 환자 검체를 채취해 질병관리본부장이 인정한 수탁검사센터에 검사를 의뢰, 진단할 수 있다. 
 + 
 + 
 +검사 비용은 비급여로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다만, 임신부가 바이러스 위험에 노출됐다면 지카 검사는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 
 + 
 + 
 + 
 ====치료==== ====치료====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줄 71: 줄 87:
     * 뎅기열의 경우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 치료시 출혈 부작용 동반 가능     * 뎅기열의 경우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 치료시 출혈 부작용 동반 가능
  
- 예방법 및 권고사항 +==== 예방법 및 권고사항==== 
-====일반적 예방법====+===일반적 예방법===
   - 예방접종 또는 치료약은 없음   - 예방접종 또는 치료약은 없음
   -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모기 기피제, 방충망, 모기장을 사용하고, 긴 소매, 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하고, 모기 활동기간 중에는 모기 유충 서식이 가능한 물 웅덩이 제거 필요   -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모기 기피제, 방충망, 모기장을 사용하고, 긴 소매, 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하고, 모기 활동기간 중에는 모기 유충 서식이 가능한 물 웅덩이 제거 필요
    
-====일반적 권고사항====+===일반적 권고사항===
   - 일반 대상자   - 일반 대상자
     *  최근 2개월 이내 환자 발생국가를 방문할 경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  최근 2개월 이내 환자 발생국가를 방문할 경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 준수
줄 86: 줄 102:
     *  (귀국 후) 여행전 상담받은 의료기관에서 주기적으로 산전진찰 받고 2주 이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진료     *  (귀국 후) 여행전 상담받은 의료기관에서 주기적으로 산전진찰 받고 2주 이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 진료
    
-====성접촉에 의한 감염 위험성 및 권고사항====+===성접촉에 의한 감염 위험성 및 권고사항===
   - 지카바이러스는 성접촉(성관계)으로 전파 가능하나 위험도는 매우 낮음   - 지카바이러스는 성접촉(성관계)으로 전파 가능하나 위험도는 매우 낮음
      * 영국 보건부는 남성의 경우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에서 돌아온 후 무증상이더라도 28일간 콘돔을 사용하고, 감염증상이 있거나 확진받은 경우 완치 후 6개월간 콘돔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영국 보건부는 남성의 경우 지카바이러스 유행지역에서 돌아온 후 무증상이더라도 28일간 콘돔을 사용하고, 감염증상이 있거나 확진받은 경우 완치 후 6개월간 콘돔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성접촉에 의한 전파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권고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      * 성접촉에 의한 전파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권고 내용이 달라질 수 있음
-====수혈에 의한 감염 위험성 및 권고사항====+===수혈에 의한 감염 위험성 및 권고사항===
   -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발생국가 여행력이 있는 경우 귀국 후 1달간 헌혈 금기   - 발생국가 여행력이 있는 경우 귀국 후 1달간 헌혈 금기
줄 119: 줄 135:
 ==== 의심환자 발생시 조사 및 관리==== ==== 의심환자 발생시 조사 및 관리====
  ===신고 및 보고방법===  ===신고 및 보고방법===
-    - 의료기관 신고+  - 의료기관 신고
       의심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법정감염병 신고 서식을 작성한 뒤 지체없이  관할지역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보고 등의 방법으로 신고       의심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법정감염병 신고 서식을 작성한 뒤 지체없이  관할지역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보고 등의 방법으로 신고
      * 기타 법정감염병 신고 양식 및 방법과 동일      * 기타 법정감염병 신고 양식 및 방법과 동일
       임상증상과 역학적 특성이 유사한 뎅기열, 치쿤구니야열도 의심될 경우 기타 항목란에 기술 필요       임상증상과 역학적 특성이 유사한 뎅기열, 치쿤구니야열도 의심될 경우 기타 항목란에 기술 필요
-    * 발생국가를 다녀왔다는 것만으로 진단검사할 필요성은 없음. 의심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검사 진행 필요 +     * 발생국가를 다녀왔다는 것만으로 진단검사할 필요성은 없음. 의심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 검사 진행 필요 
-    - 보건소 보고+  - 보건소 보고
       의심환자 신고를 접수받은 보건소는 관련사항을 지체없이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에 동시 보고       의심환자 신고를 접수받은 보건소는 관련사항을 지체없이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에 동시 보고
  ===검사 의뢰===  ===검사 의뢰===
     - 혈청 채취 후 국립보건연구원 신경계바이러스(043-719-8493)에 검체의뢰서(붙임 1)와 함께 의뢰     - 혈청 채취 후 국립보건연구원 신경계바이러스(043-719-8493)에 검체의뢰서(붙임 1)와 함께 의뢰
-     * 병원 자체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체 이송하는 체계가 마련된 경우 바로 이송하며, 이송체계가 없는 경우 보건소에 환자를 신고하면서 검체 의뢰 +       * 병원 자체적으로 국립보건연구원에 검체 이송하는 체계가 마련된 경우 바로 이송하며, 이송체계가 없는 경우 보건소에 환자를 신고하면서 검체 의뢰 
  ===환자 역학조사===  ===환자 역학조사===
     - 보건소는 역학조사서(붙임 2)를 활용하여 역학조사 실시하고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 상황실(043-719-7790, [email protected])에 동시 보고     - 보건소는 역학조사서(붙임 2)를 활용하여 역학조사 실시하고 시‧도 및 질병관리본부 상황실(043-719-7790, [email protected])에 동시 보고
줄 147: 줄 163: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Q) 모기에 안 물려도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다는데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다. 다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은 경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은 있지만 드물다고 보고 있다.+A) 지카바이러스는 감염된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파되며 사람간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다. 다만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은 경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가능성은 있지만 드물다.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 국내에서는 해외여행을 한 경우 1달간 헌혈을 금지하고 있어 수혈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Q) 지카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사람 간에 전파되나요?
    
-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A) 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공기를 통해서는 전혀 전파되지 않.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Q) 성접촉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줄 207: 줄 223:
 A) 지카바이러스를 치료약과 예방접종은 현재 없다. 다른 많은 바이러스 질환처럼 별도의 치료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아마도 곧 개발될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기존의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질병과 마찬가지로,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로 대부분 회복되고,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열제, 진통제 등의 처방을 받으면서 치료받으시면 된다. A) 지카바이러스를 치료약과 예방접종은 현재 없다. 다른 많은 바이러스 질환처럼 별도의 치료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아마도 곧 개발될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기존의 치료제나 백신이 없는 질병과 마찬가지로, 충분한 휴식과 수분섭취로 대부분 회복되고,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해열제, 진통제 등의 처방을 받으면서 치료받으시면 된다.
  
-=====의료인을 위한 지카바이러스 & 임신부 & 소두증 관련 정보=====+=====의료인을 위한  정보=====
 ※ ’16.1.22일 기준 미국 질병관리본부 잠정적 가이드라인이며 일부 내용은 국내 상황과 다를 수 있음 ※ ’16.1.22일 기준 미국 질병관리본부 잠정적 가이드라인이며 일부 내용은 국내 상황과 다를 수 있음
  
줄 241: 줄 257:
 → 소두증은 신생아의 머리크기가 같은 연령(혹은 제태연령)과 같은 성별의 다른 신생아에 비해 작을 때 진단함. 보편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나, 소두증은 대개 머리둘레 (occipitofrontal circumference)가 평균에서 2 표준표차(SD, standard deviation)를 뺀 수치보다 더 작을 때로 정의하거나, 일반적인 성장차트를 기반으로 볼 때, **3 percentile** 보다 더 적을 때를 말함. (Fenton, Olsen, CDC, or WHO growth curves 참고) → 소두증은 신생아의 머리크기가 같은 연령(혹은 제태연령)과 같은 성별의 다른 신생아에 비해 작을 때 진단함. 보편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나, 소두증은 대개 머리둘레 (occipitofrontal circumference)가 평균에서 2 표준표차(SD, standard deviation)를 뺀 수치보다 더 작을 때로 정의하거나, 일반적인 성장차트를 기반으로 볼 때, **3 percentile** 보다 더 적을 때를 말함. (Fenton, Olsen, CDC, or WHO growth curves 참고)
    
 +
 +{{:med:children-born-with-microcephaly.jpg|}}
 +
 5. 무엇이 소두증의 가능한 후유증인가요? 5. 무엇이 소두증의 가능한 후유증인가요?
    
줄 308: 줄 327:
 자료원 : CDC Q&A for pediatric Healthcare Providers : Infants and Zika virus infection. 자료원 : CDC Q&A for pediatric Healthcare Providers : Infants and Zika virus infection.
    
-=====관련 주요 사=====+=====이 보기=====
    
-세계보건기구 WHO  http://www.who.int/topics/zika/en/+  * [[http://www.who.int/topics/zika/en/ |세계보건기구 WHO]] 
 +  * [[http://www.cdc.gov/zika/|미국 질병통제센터 CDC]] 
 +  * [[http://ecdc.europa.eu/en/healthtopics/zika_virus_infection/|유럽 질병통제센터 ECDC]] 
 +  * [[http://www.paho.org/hq/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11585&Itemid=41688&lang=en|미주보건기구 PAHO ]] 
 +  * [[http://www.cdc.go.kr/CDC/cms/content/12/67012_view.html|질병관리본부]]
    
-미국 질병통제센터 CDC http://www.cdc.gov/zika/ 
-  
-유럽 질병통제센터 ECDC http://ecdc.europa.eu/en/healthtopics/zika_virus_infection/ 
-  
-미주보건기구 PAHO http://www.paho.org/hq/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11585&Itemid=41688&lang=en 
-  
-1) Pyrethrin : 살충효과를 지닌 6개 성분을 포함한 살충제제로 chrysanthemum (국화과의 꽃)에서 추출하여 제조, 주로 해충의 신경계통의 마비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살충효과를 나타냄 
-Pyrethroid : pyrethrin의 화학구조를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합성한 살충제제로, pyrethrin과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냄(이 계열에 속하는 살충제들로 allethrin stereoisomer, bifenthrin, beta-cyfluthrin, cyfluthrin, cypermethrin, cyphenothrin, deltamethrin, esfenvalerate, fenpropathrin, tau-fluvalinate, lambda-cyhalothrin, gamma cyhalothrin, imiprothrin, 1RS cis-Permethrin, Permethrin, Prallethrin, Resmethrin, Sumithrin, Tefluthrin, Tetramethrin, Tralomethrin, and Zeta-cypermethrin 등이 있음) 
-미국 환경부 살충제 관련 사이트 : http://www.epa.gov/oppsrrd1/reevaluation/pyrethroids-pyrethrins.html 참조 
-2) 식품의약품안전처. 13.6.24 설명자료. KBS ‘살충제 유해물질 벌레 잡으려다 사람 잡는다?’ 보도 관련 
  
-{{tag>지카바이러스 감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