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임신_칼슘 [2022/05/23 09:05] – V_L | med:임신_칼슘 [2022/05/23 09:24] (현재) – V_L | ||
|---|---|---|---|
| 줄 2: | 줄 2: | ||
| {{page>: | {{page>: | ||
| ====== 임신 시 칼슘 복용 ====== | ====== 임신 시 칼슘 복용 ====== | ||
| - | 한국 임산부의 칼슘 권장 섭취량은 1일 700mg으로 임신 전 여성과 같다. ( 미국은 1000mg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recommends that pregnant and breastfeeding moms aged 19 and over consume 1,000mg of calcium each day. )) ) | + | 한국 임산부의 칼슘 권장 섭취량은 1일 700mg으로 임신 전 여성과 같다. ( 미국은 1000mg((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recommends that pregnant and breastfeeding moms aged 19 and over consume 1,000mg of calcium each day.)) ) |
| + | |||
| + | [[https:// | ||
| > 임신 시 추가 칼슘 권장량 : 우유 200ml = 치즈 2장 = 두부 1모 = 뱅어포 1장 = 잔멸치 1컵 | > 임신 시 추가 칼슘 권장량 : 우유 200ml = 치즈 2장 = 두부 1모 = 뱅어포 1장 = 잔멸치 1컵 | ||
| 줄 10: | 줄 13: | ||
| 비타민D를 같이 섭취해주는 것도 좋다. 비타민D는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는 비타민이다. 임신 시기에는 햇빛을 받는 기회가 적어짐에 따라 비타민D 섭취가 필요하며 태아로의 비타민D 이동은 태아와 출생 후 신생아의 성장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 비타민D를 같이 섭취해주는 것도 좋다. 비타민D는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돕는 비타민이다. 임신 시기에는 햇빛을 받는 기회가 적어짐에 따라 비타민D 섭취가 필요하며 태아로의 비타민D 이동은 태아와 출생 후 신생아의 성장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 ||
| - | |||
| - | > | ||
| {{http:// | {{http:// | ||
| - | 일반적인 식생활을 | + | =====충분하다!?===== |
| + | 일반적인 식생활을 하는 한국인의 경우 임신 이라고 해서 추가적으로 칼슘을 더 복용해야하는 지는 논란이 있다. | ||
| 그냥 임산부용 종합비타민제에 들어있는 칼슘 용량으로도 충분하다. | 그냥 임산부용 종합비타민제에 들어있는 칼슘 용량으로도 충분하다. | ||
| 줄 22: | 줄 24: | ||
| =====섭취방법===== | =====섭취방법===== | ||
| - | - 규칙적인 식사와 함께 하루 우유 | + | - 규칙적인 식사와 함께 하루 우유 |
| - | - 칼슘강화두유, | + | - 칼슘강화두유, |
| - | - 칼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 D를 섭취하거나 햇빛을 쬔다. | + | - 칼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 D를 섭취하거나 햇빛을 쬔다. |
| - 도정이 덜 된 곡류, 차에 들어 있는 탄닌을 칼슘 함유 음식과 함께 먹지 않는다. | - 도정이 덜 된 곡류, 차에 들어 있는 탄닌을 칼슘 함유 음식과 함께 먹지 않는다. | ||
| 줄 41: | 줄 43: | ||
| * 74 mg: 청경채 (Bok choy), 한컵 | * 74 mg: 청경채 (Bok choy), 한컵 | ||
| * 55 mg: 시금치 100g | * 55 mg: 시금치 100g | ||
| + | * 100mg: 닥터맘스2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