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리브레_위키 [2016/12/30 09:52] – [다양한 문서의 특색] utolee90리브레_위키 [2019/11/21 04:46] (현재) V_L
줄 1: 줄 1:
 {{tag>위키}} {{tag>위키}}
 ====== 리브레 위키 ====== ====== 리브레 위키 ======
-{{INLINETOC}}+ 
  
  
줄 14: 줄 14:
  
 ===== 특징 ===== ===== 특징 =====
- * 문단 출처 : [[https://namu.wiki/w/리브레%20위키|리브레 위키 문서]] +  * 문단 출처 : [[https://namu.wiki/w/리브레%20위키|리브레 위키 문서]] 
-==== [[미디어위키]] 기반 ==== +====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 ==== 
- [[모니위키]] 기반인 리그베다 위키와 다르게 [[미디어위키]] 기반이다. 모니위키는 대규모 위키에는 뚜렷한 한계를 보이는 단점이 있으며, 보안상 허점도 드러났기 때문에[* 다만 처음부터 그런건 아니고, 후술될 서버가 자주 터져서 보안 이슈 전까진 모니위키를 사용자는 의견도 적지 않게 나왔었다.] 선택서 제외되었. 넘어간 유저들이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으나, 미디어위키의 편의성은 익숙지기만 한다면 오려 모니위키보다 나을 수 있다. +  * 모니위키 엔진을 채택한 [[리그베다 위키]]는 달리 [[위키백과]] 등 해외의 주류 위키들이 사용하는 [[미디어위키]] 엔진을 사용했다. 더구나 오리위키 등 리그베다 위키 문서를 포크한 위키들과는 달리 모니위키 호환 기능조차 지원하지 않다. 미디어위키 기반이기에 기존에 리그베다 위키나 나무위키 출신의 유저들이 적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지만 한편로는 위키백과 등 미디어위키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서 상당히 질 좋은 틀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  위키 개설 극초기에는 [[:위키미디어 공용]] 연동을 지원했으나 개설된 해인 2015년 여름 후에 서버 불안정을 이유로 연동기능을 중단다. 그러나 2018년 12월 16일부터 위키미디어 공용 연동기능을 재개했다. (( [[https://bbs.librewiki.net/index.php?_filter=search&mid=wiki&search_keyword=%EA%B3%B5%EC%9A%A9&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199649|참조]] ))  
- 서버 불안정을 이유로 [[:위키미디어 공용]] 연동이 중단다. +  * 브레위키는 한때 미디어위키 엔진 자체의 무거운 한계 때문에 LibertyEngine라는 자체 엔진을 개발하고 다. 다만 미디어위키 상태가 개선되면서 엔진 교체일정은 미정한때 테스트사이트까지 열었으나 2019년 현재는 문을 닫은 
- +
- * 다만 미디어위키의 무겁다는 특징 때문에 나무위키처럼 자체 엔진으로 교체하는 '''리브레 엔진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중이다. 2015년 12월 26일에 [[https://librewiki.net/wiki/%EB%A6%AC%EB%B8%8C%EB%A0%88_%EC%9C%84%ED%82%A4:LibertyEngine|리버티 엔진]]으로 을 바꾸고 최근 진척을 올렸다. 이 즈음 기본 스킨을 변경하면서[* 기존 스킨도 원한면 사용은 가능하다.] 리브레 위키의 징색이 녹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었다파란색은 리브레 위키의 공식 마트 중 하인 리디버그의 색이기도 하다.+
  
 ==== 저작권 ==== ==== 저작권 ====
- * [[:리그베다 위키]]가 몰락한 주요 원인이 [[:저작권]]이었던 만큼, 리브레 위키는 저작권에 대해 리그베다 위키보다는 민감하다. 하지만 [[:서브컬처]]를 주로 다루는 만큼 [[:위키백과]] 수준으로 철저히 지키진 않는다. 위키백과 수준으로 저작권을 철저히 지킨다면 서브컬처 관련 문서는 정말로 휑할 것이다. 한때 이미지에 위키백과 수준의 저작권 준수를 하자는 주장을 한 유저가 규정충으로 몰려 사과문을 작성했다. +  * [[:리그베다 위키]]가 몰락한 주요 원인이 [[:저작권]]이었던 만큼, 리브레 위키는 저작권에 대해 리그베다 위키보다는 민감하다. 하지만 [[:서브컬처]]를 주로 다루는 만큼 [[:위키백과]] 수준으로 철저히 지키진 않는다. 위키백과 수준으로 저작권을 철저히 지킨다면 서브컬처 관련 문서는 정말로 휑할 것이다. 한때 이미지에 위키백과 수준의 저작권 준수를 하자는 주장을 한 유저가 규정충으로 몰려 사과문을 작성했다. 
- +  CC-BY-'''NC'''-SA 기반의 나무위키, 리그베다 위키, 오픈위키 등과는 다르게 CC BY-SA 3.0을 적용중이라 [[위키백과]]나 [[위키아]](팬덤) 기반 위키들의 콘텐츠를 퍼오는 데 문제가 없다. 이 점을 이용서 위키백과의 틀을 가져거나 부 내용을 포크서 작성한 문서들도 이 보인다.  
- * 나무위키, 리그베다 위키는 다르게 '''CC BY-SA 3.0을 적용중'''이라 [[위키백과]]의 콘텐츠를 퍼오는 데 문제가 없다. 나무위키의 라선스는 페지 맨 아래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 조건 변경 허락(CC BY-NC-SA) 2.0 일반'''을 사하고 있지만, 리브레 위키는 저작자 표시-동일 조건 변경 허락(CC BY-SA) 3.0을 쓰고 있어서 나무위키와 리브레 위키의 컨텐츠는 상호 호환될 수 없다. 미디어위키에 생소한 유저들이 [[]] 생성과 같은 기술적 어려움을 위키백과에서 퍼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출처만 명시한다면 정당한 이용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은 없다. 참고로 작성자 본인이 직접 쓴 내용이라면 동한 내용을 리브레와 나무 양측에 동시에 게재해도 상관없다. 단, 이 경우 동일한 저작물에 대해 하나는 CC BY-NC-SA가, 다른 하나는 CC BY-SA가 적용된다. +
 ==== 비영리 ==== ==== 비영리 ====
 라이선스에는 NC가 없지만 리브레 위키는 [[:약관]]에 [[:비영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서버 운영비 충당을 위해 광고를 달아야 할 경우엔 수입과 지출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라이선스에는 NC가 없지만 리브레 위키는 [[:약관]]에 [[:비영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서버 운영비 충당을 위해 광고를 달아야 할 경우엔 수입과 지출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줄 51: 줄 47:
 2015년 7월 첫 정기선거가 진행되었고, 각 보직에서 2명씩 선출되어 정식 운영진 시대가 시작되었다. (관리자 1명 연임) 2015년 7월 첫 정기선거가 진행되었고, 각 보직에서 2명씩 선출되어 정식 운영진 시대가 시작되었다. (관리자 1명 연임)
  
-===== 다양한 문서의 특색 =====+==== 다양한 문서의 특색 ====
 아직 전반적으로 고유의 특성이 굳어지지 않아서 리브레위키의 문서는 위백스러운 스타일도 있고, 나무위키처럼 드립이 난무하는 문서도 있으며, 리브레 고유의 특징인 존대하는 문서도 있다. 혹은 러브라이브 관련 문서처럼 디시위키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아직 전반적으로 고유의 특성이 굳어지지 않아서 리브레위키의 문서는 위백스러운 스타일도 있고, 나무위키처럼 드립이 난무하는 문서도 있으며, 리브레 고유의 특징인 존대하는 문서도 있다. 혹은 러브라이브 관련 문서처럼 디시위키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줄 57: 줄 53:
  
  
-==== 외부링크 ====+===== 외부링크 =====
 [[https://librewiki.net|리브레 위키]] [[https://librewiki.net|리브레 위키]]
 [[https://namu.wiki/w/리브레%20위키|나무위키:리브레 위키]] [[https://namu.wiki/w/리브레%20위키|나무위키:리브레 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