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금강경 [2016/03/19 00:30] – 바깥 편집 127.0.0.1금강경 [2018/02/22 12:0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금강경}}
 ======금강경====== ======금강경======
  
-[[include(틀:종교)]] +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金剛般若波羅蜜經
 +
 [[베트남어]]: Kim cương bát-nhã-ba-la-mật-đa kinh [[베트남어]]: Kim cương bát-nhã-ba-la-mật-đa kinh
 [[산스크리트어]]: वज्रच्छेदिकाप्रज्ञापारमितासूत्र(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산스크리트어]]: वज्रच्छेदिकाप्रज्ञापारमितासूत्र(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줄 12: 줄 14:
  
  
-=====개요===== 
 [[불교]]의 경전. [[반야심경]]과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대승 불교]] 경전들 가운데 하나로, 반야부의 기본 사상을 함축하고 있다.  [[불교]]의 경전. [[반야심경]]과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대승 불교]] 경전들 가운데 하나로, 반야부의 기본 사상을 함축하고 있다. 
  
줄 56: 줄 57:
  
 [[반야심경]]처럼 금강경에도 경 끝에 [[산스크리트어]] 주문이 존재한다. 경을 다 읽은 뒤 읽는 이 주문은 [[팔만대장경]]에도 나와 있지만,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밑은 조계종 표준 진언([[한국어]] 독음-한자)과 산스크리트어 원문, 한국어 해석(( 비전공자가 어미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 사전을 보고 임의로 해석했기 때문에 다소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산스크리트어 전문가의 적극적인 [[수정바람]].)). [[반야심경]]처럼 금강경에도 경 끝에 [[산스크리트어]] 주문이 존재한다. 경을 다 읽은 뒤 읽는 이 주문은 [[팔만대장경]]에도 나와 있지만,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밑은 조계종 표준 진언([[한국어]] 독음-한자)과 산스크리트어 원문, 한국어 해석(( 비전공자가 어미변화 등을 고려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 사전을 보고 임의로 해석했기 때문에 다소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산스크리트어 전문가의 적극적인 [[수정바람]].)).
-  * 나모바가발제 발라양 바라미다예 - 那謨婆伽跋帝 鉢喇壤 波羅弭多曳 - namo bhagavatīprajñāpāramitāyai - 세존 반야바라밀에 귀의합니다.  +  * 나모바가발제 발라양 바라미다예 - 那謨婆伽跋帝 鉢喇壤 波羅弭多曳 - namo bhagavatīprajñāpāramitāyai - 세존 반야바라밀에 귀의합니다.  옴 이리지 이실리 수로다 비사야 비사야 사바하 - 唵 伊利底 伊室利 輸盧駄 毗舍耶 毗舍耶 莎婆訶 - oṃ īriti īṣiri śruta viṣaya viṣaya svāhā - 옴, 지움, 불태움, 지나감, 물질, 물질, 스와하(( 스와하는 인도 전통에서 그리스도교의 "아멘" 처럼 사용되는 말이다.))
-   옴 이리지 이실리 수로다 비사야 비사야 사바하 - 唵 伊利底 伊室利 輸盧駄 毗舍耶 毗舍耶 莎婆訶 - oṃ īriti īṣiri śruta viṣaya viṣaya svāhā - 옴, 지움, 불태움, 지나감, 물질, 물질, 스와하(( 스와하는 인도 전통에서 그리스도교의 "아멘" 처럼 사용되는 말이다.))+
  
  
줄 96: 줄 96:
  
 [[정도전]]이 성리학적 입장에서 불교를 비판하기 위해 저술한 책 '[[불씨잡변]]'도 금강경을 많이 인용하며 비판하고 있다. -  [[정도전]]이 성리학적 입장에서 불교를 비판하기 위해 저술한 책 '[[불씨잡변]]'도 금강경을 많이 인용하며 비판하고 있다. - 
-=====기타===== 
-둔황 석굴에서 발견된 금강경 판본은 868년에 간행됐으며, 내용 전체가 온전히 살아남아 있는 [[인쇄]]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라고 한다.  
  
-익산 왕궁리에서 발견된 유물들 중 고려시대 은제도금 금강경 판본(국보 제123-1호)이 전주 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금강경 마지막 사구게는 전국시대의 무장 [[오우치 요시타카]]의 [[사세구]]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뒷부분인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만 읊은 뒤 [[할복]]했다. 
- 
-한국의 [[정치깡패]]인 [[임화수]]도 죽기 직전 금강경 몇 줄을 읊은 뒤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 
-박정희 前대통령을 저격한 [[김재규]]는 독실한 불교도였는데, 그는 수감 중 옥중 수양록 갈피에 금강경의 한 구절인 '응무소주 이생기심'을 흰색 종이에 적어 끼워놓았다. 
- 
-한국 영화계 희대의 망작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을 감독한 [[장선우]] 씨는 영화가 망하고 나서도 **제작비 100억 보시한 셈 치자, 그래도 금강경은 세상에 알리지 않았냐** 라는 개드립을 날리기도 했다. 
- 
-[[의천도룡기]]에서 은근히 자주 언급되는 경전이기도 하다. 도액이 사손에게 금강경을 들려주어 깨달음을 얻게 하거나, 사손이 심마에 빠져든 [[장무기]]의 정신을 차리게 하기 위해 금강경을 읊어주기도 하는 등. 
- 
-[[하얀거탑]]에서는 은퇴한 [[이주완]]의 선배가 [[성경]]이나 금강경 등을 배껴써 보는 것을 권하는 장면이 있다. 이주완은 그 조언을 듣고 성경을 배껴쓴다. 
- 
-라이트 노벨 [[강각의 레기오스]]에 등장하는 [[리버스 리지나스 에르멘]]의 주특기 이름도 **금강경**인데, 여기에 나오는 경은 목벨 경(剄)자를 쓰기 때문에 별 관련은 없다 
-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G]]의 퀘스트 중 '몽환포영'이라는 이름의, 키린 2마리를 결전장에서 때려잡아야 하는 퀘스트가 있다. 도망칠 곳이 없기에 난전이 강요되는 고난도의 퀘스트. 
- 
-[[금강불괴]]와는 당연하지만 별 관련 없다. 
- 
-[[분류:불경]] 
   * 출처: 나무위키- 금강경([[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0/kr/|CC BY-NC-SA 2.0 KR]])   * 출처: 나무위키- 금강경([[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0/kr/|CC BY-NC-SA 2.0 KR]])
  
-{{tag>금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