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별_사진 [2014/08/18 18:05] V_L별_사진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별 사진 방법 우주 은하수}}
 ====== 별 사진 ====== ====== 별 사진 ======
  
 입문 안내 - 별 사진 찍는 방법도 입문 안내 - 별 사진 찍는 방법도
- 
  
 대기가 청명한 겨울철에는 밤하늘의 별 사진을 찍기 좋은 때이다, 대기가 청명한 겨울철에는 밤하늘의 별 사진을 찍기 좋은 때이다,
줄 10: 줄 10:
 별의 궤적을 찍는 것과 별 자리 성단을 찍는 방법이 있다. 별의 궤적을 찍는 것과 별 자리 성단을 찍는 방법이 있다.
 어느 것이나 본인의 취향에 따르는 문제이죠. 어느 것이나 본인의 취향에 따르는 문제이죠.
- 
  
  
 두 가지 촬영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바람이 없고 맑은 날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두 가지 촬영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바람이 없고 맑은 날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삼각대가 상당히 튼실한 것이어야 한다. 삼각대가 상당히 튼실한 것이어야 한다.
- 
  
  
 눈 내린 다음 겨울 밤은 별 사진 찍기 좋은 날이다. 눈 내린 다음 겨울 밤은 별 사진 찍기 좋은 날이다.
 단, 외진 곳에서 혼자 촬영하면 재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동반자를 대동하기 바란다. 단, 외진 곳에서 혼자 촬영하면 재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동반자를 대동하기 바란다.
- 
  
 궤적으로 밤 하늘을 표현하느냐,  성단의 신비한 빛을 잡아서 표현하느냐는 오로지 사진가 자신에게 달려 있다. 궤적으로 밤 하늘을 표현하느냐,  성단의 신비한 빛을 잡아서 표현하느냐는 오로지 사진가 자신에게 달려 있다.
  
-한국의 [[http://blog.kwonochul.com/notice/382|권오철]]이란 작가분이 유명한데, 그분의 [[http://blog.kwonochul.com/notice/382|홈페이지]]에 가면 성단 사진 촬영 요령과 사진, 그리고 장비들이 소개되어 있다.+한국의 권오철이란 작가분이 유명한데, 그분의 [[http://blog.kwonochul.com/notice/382|홈페이지]]에 가면 성단 사진 촬영 요령과 사진, 그리고 장비들이 소개되어 있다.
  
 +http://photo4love.com/ext/astro/astro.htm
  
 +=====장소=====
  
 +===주변빛이 적은 곳===
 +주변빛이 적은 곳으로 갈 것.
 +은하수가 있는 방향으로 서울 도심한복판에서 열심히 찍어보아도 은하수는 나오지 않는다.
 +탁 트인 전망이라는 금상첨화.
  
 +결국 장비를 들고 도시 근교의 산꼭대기로 가는 경우가 많다.
 +
 +===달빛===
 +무월광이나 되도록이면 초승달에 근접할 날에 촬영을 갈 것.
 +깜깜한 밤하늘에서 보름달을 보면 엄청나게 밝다..
 +스마트폰을 쓰는 유저라면 달의 위상(무료버전)을 설치하면 원하는 일자에 달이 어떤 상태인지 체크할수 있다..
 +
 +===구름의 양===
 +구름량을 확인한다.
 +기상청 날씨정보에 들어가보면 지역별 실시간 날씨정보에서 운량을 확인할 수 있고, 위성사진으로 구름을 볼 수도 있다.
 +구름이 자욱한 날은 당연하지만 은하수를 볼 수 없다.
 +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currentweather.jsp?type=t9|실시간 운량정보 기상청 링크]]
 +
 +===기온===
 +
 +대체로 가을부터 겨울은 날씨와 공기가 맑아서 천체촬영에 적합한 날씨가 되는 날이 많지만, 이러한 날씨조건은 추운날씨로 인하여 특히 디지탈 카메라(digital camera)의 경우 배터리(battery)의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 영하의 추운날씨는 촬영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부담이 된다.
 +
 +=====장비=====
 +
 +천체사진의 첫걸음은, 삼각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향해 셔터를 누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고정상태가 성패를 좌우하게 되어 '고정촬영'이라고 한다.
 +촬영자체는 매우 간단하느로 고정촬영은 처음으로 천체사진에 도전하는 분에게 권장한다. 또 사진 촬영의 전문가라 할지라도 지상의 풍경과 별을 잘 조화시킨 천체사진은 멋진 테마사진이 된다.
 +
 +천체사진 촬영을 위해 준비하는 것
 +
 +===DIGITAL 카메라===
 +
 +천체촬영의 경우 ISO설정은 400이 기준이며 30초 이상의 장시간 노출의 경우는 셔터(shutter) 속도를 벌버(Bulb)촬영 모드로 설정한다.
 +
 +===렌즈===
 +넓은 화각을 가지는 광각렌즈와 표준렌즈
 +
 +고정 촬영으로 쓰기 쉬운 렌즈는 촛점거리가 35mm (35mm 판환산 56mm의 렌즈(lens)에 상당)이하의 광각렌즈나 표준렌즈이다.
 +가능하면 F수치가 밝고 게다가 개방조리개 부근에서도 성능이 좋은 단초점 렌즈(lens)가 바람직한 렌즈이다.
 +
 +===렌즈후드===
 +(lens hood)
 +
 +잡광이나 밤이슬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렌즈(lens)에 장착하도록 합시다.
 +
 +===릴리즈===
 +
 +손으로 셔터를 조작하면 미세한 흔들림을이 생길 수 있다. 흔들림은 결과물에 블러현상을 가지고 온다.
 +따라서 유선 릴리즈를 사용하여 촬영을 할 것을 권한다.
 +(캐논에서는 유선리모트 스위치(remote switch)와 타이머(timer) 리모트 컨트롤의 판매하고 있다.)
 +
 +===삼각대===
 +
 +천체촬영에 있어 삼각대는 필수이다. 다소 무겁더라도 튼튼한 것을 사용하는 편이 유리한다.
 +가벼운 삼각대는 야외에서 촬영할 때 바람에 흔들리기 쉬울뿐더러 특히 구도를 맞추는데 힘이 듭니다.
 +
 +===손전등===
 +
 +굳이 촬영뿐만 아니라 야간에 야외활동에는 필수적인 물건이다.
 +야간에 카메라를 세팅하거나 조작하거나 하는데도 필요하게 된다.
 +가능하다면 이동과 뒷처리등 을 위하여 밝은 손전등과 단순히 촬영중에 카메라 조작이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약한 성능의 손전등 2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
 +===핫팩===
 +있으면 좋다.
 +
 +밤이슬을 방지하기 위해서 렌즈(lens)에 카이로(Cairo) 핫팩을 부착한다. 일회용 카이로는 편리하지만 기온이 낮을 경우에는 금방 차가워져서 자주 교체를 하여야 한다.
 +카이로 핫팩은 등산용품점에서 흔하게 판매하고 있으면 보통 1만원 내외면 10개 팩을 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재사용이 가능한 카이로 핫팩도 판매를 하고 있으므로 전체사진을 자주 촬영하는 사진인에게 유용하다.
 +
 + ===성좌조견반===
 +
 +천체촬영에 있어서 성좌의 출현을 알 수 있어 편리하고, 특히 사전에 촬영계획을 세울 때 유용하다.
  
  
줄 80: 줄 151:
 출처 [[http://chulsa.kr/lecture2/20707639|雨野/韓玄雨]] 출처 [[http://chulsa.kr/lecture2/20707639|雨野/韓玄雨]]
  
-{{tag>별 사진 방법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