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tag>xpenology nas}} ====== XPEnology ====== {{INLINETOC}} [[NAS]]의 대표주자는 역시 [[tech:synology|시놀로지]]이다. {{https://www.synology.com/img/logo/logo_black.svg}} https://www.synology.com/ko-kr/ 자체 OS의 성능과 편의성이 뛰어나다. 그래서 해킹OS까지 나왔다. 정품 시놀로지 사용에 대해서는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nas_selector|이곳]]으로... **XPEnology**는 DSM(시놀로지OS)의 공개된 소스를 변형하고 각종 PC용 드라이버를 추가한 것으로, 자체 부트로더를 이용해서 DSM을 PC에 올릴 수 있도록 해준다. 발음은 //X-penology; 엑스-페놀로지//라고 하는 듯함. >업무용이나 본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정품NAS를 구매할 것. 라이센스(저작권)에 때문에 기업에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XPEnology의 이용은 여러분의 자신의 판단으로 결정하는 것임. * [[http://xpenology.org/|누리집]] * [[http://xpenology.me/|블로그]] * [[http://xpenology.me/downloads/|받기]] *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download/DS3615xs|시놀로지 어시스턴스 받기]] * [[http://xpenology.com/forum/viewforum.php?f=12|게시판(한글)]] * [[http://global.download.synology.com/download/Document/UserGuide/DSM/5.0/Syno_UsersGuide_NAServer_krn.pdf|시놀로지 DSM 설명서.PDF]] =====사양===== * 적절히 빠른 **64bit** CPU * **32비트**CPU 지원은 DSM 5.0 - 4493 (update-5) 까지가 마지막임. * 트랜스코딩 스트리밍 (실시간 영상변환) 시에는 씨퓨빨을 많이 타는 편이다. * 램은 512MB만 되어도 돌아간다. 2GB 정도 있으면 좋음 * 적절한 용량의 HDD. NAS용 HDD를 권장. 3TB가 10만원 내외이니 추천. 4500RPM 짜리도 괜찮음. https://download.xpenology.xyz/ =====설치===== 선요약: [[http://xpenology.me/downloads|부팅IMG]] 를 usb에 넣고 부팅. 원격컴퓨터에서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download/DS3615xs|시놀로지 어시스턴트]]로 [[http://xpenology.me/downloads|pat파일]]을 올리고 접속. Jun’s Mod 1.02b로 현재 6.1.7 까지 가능하다.[[https://redmilk.co.kr/archives/2798|참고]] * 6.0.2나 6.1 ~ 6.1.7모두 방법은 같으나 부트로더만 다릅니다 * 6.1과 6.1.1 ~ 6.1.7은 부트로더는 같고 설치파일만 다릅니다. ====받기==== 부팅용 USB이미지와 DSM이미지를 받는다. [[http://xpenology.me/downloads/|링크]]를 통해 다운받기. - 부팅USB용 이미지 - XPEnoboot_DS3615xs_5.2-5644.5.img - NAS OS 이미지(DSM) - XPEnology_DS3615xs_5.2-5644.5.pat (DSM 이미지) ====부팅USB만들기==== boot 이미지를 USB에 옮기고 부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래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됨. [[http://xpenology.me/how-to-update-boot-loader/|참조]] ===맥=== 별도 프로그램 없이 터미널에서 가능하다. $ diskutil list $ diskutil unmountdisk disk2 Unmount of all volumes on disk2 was successful $ sudo dd if=XPEnoboot_DS3615xs_5.2-5644.5.img of=/dev/disk2 25165824 bytes transferred in 12.259831 secs (2052706 bytes/sec) ===윈도=== [[tech:win32diskimager|]]이용. ====DSM설치==== - 위 에서 만든 USB Boot 메모리로 부팅한다. (IP는 DHCP로 자동으로 받음) - 같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서 시놀로지 홈페이지에서 Synology Assistant 를 다운받아 설치 후 실행 - 처음 다운 받은 DSM 5.2 이미지 **수동** 설치. ====접속==== 설치 후에는 어시스턴트가 필요없다. NAS IP주소로 접속하면 됨. (NAS IP 주소는 Synology Assistant에서 확인 가능) 기본 포트 번호는 5000번임 예 http://nas.ip:5000 http://192.168.0.10:5000 * 아이디 : admin * 비번 : 설치 시 설정한 비번 (잊어버리면 새로 설치해야 함) 설치하다가 암호 설정 전에 꺼졌거나 접속이 중단 되었다면 admin 암호는 안 넣고 접속. 공유기에서 5000번 포트를 열고 연결시켜 놓으면 외부접속도 가능하다. =====버추얼박스에 설치===== 이미 서버가 있다면 [[Virtualbox|버추얼박스]]를 이용해서 돌리면 된다. - [[Virtualbox]]설치 및 설정 - [[phpVirtualbox]] 설치 및 설정 - 박스에 리눅스 64비트로 가상머신을 만든다 - 시디롬을 하나 추가하고 xpenoboot.iso를 넣는다. - 가변 VMDK가상디스크를 적절한 용량으로 추가한다.((VDI디스크로 했더니 포맷에러 나더라)) - 네트워크에서 **브릿지**로 설정 - 시작! - 주소:5000으로 접속. 주소를 모르면 시놀로지 어시스턴트로 시작. - pat 올리면서 설정한다. =====ESXI 설치===== 설치순서 1. ESXI 6.7 받아서 USB에 굽기(rufus이용) 2. USB로 부팅해서 ESXI 설치 3. Serial/Mac 제네레이터 이용해 Serial/Mac 생성 (여기 게시판에서 PowerShell용 받았어요) 4. Jun's Loader 최신버전(918+용 인듯) 받아서 OSFMount프로그램으로 Serial/MAC 세팅 5. V2V 프로그램으로 ESXI 서버용 vmdk로 변환 6. ESXI 웹콘솔 접근해서 VM생성하고, Mac 세팅 (2core/1.5GB/SATA, 물리디스크2대 RDM으로 연결) 7. 시놀공홈ftp에서 6.2.xx최신버전 pat 파일 받아서 DSM 설치 8. 접속하니 물리디스크2대 무슨경고(버전불일치인듯)떠서 복구 누르니 바로 정상화 9. RDM 디스크중 한개를 btrfs로 포맷 10. 하이퍼 백업으로 주요 파일들 백업설정 =====복구===== DSM 3.0이후는 [[tech:ext#ext4|EXT4]]를 기본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므로 리눅스가 설치된 환경에서 복구할 수 있다. [[https://www.synology.com/ko-kr/knowledgebase/DSM/tutorial/Storage/How_can_I_recover_data_from_my_DiskStation_using_a_PC|PC를 사용하여 DiskStation의 데이터를 복구하기]] 참조 =====정보확인===== 설정에 나오는 CPU 정보는 패키지의 파일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그대로 불러오는 것이고 실제 정보가 아니다 ssh로 접속한 뒤 cat /proc/cpuinfo 를 해보면 실제 정보를 볼 수 있다. <file> box> cat /proc/cpuinfo processor : 0 vendor_id : GenuineIntel cpu family : 6 model : 60 model name : Intel(R) Xeon(R) CPU E3-1231 v3 @ 3.40GHz stepping : 3 cpu MHz : 3399.388 cache size : 8192 KB fpu : yes fpu_exception : yes cpuid level : 13 wp : yes flags :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mmx fxsr sse sse2 syscall nx rdtscp lm constant_tsc rep_good nopl xtopology nonstop_tsc pni pclmulqdq monitor ssse3 cx16 sse4_1 sse4_2 x2apic movbe popcnt aes xsave avx rdrand lahf_lm abm bogomips : 6798.77 clflush size : 64 cache_alignment : 64 address sizes : 39 bits physical, 48 bits virtual power management: </file> =====커뮤니티 패키지===== 패키지 관리자에서 http://packages.synocommunity.com 를 추가하고 검색해보면 된다. [[nano]], [[midnight commander]] ((제어판 > 사용자 > 고급 >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를 해야 home폴더가 생성되며, 이후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등을 설치할 수 있다. * 스텝 1 - NAS에 관리자로 로그인하고 메인 메뉴→패키지 센터→설정으로 가서 신뢰 수준을 ''SynologyInc. 및 신뢰할 수 있는 게시자''로 설정합니다. * 스텝 2 - 패키지 원본 탭에서 추가를 누르고 이름으로 SynoCommunity와 http://packages.synocommunity.com 을 위치로 입력한 다음 확인을 눌러 확인하십시오. * 스텝 3 - 패키지 센터로 돌아가 커뮤니티 탭에서 SynoCommunity의 패키지를 즐기십시오. =====판본===== ===DSM 6=== 시놀로지 DSM 6.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https://www.synology.com/ko-kr/dsm/6.0|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tech:letsencrypt|]] 지원함. Jun’s Mod 1.02b로 현재 6.1.7 까지 가능하다.[[https://redmilk.co.kr/archives/2798|참고]] https://www.synology.com/ko-kr/dsm/6.2 ===DSM 5=== {{dsm50.jpg?300}} 최신 시놀로지NAS는 64bit CPU가 달려서 나오기 때문에 **32비트** 환경에서는 DSM 5.0 - 4493 (update-5) 까지가 마지막이다. ===DSM 3=== {{dsm30.jpg?300}} ===DSM 2=== {{dsm20.jpg?300}} ===DSM 1=== {{dsm10.jpg?300}} =====같이 보기===== * [[http://xpenology.com/forum/viewtopic.php?f=12&t=7942|가상컴퓨터로 실행하기]] * [[http://xpenology.com/forum/viewtopic.php?f=12&t=802|WOL 설정 (LAN으로 서버 켜기)]] * [[http://xpenology.com/forum/viewforum.php?f=12|한국어 포럼]] * [[http://blog.djjproject.com/130|우분투 서버에 버추얼박스로 설치]] * [[https://www.synology.com/ko-kr/knowledgebase/DSM/tutorial/General/What_network_ports_are_used_by_Synology_services|DSM에서 사용하는 포트]] * [[Freenas]] * [[nas4free]] * [[OpenMediaVault]] * [[xpenology ipkg install]] *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cm_nas&wr_id=5655|dlm]]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FreeNAS
NAS
PhpVirtualbox
홈서버 (Home server)
시놀로지(Synology)
Virtualbox
Xpenology Driver
Xpenology Tool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기술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start-up_stopped
semen_analysis
[정액검사결과 정상치]
페러데이_저가_투어
[페러데이 저가 투어]
php
[safe mode 를 사용하라]
complex_regional_pain_syndrome
dj_java_decompiler
[자바 디컴파일러 (Dj Java Decompiler)]
std02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preca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nobason6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herpes_simplex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임신_중_음부포진_감염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외음부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genital_herpes
연성하감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섹스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예방_치료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