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tech:textwrangler [2013/12/03 13:59] – [장점] anon | tech:textwrangler [2016/07/12 00:56]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 |||
+ | ======TextWrangler====== | ||
+ | |||
+ | TextWrangler 는 윈도우의 [[tech: | ||
+ | |||
+ | TextWrangler 는 BBEdit 의 Lite 버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차이점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 | |||
+ | http:// | ||
+ | |||
+ | [[http:// | ||
+ | |||
+ | 디폴트로 검은 바탕에 흰 글씨가 되어 있는데 View > Theme > Eiffel 로 변경하면 흰바탕에 검은 글씨를 쓸 수 있다. View > Theme > iPlastic 을 쓰면 반투명한 바탕을 쓸 수 있다. | ||
+ | |||
+ | 윈도우에서 작성된 한글 파일을 읽을 때는 Open 할 때 | ||
+ | 인코딩을 Korean (Windows, DOS)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 ||
+ | |||
+ | 그리고 TextWrangler 에서는 틀린 encoding 으로 열었을 때 | ||
+ | 다른 인코딩으로 다시 여는 기능도 제공해준다. | ||
+ | |||
+ | File > Reopen Using Encoding | ||
+ | |||
+ | 메뉴가 그것이다. | ||
+ | |||
+ | |||
+ | ====장점==== | ||
+ | * 여러가지 한글 인코딩 지원(UTF-8, | ||
+ | * 좀더 똑똑한 SYNTAX HIGHLIGHT지원 (키워드 하이라이트가 보기 좋다) | ||
+ | * FTP, sFTP 가 내장되어 있다 | ||
+ | * 좀더 다양한 에디트(replace, | ||
+ | * 트랜스밋과 똑똑한 궁합(물론 트랜스밋이 지원하는거지만서도~~) | ||
+ | * 가격이 저렴(공짜임, | ||
+ | ====단점==== | ||
+ | * 한글 인코딩시 컨버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Smultron은 지원했음 | ||
+ | * Preperence설정이 복잡하다. | ||
+ | |||
+ | ====Requirements==== | ||
+ | |||
+ | * Mac OS X 10.6.8 or later (10.7.5, 10.8.5, 10.9 or later recommended) | ||
+ | * Intel Macs only | ||
+ | |||
+ | |||
+ | ^ 누구나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http://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