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tech:ssh_bruteforce_attack [2019/05/22 23:55] – V_L | tech:ssh_bruteforce_attack [2019/05/22 23:56] (현재) – [Ssh Bruteforce Attack] V_L | ||
---|---|---|---|
줄 39: | 줄 39: | ||
- /etc/passwd 파일에 사용되지 않는 계정 앞에 comment 처리를 하고, | - /etc/passwd 파일에 사용되지 않는 계정 앞에 comment 처리를 하고, | ||
- 사용되는 계정의 패스워드는 ssh bruteforce attack에 사용되는 **[[https:// | - 사용되는 계정의 패스워드는 ssh bruteforce attack에 사용되는 **[[https:// | ||
+ | - [[fail2ban]]과 같은 도구 이용 | ||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자동화된 공격툴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화된 공격툴은 HDSI, MSSQL WEB SHELL, NBSI 등을 비롯한 툴들이 있다. 이 툴들의 공통점은 자동화된 웹해킹을 실행하고, |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자동화된 공격툴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동화된 공격툴은 HDSI, MSSQL WEB SHELL, NBSI 등을 비롯한 툴들이 있다. 이 툴들의 공통점은 자동화된 웹해킹을 실행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