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sendmail [2014/07/09 01:18] – [호스트네임 문제] V_L | tech:sendmail [2021/11/17 04:55] (현재) – [참조] 115.93.88.195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Sendmail====== | ======Sendmail====== | ||
| - | |||
| =====개념정리===== | =====개념정리===== | ||
| 줄 9: | 줄 9: | ||
| * IMAP (internet mail protocol) : 메일을 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 IMAP (internet mail protocol) : 메일을 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 ||
| - | 위의 것들은 프로그램이 아니다.(헷갈리지 말것) | + | 위의 것들은 프로그램이 아니다.(헷갈리지 말것) |
| 여러분들에게 익숙한 TCP/IP와 같이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이다. | 여러분들에게 익숙한 TCP/IP와 같이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이다. | ||
| - | | + | |
| ====프로그램==== | ====프로그램==== | ||
| * MUA (Mail user agent) : 메일을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예) outlook .... | * MUA (Mail user agent) : 메일을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예) outlook .... | ||
| * MTA (Mail transfer agent) : 메일을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달해 주는 프로그램. (ex. sendmail) | * MTA (Mail transfer agent) : 메일을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달해 주는 프로그램. (ex. sendmail) | ||
| - | A가 (MUA)를 사용해서 B에게 메일을 보내면 | + | A가 (MUA)를 사용해서 B에게 메일을 보내면 |
| - | MTA(sendmail)가 SMTP를 이용하여 B가 사용하는 메일 서버에 전달 된다. | + | MTA(sendmail)가 SMTP를 이용하여 B가 사용하는 메일 서버에 전달 된다. |
| B는 POP3를 이용하여 메일서버에 존재하는 메일을 로컬로 가지고 가서 확인한다. | B는 POP3를 이용하여 메일서버에 존재하는 메일을 로컬로 가지고 가서 확인한다. | ||
| 줄 26: | 줄 26: | ||
| =====Sendmail===== | =====Sendmail===== | ||
| - | Postfix 를 요즘 많이 쓴다고 하는데, 걍 편한 sendmail 을 설치해줬다. | + | [[Postfix]] 를 요즘 많이 쓴다고 하는데, 걍 편한 sendmail 을 설치해줬다. |
| 설치... | 설치... | ||
| 줄 38: | 줄 38: | ||
| - | + |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게 sendmail.mc 를 바꾸어 준다. | |
| - |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게 sendmail.mc 를 바꾸어 준다. | + | |
| ''/ | ''/ | ||
| - | DAEMON_OPTIONS(`Family=inet, | + | DAEMON_OPTIONS(`Family=inet, |
| - | 인 부분을 | + | 인 부분을 |
| DAEMON_OPTIONS(`Family=inet, | DAEMON_OPTIONS(`Family=inet, | ||
| 줄 79: | 줄 78: | ||
| ====콘솔로 메일 쓰기==== | ====콘솔로 메일 쓰기==== | ||
| - | mail user1 | + | mail user1 // |
| - | 이렇게 하면 동일 서버의 user1 에게 편지를 쓰는 것이다. | + | mail [email protected] |
| < | < | ||
| - | Subject: test < | + | Subject: test < |
| - | hi user1 < | + | hi user1 < |
| - | . < | + | . < |
| - | Cc: < | + | Cc: < |
| </ | </ | ||
| - | |||
| '' | '' | ||
| + | ====콘솔로 메일 읽기==== | ||
| + | |||
| ====외부메일 받기==== | ====외부메일 받기==== | ||
| - | 도메인의 MX 레코드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고, 포트 25번 (smtp)가 열려 있어야 한다. [[dnsever]]에서 MX 설정란에 서버도메인명을 넣도록 한다. ip주소는 안된다. | + | 도메인의 MX 레코드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고, 포트 25번 (smtp)가 열려 있어야 한다. [[dnsever]]에서 MX 설정란에 서버도메인명을 넣도록 한다. ip주소는 안된다. |
| =====기타===== | =====기타===== | ||
| - | 메일이 오면 ''/ | + | 메일이 오면 ''/ |
| - | 콘솔로 로긴하여 '' | + | 콘솔로 로긴하여 '' |
| - | 메일을 읽고 나면 읽은 메일은 각 계정의 홈폴더에 '' | + | 메일을 읽고 나면 읽은 메일은 각 계정의 홈폴더에 '' |
| 공유기를 사용중이고 외부메일을 받으려면 포트를 열어줘야 한다. 25 (smtp), 110 (pop3) 을 필요에 따라 열어준다. | 공유기를 사용중이고 외부메일을 받으려면 포트를 열어줘야 한다. 25 (smtp), 110 (pop3) 을 필요에 따라 열어준다. | ||
| - | |||
| ====이메일 포워딩==== | ====이메일 포워딩==== | ||
| 줄 113: | 줄 111: | ||
| / | / | ||
| - | 파일을 보면 | + | 파일을 보면 |
| < | < | ||
| 줄 133: | 줄 131: | ||
| </ | </ | ||
| - | |||
| 설정된 도메인의 해당 | 설정된 도메인의 해당 | ||
| - | 이름으로 오는 메일을 다른 곳으로 전달하게 된다. | + | 이름으로 오는 메일을 다른 곳으로 전달하게 된다. |
| - | 수정 후 '' | + | 수정 후 '' |
| 즉 '' | 즉 '' | ||
| - | 목표계정이 꼭 내부계정일 필요는 없으며, | + | 목표계정이 꼭 내부계정일 필요는 없으며, |
| root: | root: | ||
| 이런식으로 외부메일로 해도 된다. | 이런식으로 외부메일로 해도 된다. | ||
| 줄 164: | 줄 161: | ||
| Jan 23 04:03:08 svc-web sendmail[13139]: | Jan 23 04:03:08 svc-web sendmail[13139]: | ||
| - | 이 경우 다음과 같이 | + | 이 경우 다음과 같이 |
| /etc/hosts 파일의 full domain 을 설정하면 된다. | /etc/hosts 파일의 full domain 을 설정하면 된다. | ||
| 줄 177: | 줄 174: | ||
| 재시작하면된다. '' | 재시작하면된다. '' | ||
| - | | + | |
| =====참조===== | =====참조===== | ||
| 줄 183: | 줄 180: | ||
| * [[https:// | * [[https:// | ||
| - | + | ||
| - | + | ||
| - | ^ 누구나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http:// | + | |
| - | + | ||
| - | {{tag>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