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tech:nmap [2012/10/03 04:56] – 새로 만듦 14.32.18.124 | tech:nmap [2019/04/06 17:16] (현재) – V_L | ||
---|---|---|---|
줄 1: | 줄 1: | ||
+ | {{tag> | ||
+ | ====== nmap : 사용법====== | ||
+ | 형식 | ||
+ | nmap [스캔유형] [옵션] <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 | ||
+ | |||
+ | 1.주요 스캔 유형 | ||
+ | |||
+ | < | ||
+ | -sT : TCP 연결을 사용한 포트를 스캔 한다. | ||
+ | -sS : TCP 헤더의 SYN 비트를 이용한 스텔스포트 스캔 기법에 사용한다 루트 권한으로 실행되야됨 | ||
+ | -sF : FIN을 이용한 스텔스 기법에 이용한다 | ||
+ | -sP : ping을 이용한 스캔으로 ping명령을 사용하여 해당 호스트가 살아 있는지 만 확인한다 | ||
+ | -sU : UDP포트를 스캔한다 루트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 ||
+ | -b : ftp바운스 공격을 위한 포트스캔이다 | ||
+ | </ | ||
+ | |||
+ | 2.주요 옵션 설명(옵션은 여러개를 결합해서 사용한다) | ||
+ | |||
+ | < | ||
+ | -f :패킷을 조그마하게 나누어서(fragment)사용한다 | ||
+ | -PT :TCP ping을 사용하여 호스트가 살아 있는지 확인한다 | ||
+ | -PT21 : | ||
+ | -PI : | ||
+ | -D :스캔을 당하는 호스트가 어디에서 진짜 스캔을 했는지 판단하기 힘들게 만드는 옵션으로 | ||
+ | | ||
+ | | ||
+ | -p n1-n2: | ||
+ | | ||
+ | | ||
+ | -O : | ||
+ | -F :빠른 스캔 기법을 사용하라는 의미로 / | ||
+ | |||
+ | -n :DNS 이름 풀기를하지 않는다 | ||
+ | -o< | ||
+ | -i< | ||
+ | -g< | ||
+ | -S< | ||
+ | -e< | ||
+ | -V :이 옵션은 verbose모드로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수있다. | ||
+ | -h :도움말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