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mongodb [2018/11/28 11:12] – V_L | tech:mongodb [2020/04/23 14:04] (현재) – 203.234.103.187 | ||
|---|---|---|---|
| 줄 1: | 줄 1: | ||
| {{tag> | {{tag> | ||
| ====== Mongodb ====== | ====== Mongodb ====== | ||
| + | MongoDB는 NoSQL, | ||
| + | NoSQL이란 Not Only SQL의 약자로서 기존의 mysql 등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이다. | ||
| =====설치 ===== | =====설치 ===== | ||
| - | < | ||
| - | sudo apt-get install mongodb-server | ||
| - | |||
| - | </ | ||
| - | 확인 | + | 우분투 레포에 있는 MongoDB와 |
| + | mongodb.org 에서 유지/ | ||
| + | 하나를 완전히 삭제한 후에 설치한다. (([[https:// | ||
| - | mongo --version | + | ====mongodb.com==== |
| - | >MongoDB shell version: 2.6.10 | + | [[https://docs.mongodb.com/ |
| - | mongod | + | 레포지토리 추가 |
| + | wget -qO - https:// | ||
| - | >db version v2.6.10 | + | 목록추가 |
| - | >2018-11-28T20:04:28.522+0900 git version: nogitversion | + | echo "deb [ arch=amd64, |
| - | /* 여기에 내용을 입력합니다. */ | + | 업데이트 |
| + | sudo apt-get update | ||
| + | 설치 | ||
| - | 몽고DB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127.0.0.1인 내부 서버에서의 접근만 허용하도록 되어있다. | + | sudo apt-get install -y mongodb-org |
| - | 이 몽고DB를 외부에서 접근 허용하게 하려면 bind_ip를 변경해줘야 하는데 변경 방법에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config 파일을 이용한 방식으로 변경을 하겠다. | ||
| - | mongo.config 파일을 생성하여 내부를 작성한다. | ||
| - | # mongodb.conf | + | ====우분투 패키지==== |
| - | <file conf mongodb.conf> | + | |
| + | < | ||
| + | sudo apt-get install mongodb-server | ||
| + | </ | ||
| - | # Where to store the data. | + | 확인 |
| - | dbpath=C: | + | mongo --version |
| + | >MongoDB shell version: 2.6.10 | ||
| + | mongod --version | ||
| - | #where to log | + | >db version v2.6.10 |
| + | > | ||
| - | logpath=C: | + | /* 여기에 내용을 입력함. */ |
| + | < | ||
| + | sudo service mongod start # 기동 | ||
| + | sudo service mongod restart | ||
| + | sudo service mongod stop # 정지 | ||
| + | sudo service mongod status | ||
| + | </ | ||
| + | < | ||
| + | sudo systemctl status mongodb #확인 | ||
| + | </ | ||
| - | logappend=true | + | =====설정===== |
| + | 몽고DB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127.0.0.1인 내부 서버에서의 접근만 허용하도록 되어있다. | ||
| - | bind_ip | + | 이 몽고DB를 외부에서 접근 허용하게 하려면 |
| - | + | ||
| - | port = 27017 | + | |
| - | + | ||
| - | + | ||
| - | + | ||
| - | # Enable journaling, http://www.mongodb.org/ | + | |
| - | + | ||
| - | journal=true | + | |
| - | + | ||
| - | + | ||
| - | + | ||
| - | # Enables periodic logging of CPU utilization and I/O wait | + | |
| - | + | ||
| - | #cpu = true | + | |
| - | + | ||
| - | + | ||
| - | + | ||
| - | # Turn on/off security. | + | |
| - | + | ||
| - | #noauth = true | + | |
| - | + | ||
| - | #auth = true | + | |
| - | + | ||
| - | + | ||
| - | + | ||
| - | # Verbose logging output. | + | |
| + | |||
| + | |||
| + | <file conf mongodb.conf> | ||
| + | #bind_ip = 127.0.0.1 | ||
| + | #port = 27017 | ||
| </ | </ | ||
| + | 위 항목에서 bind_ip = 127.0.0.1 부분을 #으로 주석처리한다. | ||
| + | 이렇게 변경 후 몽고DB를 재실행하면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해진다. | ||
| - | 위 항목에서 bind_ip = 127.0.0.1 부분에서 아이피주소를 0.0.0.0 으로 변경해준다. | + | sudo systemctl restart mongodb |
| - | bind_ip = 0.0.0.0 | + | 추가로 port도 보안상 기본 포트로 그냥 두지말고 원하는 새로운 포트로 변경하는것을 추천한다. |
| - | 이렇게 변경 후 config 파일을 이용하여 몽고DB를 실행하면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해진다. | ||
| - | |||
| - | |||
| - | |||
| - | 추가로 port도 보안상 기본 포트로 그냥 두지말고 원하는 새로운 포트로 변경하는것을 추천한다. | ||
| + | 서비스 정지 | ||
| + | systemctl stop mongodb | ||
| + | 서비스 시작 | ||
| - | 마지막으로 새로 만든 config 파일로 실행한다. | + | systemctl start mongodb |
| + | 서비스 재시작 | ||
| - | > mongd --config "mongodb | + | systemctl restart |
| + | 서버 부팅시 자동 재시작 설정 | ||
| + | systemctl enable mongodb | ||
| + | 서버 부팅시 자동 재시작 금지 | ||
| + | systemctl disable mongodb | ||
| - | (( | + | =====기타 ===== |
| + | 유틸 compass | ||
| - | 출처: http://hwanschoi.tistory.com/ | + | 유틸 https://dreamholic.tistor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