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hdd_mount [2016/06/14 23:52] – V_L | tech:hdd_mount [2024/04/29 16:57] (현재) – [fstab 설명] V_L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리눅스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리눅스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
| 리눅스에서는 | 리눅스에서는 | ||
| 그냥 꼽는다고 저절로 D: 이런식으로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 따로 설정을 해줘야 한다. | 그냥 꼽는다고 저절로 D: 이런식으로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 따로 설정을 해줘야 한다. | ||
| - | =====고정 하드디스크 추가 | + | =====고정 하드디스크 추가===== |
| 일단 접속된 하드디스크들을 알아본다. | 일단 접속된 하드디스크들을 알아본다. | ||
| sudo fdisk -l | sudo fdisk -l | ||
| 줄 13: | 줄 14: | ||
| sudo nano /etc/fstab | sudo nano /etc/fstab | ||
| - | 마지막 줄에 다음을 추가 ( sdb1 이 추가할 하드 디스크라고 가정) - /media/disk 디렉토리가 이미 만들어져 있어야 | + | 마지막 줄에 다음을 추가 ( sdb1 이 추가할 하드 디스크라고 가정) - /media/disk 디렉토리가 이미 만들어져 있어야 |
| ext3 대신 fat32의 경우 vfat, ntfs의 경우 ntfs-3g | ext3 대신 fat32의 경우 vfat, ntfs의 경우 ntfs-3g | ||
| 줄 19: | 줄 20: | ||
| / | / | ||
| - | + | ||
| + | / | ||
| * umask=000 모든이에게 권한을 777로 주게 된다. | * umask=000 모든이에게 권한을 777로 주게 된다. | ||
| * iocharset=cp949, | * iocharset=cp949, | ||
| + | |||
| + | /dev/sda 이런 것은 기기가 연결된 순서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탈착이 자주 있는 경우는 UUID로 연결한다. | ||
| + | |||
| + | |||
| + | UUID=a9e6062b-2fe4-4e33-a28d-46f71dd9b243 /mnt/back ext4 defaults 0 0 | ||
| + | |||
| + | ==== UUID 확인==== | ||
| + | 디스크를 연결한 채로 blkid 를 실행 | ||
| + | |||
| + | blkid | grep '/ | ||
| + | /dev/sda1: UUID=" | ||
| + | |||
| + | |||
| =====임시 연결 | =====임시 연결 | ||
| 줄 30: | 줄 45: | ||
| sudo mkdir / | sudo mkdir / | ||
| sudo mount -t vfat /dev/sdb1 / | sudo mount -t vfat /dev/sdb1 / | ||
| - | sudo mount -t ntfs-3g | + | sudo mount -t ntfs3 /dev/sdb1 / |
| + | sudo mount -t ntfs3 --rw /dev/sdg1 / | ||
| + | | ||
| sudo mount -w /dev/sdb1 /mnt/data -o umask=000, | sudo mount -w /dev/sdb1 /mnt/data -o umask=000, | ||
| 줄 41: | 줄 57: | ||
|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1-12-12 23:23 7d35a2df-fe23-4618-98f9-495ba6409ad8 -> ../../sda5 | lrwxrwxrwx 1 root root 10 2011-12-12 23:23 7d35a2df-fe23-4618-98f9-495ba6409ad8 -> ../../sda5 | ||
| )) | )) | ||
| + | |||
| + | ====NTFS==== | ||
| + | |||
| + | * ntfs - 왕거지. | ||
| + | * ntfs-3g - 거지. | ||
| + | * ntfs3 - 평민. 리눅스 커널 5.15 이후부터 지원됨. paragon | ||
| + | |||
| =====ISO파일 마운트===== | =====ISO파일 마운트===== | ||
| 줄 49: | 줄 72: | ||
| | | ||
| sudo mount -o loop / | sudo mount -o loop / | ||
| + | |||
| + | =====CIFS 마운트===== | ||
| + | |||
| + | [[mount cifs]]참조 | ||
| + | |||
| + | =====LVM mount===== | ||
| + | |||
| + | [[lvm mount]] 참조 | ||
| =====기타===== | =====기타===== | ||
| - | ① cat / | + | - |
| - | ② fdisk /dev/hdb | + | |
| - | * p로 기존 파티션 확인 | + | |
| - | * d로 기존 파티션 삭제 | + | |
| - | * n으로 파티션 추가 (p-> | + | |
| - | * w로 쓴다 | + | |
| - | ③ 포맷 | + | [[fdisk]]로 파티션 생성 |
| - | ext4: mkfs.ext4 /dev/sda2 | + | fdisk /dev/hdb |
| - | ext3: mke2fs -j / | + | |
| - | ext2: mkfs -t ext2 /dev/hdb | + | * p로 기존 파티션 확인 |
| - | ④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mkdir /new_dir) | + | * d로 기존 파티션 삭제 |
| - | ⑤ 마운트 (mount -t ext3 /dev/hdb / | + | * n으로 파티션 추가 (p-> |
| + | * w로 쓴다 | ||
| + | |||
| + | - 포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udo mount -t ntfs-3g /dev/sdb1 /mnt/data | sudo mount -t ntfs-3g /dev/sdb1 /mnt/data | ||
| 줄 79: | 줄 113: | ||
| - | =====fstab 설명===== | + | [[fstab]] 설명 |
| - | 한줄에 하나의 장치를 넣는다. | + | |
| - | 여섯개의 칸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결할 디바이스 명을 입력한다. | + | |
| - | - 연결될 폴더 | + | |
| - | -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낸다 | + | |
| - | * dos | + | |
| - | * ext2 | + | |
| - | * ext3 | + | |
| - | * nfs | + | |
| - | * swap | + | |
| - | * vfat | + | |
| - | - 옵션 | + | |
| - | * default : 기본 | + | |
| - | * noquota : 쿼타 사용안함 | + | |
| - | * nosuid : SUID접근 불가능 | + | |
| - | * quota : 쿼터 사용 | + | |
| - | * ro : 읽기 가능 | + | |
| - | * rw : 읽기 쓰기 가능 | + | |
| - | * suid: SUID접근 가능 | + | |
| - | * uid=1000, | + | |
| - | * umask=007 :퍼미션 마스크 | + | |
| - | + | ||
| - | - 파일시스템이 덤프될 필요가 있는지를 설정한다. | + | |
| - | * 0 : 덤프될 필요없음 | + | |
| - | * 1 : 덤프 필요합 | + | |
| - | - fsck에 의해 수행되는 무결성 검사를 위한 파일시스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 | |
| - | * 0 : 체크 안함. 이동식드라이브 | + | |
| - | * 1 : 우선적으로 체크. 부트 드라이브. | + | |
| - | * 2 : 1번이 끝난 후 체크. 기타 다른 모든 장비들. | + | |
| =====NTFS vs NTFS-3G===== | =====NTFS vs NTFS-3G===== | ||
| - | mount 명령을 내리면 파일시스템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하거나 -o 옵션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mount.ext3/ | + | mount 명령을 내리면 파일시스템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하거나 -o 옵션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mount.ext3/ |
| - | ntfs-3g의 성능은 완전 좌절입니다. USB 외장 하드를 ntfs-3g로 썼을 때는 둘 다 CPU 먹는 괴물이라서 대용량 파일 복사를 걸어 놓으면 말 그대로 아무 작업도 하지 못했습니다. | + | ntfs-3g의 성능은 완전 좌절임. USB 외장 하드를 ntfs-3g로 썼을 때는 둘 다 CPU 먹는 괴물이라서 대용량 파일 복사를 걸어 놓으면 말 그대로 아무 작업도 하지 못했다. |
| - | 사용자 영역 드라이버라 일반 커널 드라이버를 가진 File System보다는 느린 편입니다. 당연히 사용자 영역 드라이버를 위해서 CPU를 점유하기 때문에 후덜덜하게 CPU를 사용하게 | + | 사용자 영역 드라이버라 일반 커널 드라이버를 가진 File System보다는 느린 편임. 당연히 사용자 영역 드라이버를 위해서 CPU를 점유하기 때문에 후덜덜하게 CPU를 사용하게 |
| - | eSATA로 바꾸고 나니까 CPU 점유율이 아주 조금 개선되었지만 그래도 다른 작업에 방해가 | + | eSATA로 바꾸고 나니까 CPU 점유율이 아주 조금 개선되었지만 그래도 다른 작업에 방해가 |
| * [[http:// | * [[http:// | ||
| 줄 126: | 줄 128: | ||
| ====== 새하드 포맷====== | ====== 새하드 포맷====== | ||
| + | [[fdisk]] 는 최대 2Tb 크기의 파티션을 지원한다. 그 이상의 파티션은 [[parted]]를 사용하면 된다. | ||
| + | |||
| + | fdisk /dev/sda | ||
| Now to make a new partition. | Now to make a new partition. | ||
| - | Press n < | + | |
| - | This will make a new partition that uses the entire disk. If you want more complex partitioning then read the fdisk manual (man fdisk) or use parted or some other app. | + | |
| - | Here's what we did with n, the values will differ from yours: | + | |
| - | Code: | + | |
| Command (m for help): n | Command (m for help): n | ||
| Command action | Command action | ||
| 줄 141: | 줄 143: | ||
| Using default value 197 | Using default value 197 | ||
|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197-621, default 621): +128M |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197-621, default 621): +128M | ||
| + | |||
| + | Press n < | ||
| + | This will make a new partition that uses the entire disk. If you want more complex partitioning then read the fdisk manual (man fdisk) or use parted or some other app. | ||
| + | Here's what we did with n, the values will differ from yours: | ||
| + | |||
| + | |||
| Now to write the new partion and exit, press w and enter. | Now to write the new partion and exit, press w and enter. | ||
| 줄 150: | 줄 158: | ||
| So, let's make the filesystem: | So, let's make the filesystem: | ||
| Code: | Code: | ||
| + | |||
| sudo mkfs.ext3 /dev/sda1 | sudo mkfs.ext3 /dev/sda1 | ||
| + | |||
| * Note the 1 at the end, because we are making the filesystem in that partition (thanks Mike) | * Note the 1 at the end, because we are making the filesystem in that partition (thanks Mike) | ||
| 줄 160: | 줄 170: | ||
| If you cannot then you will need to mount it yourself, try: | If you cannot then you will need to mount it yourself, try: | ||
| Code: | Code: | ||
| + | |||
| sudo mkdir /media/sda1 | sudo mkdir /media/sda1 | ||
| sudo mount /dev/sda1 /media/sda1 | sudo mount /dev/sda1 /media/sda1 | ||
| + | |||
| Note: We are actually mounting the first partition on the drive, hence the 1 at the end: sda1 | Note: We are actually mounting the first partition on the drive, hence the 1 at the end: sda1 | ||
| And the mounted directory can be anywhere you like, but its common location is /media. | And the mounted directory can be anywhere you like, but its common location is /media. | ||
| 줄 173: | 줄 185: | ||
| chown you:you afolder | chown you:you afolder | ||
| - | {{tag> | ||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
| - | * [[우분투_백업하기]]도 참조. | + | * [[linux_system_backup]]도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