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github [2017/05/25 14:39] – [행위] V_L | tech:github [2022/06/24 00:58] (현재) – V_L | ||
|---|---|---|---|
| 줄 23: | 줄 23: | ||
| * [[http:// | * [[http:// | ||
| + | [[https:// | ||
|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 ||
| 줄 45: | 줄 46: | ||
| =====행위===== | =====행위===== | ||
| - | | ||
| - | [[https:// | ||
| - | ====Clone==== | ||
| - | |||
| - | 기존 저장소를 Clone 하기 | ||
| - |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거나(Contribute) Git 저장소를 복사하고 싶을 때 git clone 명령을 사용한다. 이미 Subversion 같은 VCS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 | ||
| - | |||
| - | |||
| - | git clone [url] | ||
| - | 명령으로 저장소를 Clone 한다. libgit2 라이브러리 소스코드를 Clone 하려면 아래과 같이 실행한다. | ||
| - | |||
| - | $ git clone https:// | ||
| - | |||
| - | 이 명령은 ‘`libgit2’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git 디렉토리를 만든다. 그리고 저장소의 데이터를 모두 가져와서 자동으로 가장 최신 버전을 Checkout 해 놓는다. libgit2 디렉토리로 이동하면 Checkout으로 생성한 파일을 볼 수 있고 당장 하고자 하는 일을 시작할 수 있다. 아래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저장소를 Clone 하면 ``libgit2' | ||
| ====Push==== | ====Push==== | ||
| < | < | ||
| 줄 89: | 줄 76: | ||
| git push -u origin master | git push -u origin master | ||
| </ | </ | ||
| - | |||
| - | -a 옵션으로 스테이지 추가와 커밋을 동시에 한다. | ||
| - | |||
| - | |||
| - | |||
| ====Pull==== | ====Pull==== | ||
| 깃헙에 만들어져있는 저장소에서 파일들을 내려받는다. | 깃헙에 만들어져있는 저장소에서 파일들을 내려받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