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tech:cp949 [2018/02/20 16:35] – 만듦 V_Ltech:cp949 [2018/02/20 16:49] (현재) V_L
줄 1: 줄 1:
-{{tag>cp949}} +{{tag>cp949 문자인코딩 }} 
-====== Cp949 ====== +====== CP949 ====== 
-기본적으로 cp949는 euc-kr에서 빠진 글자들이 더 들어가 있다. euckr만으로는 한글을 전부 표현할 수 없다. 로마자만 놓고 보면 별 차이 없다.+ 
 + 
 +CP949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정한 규격으로, 한글 Windows 95에 처음으로 탑재되었다. 
 + 
 +기본적으로 cp949는 euc-kr에서 빠진 글자들이 더 들어가 있다. euc-kr만으로는 한글을 전부 표현할 수 없다. 로마자만 놓고 보면 별 차이 없다.
  
 단,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그냥 euckr로 설정해도 cp949로 알아듣는 물건도 있다. 단,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그냥 euckr로 설정해도 cp949로 알아듣는 물건도 있다.
  
 기본적으로 euckr이 가장 지원하는 글자수가 적고 cp949는 일단 한글은 전부 지원하며 euc-kr와 하위호환되며 [[utf-8]]은 저 문자셋들과 호환되지는 않으나 더 많은 나라들의 글자들과 일어, 한자 등을 완전히 지원함. 기본적으로 euckr이 가장 지원하는 글자수가 적고 cp949는 일단 한글은 전부 지원하며 euc-kr와 하위호환되며 [[utf-8]]은 저 문자셋들과 호환되지는 않으나 더 많은 나라들의 글자들과 일어, 한자 등을 완전히 지원함.
 +
 +EUC-KR은 현대 한글에서 자주 이용되는 2350자만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으쌰으쌰가 으?으?으로 표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나머지 8000여자를 지원하는 인코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등장 초기에는 코드순 정렬 방법으로 가나다순 정렬을 구현할 수 없다는 점 등의 이유로 많은 질타를 받았으나, Windows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면서 이런 논쟁은 감쪽같이 사라져 버렸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 웹에서는 인코딩으로는 EUC-KR을 선언해 두고 CP949로 인코딩된 페이지를 보내는 웹사이트들도 많았다. 현재는 [[UTF-8]]로 전부 통일되었다.
 +
 +Java에서는 CP949와 MS949가 구별된다. 윈도우의 CP949는 Java의 MS949이며, Java의 CP949는 기존의 EUC-KR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