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tech:cmaxim360 [2014/03/18 17:37] – 바깥 편집 127.0.0.1 | tech:cmaxim360 [2016/07/12 00:56]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tag>고사성어 중국}} |
| |
| |
竹:대나무 죽. 馬:말 마. 故:옛 고. 友:벗 우. | 竹:대나무 죽. 馬:말 마. 故:옛 고. 友:벗 우. |
| |
어릴 때 같이 죽마(대말)를 타고 놀던 벗이란 뜻. 곧 ① 어렸을 때의 벗. 소꼽친구. ②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③ 어렸을 때부터의 오랜 친구. | 어릴 때 같이 죽마(대말)를 타고 놀던 벗이란 뜻. 곧 ① 어렸을 때의 벗. 소꼽친구. ②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③ 어렸을 때부터의 오랜 친구. 혹은 [[:고환친구|]] |
| |
진(晉:東晉)나라 12대 황제인 간문제(簡文帝:371∼372) 때의 일이다. 촉(蜀)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桓溫)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간문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殷浩)라는 은사(隱士)를 건무장군(建武將軍) 양주자사(揚州刺史)에 임명했다. 그는 환온의 어릴 때 친구로서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인재였다. 은호가 벼슬길에 나아가는 그날부터 두 사람은 정적이 되어 반목(反目)했다. 왕희지(王羲之)가 화해시키려고 했으나 은호가 듣지 않았다. | 진(晉:東晉)나라 12대 황제인 간문제(簡文帝:371∼372) 때의 일이다. 촉(蜀) 땅을 평정하고 돌아온 환온(桓溫)의 세력이 날로 커지자 간문제는 환온을 견제하기 위해 은호(殷浩)라는 은사(隱士)를 건무장군(建武將軍) 양주자사(揚州刺史)에 임명했다. 그는 환온의 어릴 때 친구로서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인재였다. 은호가 벼슬길에 나아가는 그날부터 두 사람은 정적이 되어 반목(反目)했다. 왕희지(王羲之)가 화해시키려고 했으나 은호가 듣지 않았다. |
[출전]《世說新語》《晉書》〈殷浩專〉 | [출전]《世說新語》《晉書》〈殷浩專〉 |
| |
{{tag>고사성어 중국}}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