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afp [2018/02/24 16:57] – 만듦 115.93.88.196 | tech:afp [2018/02/24 18:17] (현재) – 115.93.88.196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tag> |
| ====== AFP(Apple Filing Protocol) ====== | ====== AFP(Apple Filing Protocol) ====== | ||
| {{INLINETOC}} | {{INLINETOC}} | ||
| - | |||
| + | AFP(Apple Filing Protocol) 란 Windows 계열의 [[Samba]] 프로토콜처럼 Mac 컴퓨터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규약인데, | ||
| - | AFP(Apple Filing Protocol) 란 Windows 계열의 Samba 프로토콜처럼 Mac 컴퓨터 간의 파일 전송을 위한 규약인데, | + | [[우분투]]에서의 설치는 간단하다. |
| - | + | ||
| - | 우분투에서의 설치는 간단하다. | + | |
| sudo apt-get install netatalk | sudo apt-get install netatalk | ||
| - | 이렇게 하면 설치는 끝나고 OS X 에서는 터미널 또는 파인더의 서버 연결 창에서 afp:// | + | 이렇게 하면 설치는 끝나고 OS X 에서는 터미널 또는 파인더의 서버 연결 창에서 |
| + | | ||
| + | 하면 파인더 창에 우분투의 홈 디렉토리가 보이게 된다. | ||
| + | |||
| + | [[tech: | ||
| + | |||
| + |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공유기에서 TCP port 548 을 열어주면 된다. | ||
| - | Samba 에 비해 장점이라면 왠지 모르게 불안정한 Samba 에 비해 훨씬 안정적(심리적 느낌일지도…)으로 동작한다는 것과 내부 네트워크 내에서만 접속이 가능한 Samba 와 달리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집에 있는 공유기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를 회사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