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med:vertical_transmission_hepatitis_b [2019/05/28 03:39] – V_L | med:vertical_transmission_hepatitis_b [2019/05/29 03:53] (현재) – [예방] V_L | ||
---|---|---|---|
줄 83: | 줄 83: | ||
B형 간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된다면 산모와 태아에게 득실을 따져서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여 임신말기에 간염 상태를 안정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B형 간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된다면 산모와 태아에게 득실을 따져서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여 임신말기에 간염 상태를 안정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
- | E형 항원양성이면서 **DNA가 높을 경우** 임산부에서 모체 내에 간염 바이러스 양이 더 많고 수직 감염률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검사가 꼭 필요하며 DNA검사가 높을 경우는 임신말기에 항바이러스제 치료에 대해 전문의와 상의하여 간염의 전염을 낮추도록 노력하는 게 좋다. | + | E형 항원양성이면서 **[[med:hbv dna|]]가 높을 경우** 임산부에서 모체 내에 간염 바이러스 양이 더 많고 수직 감염률이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검사가 꼭 필요하며 DNA검사가 높을 경우는 임신말기에 항바이러스제 치료에 대해 전문의와 상의하여 간염의 전염을 낮추도록 노력하는 게 좋다. |
활동성 간염인 산모라면 임신말기에 [[med: | 활동성 간염인 산모라면 임신말기에 [[m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