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sleep [2014/09/02 05:42] – fe80:4852:64df:b1dd:fe73:ca34:7c28:eae5 | med:sleep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잠 (수면)===== | =====잠 (수면)===== | ||
- | |||
- | =====소아===== | ||
줄 8: | 줄 7: | ||
간략하게 아이들의 잠과 관련된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 간략하게 아이들의 잠과 관련된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 ||
- | ====소아와 성인의 차이점==== | ||
* 유아의 수면 : 태어난 직후에는 밤낮 구분없이 15-16시간을 잠을 잔다. 야간 수면이 다소 길어지는 것은 3개월부터이며 6개월이 되어야 비교적 밤에 깨지 않고 야간 수면이 안정화된다. 평균적으로 6개월 무렵에는 14.5시간, 12개월에는 13.5시간을 잔다. | * 유아의 수면 : 태어난 직후에는 밤낮 구분없이 15-16시간을 잠을 잔다. 야간 수면이 다소 길어지는 것은 3개월부터이며 6개월이 되어야 비교적 밤에 깨지 않고 야간 수면이 안정화된다. 평균적으로 6개월 무렵에는 14.5시간, 12개월에는 13.5시간을 잔다. | ||
* 소아의 수면 : 소아의 수면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아주 중요한 심리적 사건이 된다.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심리적 과제 중의 하나는 부모와의 정신적 심리적 분리 혹은 이별(separation)과 개체화(individuation)이다. 아이 입장에서 잠이 든다는 것은 부모와의 이별이다. 아이들이 이러한 이별을 매일 실행하고 연습하는 것이 수면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 * 소아의 수면 : 소아의 수면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아주 중요한 심리적 사건이 된다.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심리적 과제 중의 하나는 부모와의 정신적 심리적 분리 혹은 이별(separation)과 개체화(individuation)이다. 아이 입장에서 잠이 든다는 것은 부모와의 이별이다. 아이들이 이러한 이별을 매일 실행하고 연습하는 것이 수면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 ||
- | ====흔한 | + | =====수면장애===== |
* 불면증 : 입면 장애 (잠이 들기가 어려운 것), 수면유지 장애 (자주 깨고 깊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것) | * 불면증 : 입면 장애 (잠이 들기가 어려운 것), 수면유지 장애 (자주 깨고 깊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것) | ||
줄 19: | 줄 17: | ||
* 수면관련장애 :야뇨증, 수면 보행증, | * 수면관련장애 :야뇨증, 수면 보행증, | ||
- | **소아 수면장애의 원인들** | ||
+ | [[sleep deprivation]] | ||
+ | ====원인==== | ||
* 환경적 요인 : 시끄럽고 무질서한 수면환경이 문제가 된다. 부모가 늦게 들어와 큰소리를 낸다든지 TV를 본다든지, | * 환경적 요인 : 시끄럽고 무질서한 수면환경이 문제가 된다. 부모가 늦게 들어와 큰소리를 낸다든지 TV를 본다든지, | ||
* 신체적 요인 : 통증, 열 그리고 불편함을 주는 신체질환이 있을 때, 비만이나 편도선의 비대등으로 호흡곤란이 있을 때도 불면증이 생길 수 있다. 항생제, 스테로이드 제재, 진정제, 정신자극제, | * 신체적 요인 : 통증, 열 그리고 불편함을 주는 신체질환이 있을 때, 비만이나 편도선의 비대등으로 호흡곤란이 있을 때도 불면증이 생길 수 있다. 항생제, 스테로이드 제재, 진정제, 정신자극제, | ||
- | * 정신적 요인 : 가정불화, | + | * 정신적 요인 : 가정불화, |
- | **영유아의 수면장해** | + | |
+ | |||
+ | ====영유아==== | ||
* 입면 조건화 : 아이가 밤에 깨면 부모는 무척 괴롭고 다시 재우는 것에 조급해지기 때문에 아주 강하게 개입하게 된다. 아이를 확실한 자극을 통해 재우려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등을 쓰다듬어주고, | * 입면 조건화 : 아이가 밤에 깨면 부모는 무척 괴롭고 다시 재우는 것에 조급해지기 때문에 아주 강하게 개입하게 된다. 아이를 확실한 자극을 통해 재우려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등을 쓰다듬어주고, | ||
줄 34: | 줄 35: | ||
* 위식도 역류 | * 위식도 역류 | ||
- | ====소아의 불면증==== | + | ====소아==== |
줄 40: | 줄 41: | ||
* 공포와 악몽 : 아이들은 낮에 잘 놀다가도 잠을 자려고 하면 어두움, 귀신, 벌레, 강도, 죽음 등에 대한 공포가 생겨 잠을 혼자 잘 수 없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현상은 일시적으로는 흔히 있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이러한 공포를 호소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괜찮다고 일방적으로 잘 것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잘 살펴보고 해결해 주어야 한다. 부모가 안심시켜 주고 반복적으로 확신시켜 주면 대개 편안하게 잘 수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소아정신과의 진단이 필요하다. | * 공포와 악몽 : 아이들은 낮에 잘 놀다가도 잠을 자려고 하면 어두움, 귀신, 벌레, 강도, 죽음 등에 대한 공포가 생겨 잠을 혼자 잘 수 없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현상은 일시적으로는 흔히 있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이러한 공포를 호소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괜찮다고 일방적으로 잘 것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잘 살펴보고 해결해 주어야 한다. 부모가 안심시켜 주고 반복적으로 확신시켜 주면 대개 편안하게 잘 수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소아정신과의 진단이 필요하다. | ||
- | ====청소년기의 불면증==== | + | ====청소년==== |
줄 53: | 줄 54: | ||
- | ===== | + | =====건강한 수면===== |
- | **자녀의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위한 부모의 역할** | + | 자녀의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위한 부모의 역할 |
* 유아기부터 몸에 닿는 자극이 아닌 어떤 습관과 절차를 통해 잠을 유도하는 것이 좋겠다. 대부분의 아동은 손발을 씻거나 세수하기, | * 유아기부터 몸에 닿는 자극이 아닌 어떤 습관과 절차를 통해 잠을 유도하는 것이 좋겠다. 대부분의 아동은 손발을 씻거나 세수하기, | ||
줄 74: | 줄 75: | ||
* Your Child - What every parent needs to know :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8 | * Your Child - What every parent needs to know :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8 | ||
- | 올바른 수면방법 | ||
* [[http:// | * [[http:// | ||
- | {{ta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