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이 문서는 의학지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학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문으로 아래의 내용은 최신의 정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글을 읽는 시점에는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라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려 하지 마십시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내용은 의학적 상식을 넓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십시오.

2023년 ESHRE 반복적 착상 실패(RIF) 가이드라인 핵심 요약

2023년 유럽 인간 생식 및 배아 학회(ESHRE)가 발표한 '반복적 착상 실패(RIF)에 대한 권고안'|은 기존의 관행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큰 특징은 불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줄이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접근을 강조한 것임.

RIF의 새로운 정의: 맞춤형 접근 강조

과거에는 '양질의 배아를 여러 번 이식했음에도 임신에 실패하는 경우'처럼 획일적인 기준으로 RIF를 정의했다. 하지만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환자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하는 맞춤형 정의를 제안했다.

  • 누적 임신 예측 확률(Cumulative Predicted Chance of Implantation) 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환자의 나이, 난소 기능, 이전 시술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
  • 이 예측 확률이 60%를 초과했음에도 임신에 실패했을 경우,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를 고려하도록 권고함. 이는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꼭 필요한 환자에게 집중하려는 목적임.

권장하지 않는 검사들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판단된 여러 검사들을 더 이상 일상적으로 시행하지 말 것을 권고한 점임.

  • 면역 검사: NK 세포(자연살해세포) 검사, 사이토카인 검사 등은 RIF와의 연관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여 권장되지 않는다.
  • 혈전 성향 검사: 유전적 혈전 성향 검사 역시 RIF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아 일상적인 검사로는 권장하지 않는다.
  • 자궁내막 수용성 검사 (ERA): 검사의 효과와 재현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하여 권장되지 않는다.
  • 만성 자궁내막염 검사: 명확한 증상이 없는 한, 모든 RIF 환자에게 루틴으로 시행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신중하게 고려해볼 수 있는 검사

일상적으로 권장되지는 않지만, 특정 상황에서 의사의 판단하에 "고려해볼 수 있는" 몇 가지 검사는 다음과 같다.

  • 부부 염색체 검사 (Karyotyping): 유전적 이상이 의심될 경우 고려할 수 있다.
  • 3D 초음파를 통한 자궁 기형 검사: 자궁의 구조적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다.
  •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APS) 검사: 관련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선별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강조하는 것: 기본으로 돌아가자!

가이드라인은 특별한 검사나 치료에 의존하기보다, 성공적인 임신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들을 다시 한번 점검할 것을 강조함.

  • 생활 습관 개선: 금연, 절주, 적정 체중 유지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함.
  • 배아의 질 평가: 배아의 염색체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착상 전 유전 검사(PGT-A)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환자에 따라 고려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
  • 정서적 지지: 반복되는 실패로 인한 환자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관리하고, 충분한 상담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명시했다.

연결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