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med:poor_ovarian_reserve [2025/11/05 08:05] – 제거됨 - 바깥 편집 (알 수 없는 날짜) 127.0.0.1med:poor_ovarian_reserve [2025/11/05 08:05] (현재) – ↷ 문서 이름이 med:난소기능저하에서 med:poor_ovarian_reserve(으)로 바뀌었습니다 V_L
줄 1: 줄 1:
 +{{tag>난소기능저하}}
 +{{page>:틀#의학}}
 +====== 난소기능저하 (Poor Ovarian Reserve)======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서 제시한 난소기능 저하 진단 기준
  
 +아래 3가지 요인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 난소기능 저하로 진단함.
 +
 +===== 난소기능 검사(Ovarian reserve test)결과 기능저하=====
 +
 +<난소기능 검사결과 비정상 기준>
 +
 +  *      ⋅초기 난포기 질식 초음파상 양측 난소에 난포수(Antral follicle count:AFC)가 6개 이하
 +  *      ⋅AMH 검사결과 1.0ng/mL이하
 +  *      ⋅FSH 12mIU/ml이상
 +
 +=====POR(Poor Ovarian Reserve)의 위험인자=====
 +
 +나이 40이상, 터너증후군(Turner syndrome), FMR1 premutation, 골반염증(Pelvic infection), 난관손상(Tubal damage), 클라미디아 검사 양성(Chlamydia antibody test: +), 자궁내막증(Ovarian endometrioma), 난소낭종 수술력(Ovarian surgery for ovarian  cysts), 골반장기 과거 수술력, 항암치료(Chemotherapy, 특히 alkylating agent), 생리주기가 짧아짐(Shortening of the menstrual cycle) 등
 +
 +=====POR(Poor Ovarian Response) 과거력=====
 +
 +3개 미만의 growing follicle로 인하여 cycle이 취소되거나 혹은 적어도 하루에 150IU FSH 이상을 적용한 ovarian stimulation protocol에서 3개 이하의 oocytes가 얻어지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