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placenta_previa [2022/11/03 04:53] – [원인] V_L | med:placenta_previa [2025/04/24 05:43] (현재) – V_L | ||
|---|---|---|---|
| 줄 3: | 줄 3: | ||
| =======전치태반 (placenta_previa) ======= | =======전치태반 (placenta_previa) ======= | ||
| - | {{page>: | + | {{page>: |
| {{page>: | {{page>: | ||
| 줄 17: | 줄 17: | ||
| //(A) low lying, (B) marginal, and (C) complete// | //(A) low lying, (B) marginal, and (C) complete// | ||
| - | {{: | + | {{ : |
| (Left) Marginal, (Middle) Complete (Right) Partial | (Left) Marginal, (Middle) Complete (Right) Partial | ||
| 줄 23: | 줄 23: | ||
| 태반이 자궁 경부 입구를 막고 있는 정도에 따라 심각한 정도가 다르다. | 태반이 자궁 경부 입구를 막고 있는 정도에 따라 심각한 정도가 다르다. | ||
| - | * [[Low Lying Placenta]]은 막지 않고 2cm이내로 근처에 있는 것이다. | ||
| - | * 경계성 전치태반은 태반이 낮게 위치하여 자궁 경부 입구의 가장자리에만 닿아 있는 경우이다. | ||
| - | * 부분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목내구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 ||
| - | * 완전 전치태반은 자궁 경부 전체가 태반으로 덮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 ||
| + | {{ : | ||
| + | |||
| + | ====완전 전치태반==== | ||
| + | 완전 전치태반은 자궁 경부 전체가 태반으로 덮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 ||
| + | |||
| + | |||
| + | {{ : | ||
| + | ====부분 전치태반==== | ||
| + | 부분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목내구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 ||
| + | ====경계 전치태반==== | ||
| + | 경계성 전치태반은 태반이 낮게 위치하여 자궁 경부 입구의 가장자리에만 닿아 있는 경우이다. | ||
| + | ====하위태반==== | ||
| + | [[Low Lying Placenta]]은 막지 않고 2cm이내로 근처에 있는 것이다. | ||
| =====증상===== | =====증상===== | ||
|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심하지 않으면 괜찮다. 임신 24주 이후에 간헐적으로 질출혈을 하게 된다. |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심하지 않으면 괜찮다. 임신 24주 이후에 간헐적으로 질출혈을 하게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