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hpv [2016/07/19 07:04] – [감염경로] V_L | med:hpv [2025/09/11 07:20]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V_L | ||
|---|---|---|---|
| 줄 3: | 줄 3: | ||
| ======인유두종바이러스 (Human papilloma virus)====== | ======인유두종바이러스 (Human papilloma virus)====== | ||
| - | {{INLINETOC}} | + | |
| + | [[med: | ||
| - | [[med: | + | HPV는 100가지 이상의 세부 종(種, type)이 있는 바이러스 이다. 이들 중 30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med:std|성관계로 전파]] 가능하여 남성의 외성기, 여성의 외성기, 항문, 질표면, 자궁경부, |
| - | + | ||
| - | HPV는 100가지 이상의 세부 종(種, type)이 있는 바이러스 이다. 이들 중 30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med:성병|성관계로 전파]] 가능하여 남성의 외성기, 여성의 외성기, 항문, 질표면, 자궁경부, | + | |
| * 고위험 형이란 자궁경부, | * 고위험 형이란 자궁경부, | ||
| 줄 38: | 줄 37: | ||
| =====감염경로===== | =====감염경로===== | ||
| - | 성기 부에 전염되는 HPV는 주로 직접적인 성기 부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HPV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은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는 증상을 성 상대자에게 전염시키게 된다. 산모가 HPV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 드물게 출산이 신생아에게 HPV의 전염이 가능한다. HPV에 노출된 신생아는 드물게 성대나 인두에 사마귀가 생길 수도 있다. | + | 성기 부에 전염되는 HPV는 주로 직접적인 성기 부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HPV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은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는 증상을 성 상대자에게 전염시키게 된다. 산모가 HPV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 드물게 출산이 신생아에게 HPV의 전염이 가능한다. HPV에 노출된 신생아는 드물게 성대나 인두에 사마귀가 생길 수도 있다. |
| - | + | ||
| - | 성적으로 활발한 사람은 세포를 변형시키는 ' | + | |
| + | 성적으로 활발한 사람은 세포를 변형시키는 ' | ||
| + | [[자궁경부암백신]]을 맞아서 예방할 수 있다. | ||
| ===== 검사===== | ===== 검사===== | ||
| 여성의 [[HPV]] 감염은 대부분 자궁경부암의 검진과정인 [[PAP smear]] 후 이상소견 때문에 진단이 된다. 자궁경부암이나 전 암 병변의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가장 흔히 쓰이는 검사가 [[PAP smear]] 검사에서 경한 이상이 있는 사람이나, | 여성의 [[HPV]] 감염은 대부분 자궁경부암의 검진과정인 [[PAP smear]] 후 이상소견 때문에 진단이 된다. 자궁경부암이나 전 암 병변의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가장 흔히 쓰이는 검사가 [[PAP smear]] 검사에서 경한 이상이 있는 사람이나, | ||
| - | [[pap smear]]을 정기적으로 받아 비정상적인 세포를 미리 발견하게 되면, 추적 관찰이나 암으로 진행하기 전에 치료가 가능한다. 대부분에 경우 남자에서는 이러한 | + | [[pap smear]]을 정기적으로 받아 비정상적인 세포를 미리 발견하게 되면, 추적 관찰이나 암으로 진행하기 전에 치료가 가능하다. 대부분에 경우 남자에서는 이러한 고위험 |
| - | [[pap smear]]가 비정상이란 말은 막연하고 정확한 용어는 아니다. 결과를 분류하는 수많은 분류방법이 있다. 각 분류 방법에도 세포의 이상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표시하게 된다. 자궁경부세포검사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질확대경검사(colposcopy)나 조직검사를 하기도 하고 몇 달 후에 다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다시 하기도 한다. 여성은 성관계를 갖기 시작하면 규칙적으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받아야 한다. | + | [[pap smear]]가 비정상인 경우에는 질확대경검사(colposcopy)나 조직검사를 하기도 하고 몇 달 후에 다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다시 하기도 한다. 여성은 성관계를 갖기 시작하면 규칙적으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받아야 한다. |
| * [[pap smear]]란 자궁경부 세포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자궁암이 되기 전에 미리 진단과 치료를 하기 위한 검사이다. | * [[pap smear]]란 자궁경부 세포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자궁암이 되기 전에 미리 진단과 치료를 하기 위한 검사이다. | ||
| 줄 63: | 줄 62: | ||
| =====치료===== | =====치료===== | ||
| - | | + | |
| 치료의 목표는 이상 세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세포를 제거하면 세포 내부에 있는 바이러스도 같이 제거되는 것이다. 비정상적인 세포를 치료하거나 자연 치유되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확률도 낮아지게 된다. 치료방법을 결정할 때 다음과 같은 것들이 고려된다. | 치료의 목표는 이상 세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세포를 제거하면 세포 내부에 있는 바이러스도 같이 제거되는 것이다. 비정상적인 세포를 치료하거나 자연 치유되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확률도 낮아지게 된다. 치료방법을 결정할 때 다음과 같은 것들이 고려된다. | ||
| 줄 93: | 줄 92: | ||
| =====기타 다른 암===== | =====기타 다른 암===== | ||
| - | * **항문암** 항문암은 매우 드물지만 ' | + | * **항문암** 항문암은 매우 드물지만 ' |
| - | * **음경암** 음경암은 매우 드물고 | + | * **음경암** 음경암은 매우 드물고 |
| - | * **질암과 외음부암** | + | * **질암과 외음부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