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hepatitis_b [2019/05/28 02:53] – V_L | med:hepatitis_b [2020/09/15 02:21] (현재) – [수직감염] V_L | ||
|---|---|---|---|
| 줄 75: | 줄 75: | ||
| =====수직감염===== | =====수직감염===== | ||
| - | {{ med/ | + | {{med/ |
| 아기를 분만하거나 아기를 돌보는 과정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가 어머니로부터 아기로 전파되는 것을 의미한다. | 아기를 분만하거나 아기를 돌보는 과정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가 어머니로부터 아기로 전파되는 것을 의미한다. | ||
| 줄 155: | 줄 155: | ||
| 활동성 간염인 산모라면 임신말기에 [[med: | 활동성 간염인 산모라면 임신말기에 [[med: | ||
| + | |||
| + | ====검사==== | ||
| + | |||
| ===HBeAg=== | ===HBeAg=== | ||
| 줄 169: | 줄 172: | ||
| The absence of e-antigen,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exclude active viral replication. Some patient groups have mutant viruses that do not give rise to e-antigen. Patients with negative e-antigen, but detectable viral DNA, are traditionally thought to be more resistant to conventional treatment than those who have positive e-antigen levels.)) | The absence of e-antigen,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exclude active viral replication. Some patient groups have mutant viruses that do not give rise to e-antigen. Patients with negative e-antigen, but detectable viral DNA, are traditionally thought to be more resistant to conventional treatment than those who have positive e-antigen levels.)) | ||
| + | |||
| + | ===HBV DNA=== | ||
| +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혈청에서 검출하여 바이러스 증식여부를 판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임. 바이러스 증식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또다른 바이러스 증식의 지표인 e항원이 음성인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있기 때문에 e항원 양성/ | ||
| ===HBeAb=== | ===HBeAb=== | ||
| 줄 209: | 줄 215: | ||
| core항체(HBcAb)는 core항원에 대한 항체로 혈청에서 검출되며 과거 B형 간염에 감염되었었음을 반영하고, | core항체(HBcAb)는 core항원에 대한 항체로 혈청에서 검출되며 과거 B형 간염에 감염되었었음을 반영하고, | ||
| - | ===HBV DNA=== | ||
| -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혈청에서 검출하여 바이러스 증식여부를 판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임. 바이러스 증식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또다른 바이러스 증식의 지표인 e항원이 음성인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있기 때문에 e항원 양성/ | ||
| ===AFP(alpha feto-protein: | ===AFP(alpha feto-protei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