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gestational_diabetes [2022/06/28 13:29] V_Lmed:gestational_diabetes [2024/04/23 09:57] (현재) V_L
줄 1: 줄 1:
 {{tag>의학 gestational diabetes 임신 당뇨}} {{tag>의학 gestational diabetes 임신 당뇨}}
-======임신성 당뇨 (GDM; Gestational Diabetes)======+======임신성 당뇨 (Gestational Diabetes)======
  
-임신 후에 새로 생긴 [[med:diabetes_mellitus|당뇨병]]을 말한다.+임신 후에 ''새로'' 생긴 [[med:diabetes_mellitus|당뇨병]]을 말한다.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임신성당뇨병의 유병률은 1990년대에 1.7-3.9%였으나 2007년 이후로 1-2%씩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10.5%**로 보고하였다.+발생 빈도는 나라나 민족 간에 차이가 있으며, 세계적으로 약 6~15% 정도로 보고된다. 
 +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임신성당뇨병의 유병률은 1990년대에 1.7-3.9%였으나 2007년 이후로 1-2%씩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10.5%**로 보고하였다. 2011~15년에는 12.7%로 보고되었다. 
 + 
 +임신당뇨병의 유병률은 나이에 따라 높아진다. 2011~15년 통계에 의하면 4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아 22.5%로 추산되었고, 30대는 물론 20대의 비교적 젊은 여성에서도 유병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 즉, **10명 중 1명**이 임신성 당뇨라고 진단받음. > 즉, **10명 중 1명**이 임신성 당뇨라고 진단받음.
  
-=====진단===== 
  
 +=====진단=====
  
 ====저위험군==== ====저위험군====
줄 24: 줄 28:
  
   * 심한 비만   * 심한 비만
-  *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 +  *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 
-  *  요중 당 검출 +  *     요중 당 검출 
-  *  강력한 당뇨병 가족력 +  *     강력한 당뇨병 가족력 
-  *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높은 인종으로, 최근 서양화 또는 도시화 된 지역에 거주한 스페인계, 흑인, 인디안, 남아시아인, 동아시안인, 태평양 섬인 등 +  *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높은 인종으로, 최근 서양화 또는 도시화 된 지역에 거주한 스페인계, 흑인, 인디안, 남아시아인, 동아시안인, 태평양 섬인 등
-  +
  
 ====임신 전 당뇨==== ====임신 전 당뇨====
 임신 초기 첫 방문에서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임신 초기 첫 방문에서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선별검사와 상관 없이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 **126** mg/dl 또는 우연히 검사한 혈당이 > **200** mg/dl 혹은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경우 임신 **전** 당뇨병으로 간주한다.+선별검사와 상관 없이  
 +  *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 **126** mg/dl 또는  
 +  * 우연히 검사한 혈당이 > **200** mg/dl 혹은  
 +  * [[med:hba1c|당화혈색소]] **6.5**% 이상 
 +  
 +인 경우 임신 **전** 당뇨병으로 간주한다.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
-일반적인 산모는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검사를 해야 한다. 설탕물 (50g) 을 마신 후 1시간 후 피검사로 혈당을 재서 **140**mg/dl 이상이면 정밀검사를 하게 된다.((울렁거리고 어지럽다)) 
  
-2단계로 누어 경구 당부하 검사를 한다.+=== 준비사항=== 
 +  * 50g 경구당부하검사는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다.  
 +  * 100g이나 75g 경구당부하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검사를 .
  
-일반적으로 당화혈색소(HbA1c)는 임신성 당뇨의 진단적 가치가 없다.((고위험군에서 의미가 있는 보고가 있다.  [[http://www.apath.co.nz/hba1c-has-no-general-use-diagnosis-gdm|]출처]] )) +일반적인 산모는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검사를 해야 한다.
  
 +  * One-step approach: plasma 또는 serum glucose screening없이 바로 100 g OGTT를 시행한다. 이러한 one-step방법은 high risk 환자 또는 인종(미국 인디언 등)에게 있어 비용 효율 적이다
 +  * Two-step approach: screening 50-g OGTT & Diagnostic 100g OGTT   
 +     - **plasma or serum glucose concentration 1 h after a 50-g OGTT 50g**: 혈당부하검사(OGTT)에서 **1시간** 후 glucose가 ≥**140** mg/dl 인 경우
 +     - **100g OGTT** 또는 75g OGTT (100g OGTT보다 간단하나 100g OGTT만큼 인정되진 않음)
  
 +보통 2단계로 나누어 (Two-step approach) 경구 당부하 검사를 진행한다.
  
-//모든 임신 산모를 임신 24~28주 사이에 5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면 **약 15%**의 여성의 1시간 후 혈중 수치가 140mg/dl를 초과하며 , 러한 여성들을 대으로 100g 당부하 검사를 실시면 **약 15%**에서 임신성 당뇨가 진단된다.//+> 설탕물 (50g) 을 마신 후 **1시간** 후 피검사로 혈당을 재서 **140**mg/dl 이상이면 정밀검사를 하게 된다.((울렁거리고 어지럽다))((high risk group이 많은 clinic에서는 glucose ≥130 mg/dL를 기준으로 한다.))
  
-  * 목록선별검사와 상관 없이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126 mg/dl 또는 우연히 검사한 혈당이 >200 mg/dl으로 나오면 당뇨로 진단다.+일반적으로 [[med:hba1c|화혈색소(HbA1c)]]는 임신성 당뇨의 진단적 가치가 **없**.((고위험군에서 의미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http://www.apath.co.nz/hba1c-has-no-general-use-diagnosis-gdm|출처]] ))
  
-  - One-step approach: plasma 또는 serum glucose screening없이 바로 100 g OGTT를 시행한다. 러한 one-step방법은 high risk 환자 또는 인종(미국 인디언 등)게 있어 비용 효율 적이다 +//모든 임신 산모를 임신 24~28주 사이에 5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면 **약 15%**의 여성의 1시간 후 혈중 당수치가 140mg/dl를 초과하며 , 러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10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면 **약 15%**에서 임신성 당뇨가 단된다.//
-  - Two-step approach: screening 50-g OGTT & Diagnostic 100g OGTT    +
-     - **plasma or serum glucose concentration 1 h after a 50-g OGTT 50g**: 혈당부하검사(OGTT)에서 **1시간** 후 glucose가 ≥**140** mg/dl 인 경우 (high risk group이 많은 clinic에서는 glucose ≥130 mg/dL를 기준으로 한다.) +
-     **100g OGTT** 또는 75g OGTT (100g OGTT보다 간단하나 100g OGTT만큼 인정되진 않음)+
  
 ====정밀검사 (OGTT)==== ====정밀검사 (OGTT)====
줄 67: 줄 77:
  
 =====치료===== =====치료=====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혈당조절 목표는 공복혈당이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혈당이 14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은 120mg/dL으로 제시되어 있다.+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혈당조절 목표는  
 +  * 공복혈당이 95mg/dL 미만, 
 +  * 식후 1시간 혈당이 140mg/dL 미만, 
 +  * 식후 2시간 혈당은 **120**mg/dL으로
  
-  *  공복혈당 (fasting glucose) < 105 mg/dL (class A1, GDMA1): 식이요법, 운동 +제시되어 있다. 
-  *  공복혈당 (fasting glucose) >= 105mg/dL (class A2, GDMA2): 식이요법, 운동, 인슐린+ 
 +  *  공복혈당 (fasting glucose) < **105 **mg/dL (class A1, GDMA1): 식이요법, 운동 
 +  *  공복혈당 (fasting glucose) >= **105** mg/dL (class A2, GDMA2): 식이요법, 운동, [[#인슐린]]
  
 1-2주 간격으로 fasting/PP2를 검사한다. fasting이 105 이하라면, PP2는 안해도 된다. 1-2주 간격으로 fasting/PP2를 검사한다. fasting이 105 이하라면, PP2는 안해도 된다.
줄 76: 줄 91:
 ====식이요법==== ====식이요법====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칼로리가 적은 음식물을 조금씩 자주 먹도록 한다. +칼로리가 적은 음식물을 조금씩 자주 먹도록 한다.  1700-1800kcal/day이하로는 제한하지 않는다.
  
 [[Low insulin diet|저인슐린식이요법]]참조. [[Low insulin diet|저인슐린식이요법]]참조.
줄 88: 줄 103:
   * 운동요법은 약 4주간 지속적으로 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 운동요법은 약 4주간 지속적으로 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임신성 고혈압, 양수막 파열, 태내성장지연, 조산 과거력, 지속적인 출혈, 자궁경관 무력증 등은 운동의 금기이다.+[[med:gestational_hypertension|임신성 고혈압]][[med:prom|양수막 파열]][[med:iugr|태내성장지연]][[med:preterm_labor|조산 과거력]], 지속적인 출혈, [[med:iioc|자궁경관 무력증]] 등은 운동의 금기이다.
 ====인슐린 투여==== ====인슐린 투여====
  
 [[med:Low insulin diet|식이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인슐린 투여를 시작한다. [[med:Low insulin diet|식이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인슐린 투여를 시작한다.
  
-  * 공복 혈당 조절 (≤**95mg/dl**)  실패 혹은 +  * 공복 혈당 조절 (≤**95mg/dl**)  실패((미국 산부인과 학회 목표))  혹은 
-  * 식후 2시간 혈당 조절 (≤**120mg/dl**) 실패+  * 식후 2시간 혈당 조절 (≤**120mg/dl**) 실패((미국 산부인과 학회 목표))
  
 거대아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더 일찍 인슐린 투여를 해야한다는 보고도 있다. 거대아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더 일찍 인슐린 투여를 해야한다는 보고도 있다.
줄 105: 줄 120:
   * 거대아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들 거대아는 주로 어깨와 몸 중앙에 과다하게 지방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인다.   * 거대아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들 거대아는 주로 어깨와 몸 중앙에 과다하게 지방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인다.
   * 거대아로 인한 난산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다행히 이러한 난산은 흔치 않으며 A1임신성 당뇨 산모의 약 3%에서 난산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거대아로 인한 난산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다행히 이러한 난산은 흔치 않으며 A1임신성 당뇨 산모의 약 3%에서 난산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 공복 혈당 >105 mg/dl 인 경우는 임신 마지막 4-8주 사이에 intrauterine fetal death 위험 증가. fetal macrosomia 위험 증가 
-  * Neonatal hypoglycemia, jaundice, polycythemia, hypocalcemia maternal hypertensive disorders, 제왕절개 가능성 증가 
  
-  * 장기적으로     임신성 당뇨였던 산모는 출산 후 제 2형 당뇨 발생이 증가한다. +공복 혈당 >105 mg/dl 인 경우는  
-  * 임신성 당뇨의 자녀는 청소년 시기에 비만, 내당능 장애, 당뇨에 걸린 위험이 증가한다.+  * 임신 마지막 4-8주 사이에 [[intrauterine fetal death]] 위험 증가.  
 +  * 거대아 (fetal macrosomia) 위험 증가 
 +  * Neonatal hypoglycemia, jaundice, polycythemia, hypocalcemia, maternal hypertensive disorders, [[med:제왕절개|제왕절개]] 가능성 증가 
 +  * 장기적으로 임신성 당뇨였던 산모는 출산 후 제 2형 당뇨 발생이 증가한다. 
 +  * 임신성 당뇨의 자녀는 청소년 시기에 [[med:비만|비만]], 내당능 장애, [[med:diabetes_mellitus|당뇨병]] 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산후 당뇨병===== =====산후 당뇨병=====
-국내 산후 당뇨병 발생률은 출산 6~8주후에 10%, 출산후 2년에 15%, 3년에 45%로 성인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국내 산후 당뇨병 발생률은 출산 6~8주후에 10%, 출산후 2년에 15%, 3년에 **45%**로 성인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분만 후에는 체중감량에 대한 영양 상담을 받아야 함. 체중 감량은 적절한 체중, 수유방법, 연령, 운동을 고려함. 분만 8주후에 약 9-10kg의 체중 감소가 적당함. 이를 위해 분만 후 필요한 범위 내에서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이요법을 수행함. 꾸준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관리, 표준 체중관리를 위해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함. 분만 후에는 체중감량에 대한 영양 상담을 받아야 함. 체중 감량은 적절한 체중, 수유방법, 연령, 운동을 고려함. 분만 8주후에 약 9-10kg의 체중 감소가 적당함. 이를 위해 분만 후 필요한 범위 내에서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이요법을 수행함. 꾸준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관리, 표준 체중관리를 위해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함.
  
 +=====산후 추적관찰=====
  
-=====추적관찰=====+임신성 당뇨 산모의 약 50% 에서 20년 이내에 [[med:diabetes_mellitus|현성 당뇨(임신이 아닌 당뇨)]]로 진행된다.
  
-임신성 당뇨 산모의 약 반수에서 20년 이내에 현성 당뇨(임신이 아닌 당뇨)로 진행된다.+임신당뇨병 환자는 다음 임신 시 재발 위험이 50% 정도임.
  
 +특히 제 2형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는 
 +  * 공복 혈당이 높은 경우, 
 +  * 산모의 나이가 많은 경우, 
 +  * 임신 24주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 
 +  * 임신 중 인슐린 치료를 받을 만큼 혈당이 높은 경우 및 
 +  *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이런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임신성 당뇨병에서 산후 당뇨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방법을 수행해야 함.
-특히 제 2형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는 공복 혈당이 높은 경우, 산모의 나이가 많은 경우, 임신 24주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 임신 중 인슐린 치료를 받을 만큼 혈당이 높은 경우 및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임. 이런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임신성 당뇨병에서 산후 당뇨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방법을 수행해야 함. +
  
   * 출산 전 당뇨가 없던 임신성 당뇨 산모는 출산 후 인슐린 치료를 끊는다.   * 출산 전 당뇨가 없던 임신성 당뇨 산모는 출산 후 인슐린 치료를 끊는다.
-  *     출산 6주에서 12주 사이에 75g    OGTT를 시행하여 혈당 상태를 재 검사한다.    혈당이 정상이라면 적어도 3년 마다 검사 받고, 내당능 장애인 경우에는 일년마다 혈당검사를 받도록 한다. +  * 출산 6주에서 12주 사이에 75g OGTT를 시행하여 혈당 상태를 재 검사한다. 혈당이 정상이라면 적어도 **3년** 마다 검사 받고, 내당능 장애인 경우에는 **일년**마다 혈당검사를 받도록 한다. 
-  *     임신성 당뇨 산모의 자녀는 비만 및 당뇨 발생 여부를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 +  * 임신성 당뇨 산모의 자녀는 비만 및 당뇨 발생 여부를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
- +
- +
-===== 참고 ===== +
- +
-  * http://www.kndp.or.kr/research/sub1_3.html +
-  * http://www.ksog.org/woman/info04.php?cat01=01&cat02=08+